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2
생물테러의 정의
Ⅱ. 본론 ------------------------- 2
1. 생물테러의 역사적 기원 및 발생현황 .......... 2
2. 생물무기의 특징 ...................................... 3
3. 생물테러 병원체 및 질병 .......................... 3
(1) 탄저균 .................................................... 3
(2) 두창 .................................................... 5
(3) 보툴리눔 독소증 ................................... 8
(4) 페스트 ................................................. 9
(5) 바이러스성 출혈열................................. 11
(6) 야토병 ................................................ 12
(7) 리신 ................................................... 14
Ⅲ. 맺음말 ---------------------- 15
Ⅳ. 참고문헌 -------------------- 15
생물테러의 정의
Ⅱ. 본론 ------------------------- 2
1. 생물테러의 역사적 기원 및 발생현황 .......... 2
2. 생물무기의 특징 ...................................... 3
3. 생물테러 병원체 및 질병 .......................... 3
(1) 탄저균 .................................................... 3
(2) 두창 .................................................... 5
(3) 보툴리눔 독소증 ................................... 8
(4) 페스트 ................................................. 9
(5) 바이러스성 출혈열................................. 11
(6) 야토병 ................................................ 12
(7) 리신 ................................................... 14
Ⅲ. 맺음말 ---------------------- 15
Ⅳ. 참고문헌 -------------------- 15
본문내용
및 소독을 통해 쉽게 사멸된다.
④ 치료
항생제 치료 지침
- Gentamicin 3-5mg/kg/day, 정맥투여, 10-14일간 투여
- Ciprofloxacin 400mg씩 12시간마다 정맥 투여, 증상이 호전되면 경구 투여로 500mg을 하루에 2번 투여, 10-14일간 투여
- Ciprofloxacin 750mg, 12시간마다 경구투여, 10-14일간 투여
- Streptomycin 7.5-10mg/kg씩 12시간마다 근육투여, 10-14일간 투여
※ streptomycin이 야토병의 으뜸치료제이지만, 한꺼번에 많은 streptomycin을 구하는 일이 쉽지 않고 1950년대에 streptomycin에 내성을 가진 균이 생물 무기로 개발되어 이 내성균을 여러 나라가 가지고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생물학적으로 야토병이 생기면 gentamicin을 먼저 생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⑤ 예방
폭로전 예방 - 탄저나 페스트를 예방할 목적으로 투여하는 항생제(ciprofloxacin, doxycycline)는 야토병에도 효과가 있다.
폭로 후 예방 - tetracycline 500mg을 1일 4회 2주간 경구투여하거나 ciprofloxacin 500mg을 하루에 2번씩 2주간 경구투여 또는 doxycycline 100mg을 하루에 2번씩 경구투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7) 리신
리신은 피마자(Ricinus communis : 아주까리)의 종자에 존재하는 독성을 가진 알부민의 일종으로 많은 식물의 잎, 뿌리, 구근 등과 특히 콩과 식물의 종자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적혈구를 응집하는 식물적혈구응집소(Phytohemagglutinin : PHA) 중의 하나이다.
① 생물무기로서의 리신
리신은 매우 적은 용량으로도 강력한 독성을 발휘하며 독성물질이 에어로졸 상태로 살포될 수 있기 때문에 미국 CDC에서 Class B로 분류되는 독성물질이다. 전 세계적으로 구하기가 쉽고 독성이 강하며 독성분을 추출하기가 쉬워 생물학적 무기로 쉽게 사용될 수 있다. 탄저균이나 보툴리눔 보다 생산하기가 쉽기 때문에 테러분자들이 많이 사용한다. 실제로 2003년 1월 알 자르카위가 보낸 테러리스트들이 영국의 군대 음식에 리신을 넣을 계획을 세웠다가 사전에 적발되었고, 미국에서는 테러 목적으로 추정되는 리신이 동봉된 우편물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2003년 3월에는 프랑스에서도 알카에다에 의한 리신 테러 정보가 입수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최근 리신에 의한 생물학적 테러의 움직임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국내에는 아직 리신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리신 테러는 우리나라도 예외일 수 없으며 테러 발생시 이를 치료할 해독제가 없기 때문에 보건당국의 리신 테러 발생에 대한 관리와 대책이 있어야 하겠다.
② 역학적 특성
리신 중독은 사람에서 사람으로 즉 사람 접촉에 의하여 전파되지 않는다. 섭취, 흡입, 주사 등으로 인간에게 독성을 나타낼 수 있는데, 주사의 경우 0.5 mg만으로도 성인을 사망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흡입이나 섭취에 의하여 사망에 이르게 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양이 필요하다.
③ 임상적 특성
리신 중독의 특징은 몇 시간에 걸쳐 서서히 나타나고 폭로경로와 양에 따라 다르다. 흡입에 의한 증상은 열, 기침, 구토, 호흡곤란 등이 나타난다. 섭취에 의한 경우는 위장관계 상피세포의 괴사, 간, 비장, 신장의 괴사, 혈변성 설사, 구토, 탈수, 저혈압, 발작, 환시, 혈뇨 등이 나타난다. 근육주사의 경우 근육과 주위 림프선의 괴사가 나타난다. 폐부종, 성인호흡곤란증후군, 호흡부전이 나타나면 사망하게 된다.
