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컴퓨터/통신] 특수가공법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학/컴퓨터/통신] 특수가공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특수가공--------------------------------------------------4p

(2)특수가공 구분,분류------------------------------------------5p

(3)특수 가공공정의 특성----------------------------------------6p

(4)방전 가공-------------------------------------------------7p
4.1방전 원리
4.2방전 가공 단계
4.3방전 가공(EDM)의 종류
다이 방전-----------------------------10p
와이어컷팅----------------------------11p
형방전가공기--------------------------13P
4.4 방전가공의 장.단점
4.5방전 가공의 응용분야
4.6방전가공의 미래
4.7관련 회사

(5) 와이어 방전 가공-----------------------------------------15p
5.1 와이어 방전가공 정의
5.2 가공의 원리
5.3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특징
5.4 와이어 방전 가공기의 구성
5.5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 특성
5.6 가공 조건과 가공 특성
5.7 가공 속도와 조건과의 관계
5.8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 방법

(6)전자빔 가공-----------------------------------------------19p
6.1전자빔 정의
6.2 전자빔 용접의 원리
6.3 전자빔 용접의 장점
6.4 전자빔 용접의 활용
6.5 관련 회사

(7)초음파 가공-----------------------------------------------25p
7.1 초음파 가공 정의
7.2 초음파 가공 방법
7.3초음파를 이용한 연삭
7.4초음파를 이용한 용접
7.5 초음파를 이용한 파쇄가공
7.6초음파 가공의 장.단점
7.7 초음파 가공의 응용
7.8 관련 회사

(8)전해 가공-------------------------------------------------30p
8.1 전해 가공 정의
8.2 전해가공의 특성
8.3전해가공의 장,단점
8.4 전해가공의 응용
8.5 국내외 전해가공기술의 연구동향
8.6 특허로 나타난 전해가공의 기술변화 추이
8.7 전해가공기술의 전망

(9)전해 연삭--------------------------------------------------43p
9.1 전해 연삭 정의
9.2 전해 연삭 원리와 구성
9.3 전해연삭용 숫돌
9.4 전해연삭의 장.단점
9.5 전해 연삭의 응용

(10)전해 인-프로세스 드레싱(ELID)에 의한 초정밀 가공(경면 연삭)-----46P
10.1 ELID 연삭의 원리
10.2 ELID 연삭 시스템의 구성
10.3 전해가공 관련회사

(11)플라즈마 가공----------------------------------------------49p
11.1 Plasma 의 정의
11.2 Plasma 의 상태(제 4의 상태)
11.3 Plasma 기술의 응용
11.4 플라즈마 아크용접
11.5 플라즈마 아크 용접의 분류
11.6 플라즈마 아크용접 장.단점
11.7 관련회사

