목차
■ 실험 목적
■ 실험 이론
■ 실험 기구
■ 실험 방법
■ 실험 결과
■ 결과에 대한 고찰
■ 실험 이론
■ 실험 기구
■ 실험 방법
■ 실험 결과
■ 결과에 대한 고찰
본문내용
밴드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옥타브 밴드의 중심 주파수는 각 옥타브 밴드의 하한 주파수와 상한 주파수의 기하학적 중심으로 정한다.
5) 음원의 종류
점음원
선음원
면음원
형태
음원의 예
폭발음, 연소음, 1대의 자동차, 스피커(원거리)
교통소음(철도, 도로)
벽면의 방사음. 스피커(근거리)
거리에 따라
점음원(구면파) ->평면파
점->선(원주파)->점
점->면->점
거리감쇠
역자승법칙적용.
거리2배일 경우, 6dB감쇠
역법칙적용
거리2배일경우, 3dB감쇠
원형면음원, 장방형면음원에서 발생하는 거리에 따라 다름
■ 실험 기구
기구 명
기구 사진
기구의 특징
소음계
소리를 인간의 청감에 대해서 보정을 하여 인간이 느끼는 감각적인 크기의 레벨에 근사한 값으로 측정한다.
어디서든 소음을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기로 마이크로 폰과 dB측정 장치를 함께 묶어놓은 장치다.
측정되는 값의 단위는 dB이고 이번 실험에서는 청감보정을 A로하고 등가 소음 측정 시간을 10초로 한다.
Calibrator
일정한 형태의 소리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이번실험에서는 Calibrator의 주파수를 1kHz로, 94dB의 소리를 발생시킨다.
Level Recorder
각 물리치의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를 연속적으로 기록한다.
소음, 진동 신호의 연속적인 기록이 요구되는 측정 시 소음, 진동계와 연결 출력신호를 파형으로 실시간 기록하는 장치이다. 발파, 철도, 환경, 기계 등의 소음, 진동 등을 기록할 수 있다.
이번실험에 사용한 레코더의 단위는 한 칸에 x축은 3mm/s, y축은 큰 한칸 10dB, 작은 한칸은 1dB이다.
■ 실험 방법
1) 녹음한 소리를 측정&분석
① 3가지 종류의 소리를 녹음해온다.
② MP3에 Calibrator를 사용하여 94dB의 소리를 녹음한다. 이 때 미리 녹음한 3가지 소리와 동일한 볼륨으로 한다.
③ Level Recoder를 사용하여 94dB과, 3가지 소리의 결과를 기록한다.
2) 학교 주변의 소음 측정&분석
- 소음계를 가지고 10가지 장소의 다양한 크기의 소음을 측정한다.(등가 소음 측정 시간은 10초로 동일하게 적용시킨다.)
■ 실험 결과
1) 녹음한 소리를 측정&분석
▶ calibrator는 일정한 소리를 내기 때문에 소음의 크기가 일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버스 안에서의 소리는 주변 소음이 별로 없었지만 버스가 가속을 하거나 안내방송이 나올 때는 증가하지만 대체로 일정하게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강의실(쉬는 시간)에서의 소리는 불규칙하게 나왔는데 학생들에게서 발생하는 소음으로 측정 장치 주변에서의 소음에 따라 예를 들어 갑자기 소리를 내어 떠들면 올라가고 갑자기 말을 멈추고 조용해지면 내려가는 것을 그림으로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로에서의 소리도 불규칙하게 나타나는데 몇 군데에서 갑자기 솟아오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차가 가까이서 지나가거나 경적소리가 났을 때 소음이 커지므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2) 학교 주변의 소음 측정&분석
(등가소음측정시간 : 10초)
측정 사진
장소 / (dB)
층정 사진
장소 / (dB)
1
교정 분수
68.8 dB
6
빈 강의실
66.4 dB
2
학생 식당
67.0 dB
7
K동 PC실
60.6 dB
3
식당 계수대
77.3 dB
8
화장실 변기
80.9 dB
4
식당 정수기
75.6 dB
9
R동 카페(파스쿠찌)
61.8 dB
5
복도
69.7 dB
10
R동 현대미술관
52.4 dB
크기
(dB)
음원의 예
소음의 영향
녹음한 소리
학교주변 소음
20
나뭇잎이 부딪히는 소리
쾌적
30
조용한 농촌, 심야의 교외
수면에 거의 영향 없음
40
조용한 주택의 거실
수면
여기서 옥타브 밴드의 중심 주파수는 각 옥타브 밴드의 하한 주파수와 상한 주파수의 기하학적 중심으로 정한다.
5) 음원의 종류
점음원
선음원
면음원
형태
음원의 예
폭발음, 연소음, 1대의 자동차, 스피커(원거리)
교통소음(철도, 도로)
벽면의 방사음. 스피커(근거리)
거리에 따라
점음원(구면파) ->평면파
점->선(원주파)->점
점->면->점
거리감쇠
역자승법칙적용.