④ 병인론
세포 수준에서의 분자적 기전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았으나 1987년 Endo 등이 리신의 A polypeptide와 B polypeptide 두개의 chain이 disulfide bond로 연결되어 있고, 이중 A chain이 세포 내에서 60S ribosomal subunit의 활성을 저해하여 단백합성을 방해함으로써 세포가 죽게 되고 결국 필수 단백의 대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몸 전체가 무너져 서서히 사망하게 된다고 발표하였다. B chain은 독성을 나타내는 부위가 없고 세포표면에 결합하여 A chain의 세포 내 침투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⑤ 진단
임상진단 - 정확한 리신의 역학적 지식 하에 임상적인 추정으로 진단한다.
실험실 지원 및 진단 - 혈청과 호흡 분비물에 대한 특이항원검사나 조직에 대한 면역화학조직염색법이 도움을 준다. 혈청전환(seroconversion) 확인도 도움이 될 수 있다.
⑥ 치료
현재 해독제가 없기 때문에 리신 중독이 발생하면 보존적 대증적 치료밖에 없다.
Ⅲ. 맺음말
생물테러라는 말이 이제는 생소하지 않다. 몇 년 전 9.11테러로 전 세계가 떠들썩했던 기억이 가물가물 생각난다. 뉴스만 틀면 테러의 심각성과 문제점을 연일 보도했던 그때이지만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것이 아니라, 그 심각성을 새삼 실감하지 못했던 게 사실이다. 몇 년이 지난 지금 생물테러는 영화의 소재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위험성은 정말 말로 표현 못할 만큼 심각하다. 생물테러를 조사하면서 본 사례든가 사진들을 보면 그 심각성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생물테러대응 종합정보망이라는 공식 홈페이지가 있다는 것도 처음 알았다. 그 싸이트에선 생물테러에 대한 정보는 물론 생물테러에 대한 대비라든지 대응방법 뿐만 아니라 세계테러동향에 대해서도 나와 있었다. 생물화학이란 것이 인간의 편의를 위해서 연구되어야 하지 테러라는 나쁜 의도로 사용되고 있다는 게 안타깝다. 지금으로썬 예방하고 그 균에 대한 백신이나 치료법을 개발하는 것이 최우선의 과제인 것 같다.
Ⅳ. 참고문헌
루이스M. 사이먼스. 2002
생물테러가능 병원체와 실험실에 대한 안전 등급제도 및 운영방안 개발 논문 김용익,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 교실
http://blog.naver.com/ohedel?Redirect=Log&logNo=20078828454
생물테러대응 종합정보망 http://bioterrorism.cdc.go.kr/
④ 치료
항생제 치료 지침
- Gentamicin 3-5mg/kg/day, 정맥투여, 10-14일간 투여
- Ciprofloxacin 400mg씩 12시간마다 정맥 투여, 증상이 호전되면 경구 투여로 500mg을 하루에 2번 투여, 10-14일간 투여
- Ciprofloxacin 750mg, 12시간마다 경구투여, 10-14일간 투여
- Streptomycin 7.5-10mg/kg씩 12시간마다 근육투여, 10-14일간 투여
※ streptomycin이 야토병의 으뜸치료제이지만, 한꺼번에 많은 streptomycin을 구하는 일이 쉽지 않고 1950년대에 streptomycin에 내성을 가진 균이 생물 무기로 개발되어 이 내성균을 여러 나라가 가지고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생물학적으로 야토병이 생기면 gentamicin을 먼저 생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⑤ 예방
폭로전 예방 - 탄저나 페스트를 예방할 목적으로 투여하는 항생제(ciprofloxacin, doxycycline)는 야토병에도 효과가 있다.
폭로 후 예방 - tetracycline 500mg을 1일 4회 2주간 경구투여하거나 ciprofloxacin 500mg을 하루에 2번씩 2주간 경구투여 또는 doxycycline 100mg을 하루에 2번씩 경구투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7) 리신
리신은 피마자(Ricinus communis : 아주까리)의 종자에 존재하는 독성을 가진 알부민의 일종으로 많은 식물의 잎, 뿌리, 구근 등과 특히 콩과 식물의 종자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적혈구를 응집하는 식물적혈구응집소(Phytohemagglutinin : PHA) 중의 하나이다.
① 생물무기로서의 리신
리신은 매우 적은 용량으로도 강력한 독성을 발휘하며 독성물질이 에어로졸 상태로 살포될 수 있기 때문에 미국 CDC에서 Class B로 분류되는 독성물질이다. 전 세계적으로 구하기가 쉽고 독성이 강하며 독성분을 추출하기가 쉬워 생물학적 무기로 쉽게 사용될 수 있다. 탄저균이나 보툴리눔 보다 생산하기가 쉽기 때문에 테러분자들이 많이 사용한다. 실제로 2003년 1월 알 자르카위가 보낸 테러리스트들이 영국의 군대 음식에 리신을 넣을 계획을 세웠다가 사전에 적발되었고, 미국에서는 테러 목적으로 추정되는 리신이 동봉된 우편물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2003년 3월에는 프랑스에서도 알카에다에 의한 리신 테러 정보가 입수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이 최근 리신에 의한 생물학적 테러의 움직임이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나, 국내에는 아직 리신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리신 테러는 우리나라도 예외일 수 없으며 테러 발생시 이를 치료할 해독제가 없기 때문에 보건당국의 리신 테러 발생에 대한 관리와 대책이 있어야 하겠다.