본문내용

특징은 부분품의 기계 가공을 완전히 마친 후 용접을 실시하는 공정 설계를 가능케 한다.
< 난용접성 재료의 결합 ( Joining Unweldable Materials ) >
금속 가운데는 용접시 크랙 ( Crack ) 발생으로 인하여 용접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되는 것이 있다.
크랙은 고체 물질의 열영향 부분의 파단 강도 ( Fracture strength ) 를 초과한 수축에 의해 틈( Strain ) 이 발생한 것이다. 전자빔 용접에서의 수축 틈은 아주 작기 때문에 크랙 발생 가능성이 적고, 경우에 따라 다른방법으로 용접했을 때 발생한 크랙을 전자빔 용접으로 보수하는 것도 가능하다.
< 초점조정으로 원거리 용접 ( Long Focus ) >
전자 렌즈 ( Electron lens ) 의 초점 길이는 아주 길다.
전자빔 용접기는 자기 초점 렌즈( Magmetic focusing lens )와 용접판 사이의 거리가 1m 이상 에서도 용접이 가능하다. 용접사 ( Welder ) 가 접근할 수 없는 아주 좁은곳도 전자빔은 1mm 의 틈새를 통과하여 용접할 수 있으며, 설치된 위치가 기하학적으로 용접이 불가능한 제약된 위치에서도 용접이 가능하다.
< 광범위한 용접 두께 ( Wide Thickness Range ) >
용접 파라미터 ( Parameter ) 의 조정에 의해 한 대의 용접기를 사용하여 여러 종류의 두께 용접이 가능하다.
그리고 두꺼운 물체와 얇은 것의 용접이 가능하다.
일반적인 용접에서는 아주 얇은것과 두꺼운 것의 용접은 열이 열전도의 상이함에 따라 용접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전자빔 용접에서는 열이 그 물질 니에서 발생되어 지기 때문에 두께의 차이에 상관없이 용접이 가능하다.
< 이종 금속의 용접 ( Dissimiar metals Welding ) >
전자빔 용접은 광범위한 이종금속 ( Dissimilar metals ) 의 결합에 사용될 수 있다.
이종 금속간 용접은 동일 구조물 내에서의 부분적으로 차별화된 기계적특성을 요구할 때나 열 혹은 전기 전도성과 기계적 강도를 동시에 요구될 경우 및 고가의 재료를 절약하기 위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된다.
이종 금속의 용접시 물리적인 성질이 제한 조건이 될 수 있으나 두 모재간의 금속학적인 거동이 중요하다.
Table 2 에 이종 금속간의 용접성을 나타내었다.
< 다층 투과 기능 ( Multiple Penetration ) >
전자빔 용접에서는 여러 장의 얇은 판재를 겹쳐 용접하고자 할 때, 각각의 두께를 합한 것과 같은 두께의 한 장의 판재를 용접할 때와 같은 파라메타의 출력이 요구된다.
이 기능은 전자빔만의 독특한 특징이며, 새로운 개념의 구조 설계를 가능케 하여 준다.
6.4전자빔 용접의 활용
< 전자빔 용접의 적용 포인트 >
전자빔 용접의 특징을 살려서 생산에 적용하면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부가가치를 얻을 수 있다.
(1) 금속학적인 측면
- 텅스텐, 탄탈, 지르코늄 등 난용성 금속
- 알루미늄 합금의 열화에 의한 용접 강도 저하의 방지
- 타이타늄 등의 고온 산화의 방지
- 스테인레스 강의 카아바이드 석출 방지
- 이종 금속간의 용접
- 고니켈강의 고온 균열 ( Hot Crack ) 저감
- 동, 은과 같은 열 전도성 재료의 용접 용이
- 용접부에 불순물, Gas 혼입 방지
- 도전체의 전기 전도율의 유지
(2) 구조 설계적인 측면
- 완벽한 용접 및 결함 제거로 강도 및 신뢰성 향상
- 타 용접 방식으로 용접이 어려운 얇은 재료
- T-Joint 의 투과 용접 적용
- 용접 강도의 향상으로 최종 생산품의 경량화 실현
- 용접 변형의 방지
- 용기 내부의 진공 봉합
- 외관산 용접면의 청결화
- 접근이 어려운 용접 조인트
- 내부에 물질을 충진시킨 상태에서 열영향 없이 용접 가능
- 예열 - 용접 - 서냉/후열 처리가 동시에 연계적으로 가능
(3) 경제적 측면
- 후판 용접시 작업 시간 단축
- 용가재, Sealing Gas 및 Flux 등 부자재 절감
- 대량 생산시 자동화로 생산성 향상
- Gloove 가공 불필요
- 용접 후 Grinding 등의 후처리 인건비 절감
6.5 전자빔 가공 관련 회사
http://www.diymeca.com/
http://www.serontech.co.kr/
http://www.n-barotech.co.kr/
http://www.finetech-w.co.kr/
http://www.enwoo.net/
(7)초음파 가공(ultrasonic machining)
7.1 초음파 가공 이란?
초음파 가공이란 상하방향으로 초음파 진동을 하는 공구와 공작물 사이에 숫돌입자와 공작액을 넣고 이 숫돌입자의 날로 공작물을 다듬질하는 방법이다.
7.2 초음파 가공 방법
전원으로부터 초음파 발진장치를 거쳐 자기변형 진동자에 고주파 전류를 보내면 용기의 내부에 있는 진동자는 16-30KHz의 초음파 진동을 일으킨다.
이때 발생하는 진동자의 진폭은 수 밀리 미크론에 불과하지만 원뿔대에서 혼으로 전달되는 사이에 증폭 된다.
7.3 초음파를 이용한 연삭
(진동자와 혼의 연결은 어떻게 할까?)
-진동자와 혼은 납땜으로 붙인다.
-혼과 공구는 나사로 연결한다.
-공구의 재질은 스프링강, 피아노선, 스테인리스강, 텅스텐 탄화물 등을 이 용한다.
7.4 초음파를 이용한 용접
(초음파 가공의 특징)
-도체가 아닌 부도체도 가공이 가능하다.
-가공액으로 물이나 경유등을 사용하므로 가격이 싸고 취급이 용이하다.
-그러나 가공속도가 느리고 공구마멸이 크며, 가공길이나 면적에 제한이 있다.
7.5 초음파를 이용한 파쇄가공
(초음파 가공의 용도)
-유리기구에 눈금, 무늬, 문자 등을 조각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석영, 유리에 나사를 정밀하게 가공하는 경 우에 이용한다.
-수정, 반도체, 도자기, 세라믹등의 재료에 미세한 구멍가공과 절단을 하는 경우 이용 한다.
7.6 초음파 가공의 장. 단점
초음파가공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어 반도체를 비롯한 특수 가공용으로 많이 응용되는 가공방법이다.
1)초음파 가공은 숫돌입자에 의한 미세 파쇄가공이므로 단단하고 취성이 있는 재료의 정밀 가공에 적절하다.또한 가공물이
  • 가격8,000
  • 페이지수53페이지
  • 등록일2011.06.25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65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