거리2배일 경우, 6dB감쇠
역법칙적용
거리2배일경우, 3dB감쇠
원형면음원, 장방형면음원에서 발생하는 거리에 따라 다름
■ 실험 기구
기구 명
기구 사진
기구의 특징
소음계
소리를 인간의 청감에 대해서 보정을 하여 인간이 느끼는 감각적인 크기의 레벨에 근사한 값으로 측정한다.
어디서든 소음을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는 기기로 마이크로 폰과 dB측정 장치를 함께 묶어놓은 장치다.
측정되는 값의 단위는 dB이고 이번 실험에서는 청감보정을 A로하고 등가 소음 측정 시간을 10초로 한다.
Calibrator
일정한 형태의 소리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이번실험에서는 Calibrator의 주파수를 1kHz로, 94dB의 소리를 발생시킨다.
Level Recorder
각 물리치의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를 연속적으로 기록한다.
소음, 진동 신호의 연속적인 기록이 요구되는 측정 시 소음, 진동계와 연결 출력신호를 파형으로 실시간 기록하는 장치이다. 발파, 철도, 환경, 기계 등의 소음, 진동 등을 기록할 수 있다.
이번실험에 사용한 레코더의 단위는 한 칸에 x축은 3mm/s, y축은 큰 한칸 10dB, 작은 한칸은 1dB이다.
■ 실험 방법
1) 녹음한 소리를 측정&분석
① 3가지 종류의 소리를 녹음해온다.
② MP3에 Calibrator를 사용하여 94dB의 소리를 녹음한다. 이 때 미리 녹음한 3가지 소리와 동일한 볼륨으로 한다.
③ Level Recoder를 사용하여 94dB과, 3가지 소리의 결과를 기록한다.
2) 학교 주변의 소음 측정&분석
- 소음계를 가지고 10가지 장소의 다양한 크기의 소음을 측정한다.(등가 소음 측정 시간은 10초로 동일하게 적용시킨다.)
■ 실험 결과
1) 녹음한 소리를 측정&분석
▶ calibrator는 일정한 소리를 내기 때문에 소음의 크기가 일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버스 안에서의 소리는 주변 소음이 별로 없었지만 버스가 가속을 하거나 안내방송이 나올 때는 증가하지만 대체로 일정하게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강의실(쉬는 시간)에서의 소리는 불규칙하게 나왔는데 학생들에게서 발생하는 소음으로 측정 장치 주변에서의 소음에 따라 예를 들어 갑자기 소리를 내어 떠들면 올라가고 갑자기 말을 멈추고 조용해지면 내려가는 것을 그림으로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로에서의 소리도 불규칙하게 나타나는데 몇 군데에서 갑자기 솟아오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차가 가까이서 지나가거나 경적소리가 났을 때 소음이 커지므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2) 학교 주변의 소음 측정&분석
(등가소음측정시간 : 10초)
측정 사진
장소 / (dB)
층정 사진
장소 / (dB)
1
교정 분수
68.8 dB
6
빈 강의실
66.4 dB
2
학생 식당
67.0 dB
7
K동 PC실
60.6 dB
3
식당 계수대
77.3 dB
8
화장실 변기
80.9 dB
4
식당 정수기
75.6 dB
9
R동 카페(파스쿠찌)
61.8 dB
5
복도
69.7 dB
10
R동 현대미술관
52.4 dB
크기
(dB)
음원의 예
소음의 영향
녹음한 소리
학교주변 소음
20
나뭇잎이 부딪히는 소리
쾌적
30
조용한 농촌, 심야의 교외
수면에 거의 영향 없음
40
조용한 주택의 거실
수면
추천자료
환경 오염의 실태
학교환경관리
[사회과학] 사회문제가 된 주거환경의 사례분석
대구대 가상수업 주거와 환경 레포트
한반도 내의 환경문제
[환경공학]우리나라 환경&환경오염 실태&환경오염현황에 관한 보고서^^
교통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그 최소화 방안
[환경교육][도덕교육][지리교육]환경교육의 정의, 환경교육의 목표, 환경교육의 중요성, 환경...
[학교환경교육]학교환경교육의 정의, 학교환경교육의 과정, 학교환경교육의 역할, 학교환경교...
[환경교육][환경교육의 지도상 유의점]환경교육의 정의, 환경교육의 배경, 환경교육의 목적, ...
[주거환경][주거환경과 리모델링][주거환경과 탈빈곤][주거환경의 정책과제]주거환경의 정의,...
우리지역의 환경문제와 대책방안
[환경학] 공해(公害)의 종류와 대응 방안에 관해서
지역사회간호학) 유해환경과 직업병관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