② 역학적 특성
리신 중독은 사람에서 사람으로 즉 사람 접촉에 의하여 전파되지 않는다. 섭취, 흡입, 주사 등으로 인간에게 독성을 나타낼 수 있는데, 주사의 경우 0.5 mg만으로도 성인을 사망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흡입이나 섭취에 의하여 사망에 이르게 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양이 필요하다.
③ 임상적 특성
리신 중독의 특징은 몇 시간에 걸쳐 서서히 나타나고 폭로경로와 양에 따라 다르다. 흡입에 의한 증상은 열, 기침, 구토, 호흡곤란 등이 나타난다. 섭취에 의한 경우는 위장관계 상피세포의 괴사, 간, 비장, 신장의 괴사, 혈변성 설사, 구토, 탈수, 저혈압, 발작, 환시, 혈뇨 등이 나타난다. 근육주사의 경우 근육과 주위 림프선의 괴사가 나타난다. 폐부종, 성인호흡곤란증후군, 호흡부전이 나타나면 사망하게 된다.
④ 병인론
세포 수준에서의 분자적 기전은 명확히 알려져 있지 않았으나 1987년 Endo 등이 리신의 A polypeptide와 B polypeptide 두개의 chain이 disulfide bond로 연결되어 있고, 이중 A chain이 세포 내에서 60S ribosomal subunit의 활성을 저해하여 단백합성을 방해함으로써 세포가 죽게 되고 결국 필수 단백의 대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몸 전체가 무너져 서서히 사망하게 된다고 발표하였다. B chain은 독성을 나타내는 부위가 없고 세포표면에 결합하여 A chain의 세포 내 침투를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⑤ 진단
임상진단 - 정확한 리신의 역학적 지식 하에 임상적인 추정으로 진단한다.
실험실 지원 및 진단 - 혈청과 호흡 분비물에 대한 특이항원검사나 조직에 대한 면역화학조직염색법이 도움을 준다. 혈청전환(seroconversion) 확인도 도움이 될 수 있다.
⑥ 치료
현재 해독제가 없기 때문에 리신 중독이 발생하면 보존적 대증적 치료밖에 없다.
Ⅲ. 맺음말
생물테러라는 말이 이제는 생소하지 않다. 몇 년 전 9.11테러로 전 세계가 떠들썩했던 기억이 가물가물 생각난다. 뉴스만 틀면 테러의 심각성과 문제점을 연일 보도했던 그때이지만 우리나라에서 일어난 것이 아니라, 그 심각성을 새삼 실감하지 못했던 게 사실이다. 몇 년이 지난 지금 생물테러는 영화의 소재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그 위험성은 정말 말로 표현 못할 만큼 심각하다. 생물테러를 조사하면서 본 사례든가 사진들을 보면 그 심각성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생물테러대응 종합정보망이라는 공식 홈페이지가 있다는 것도 처음 알았다. 그 싸이트에선 생물테러에 대한 정보는 물론 생물테러에 대한 대비라든지 대응방법 뿐만 아니라 세계테러동향에 대해서도 나와 있었다. 생물화학이란 것이 인간의 편의를 위해서 연구되어야 하지 테러라는 나쁜 의도로 사용되고 있다는 게 안타깝다. 지금으로썬 예방하고 그 균에 대한 백신이나 치료법을 개발하는 것이 최우선의 과제인 것 같다.
Ⅳ. 참고문헌
루이스M. 사이먼스. 2002
생물테러가능 병원체와 실험실에 대한 안전 등급제도 및 운영방안 개발 논문 김용익, 서울대학교 의료관리학 교실
http://blog.naver.com/ohedel?Redirect=Log&logNo=20078828454
생물테러대응 종합정보망 http://bioterrorism.cdc.go.kr/
추천자료
이라크 전쟁의 정치적 경제적 배경과 전후 복구사업 모색
동성애의 원인에 대한 고찰
[바이러스][노러바이러스][코로나바이러스][바이러스검출방법]바이러스 사례를 통해 본 바이...
[배양][배양법][고체 배양법][춘란 배양법][발효용 비료용 누륵종자 배양법]배양에 영향을 주...
[RNA][리보핵산][생명기원론][단백질합성]RNA(리보핵산)의 개념, RNA(리보핵산)의 종류, RNA(...
현미경의 종류와 사용법
생활공간 미생물의 분리 및 관찰
[곰팡이][탐구실험][곰팡이독소][섬유소][병충해][곰팡이활용]곰팡이의 의미, 곰팡이의 분류,...
Myxobacteria와 Dictyostelium
세포의관찰
국제國際테러리즘의 변화와 지속성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의 기술 및 사회경제적 접근으로의 고찰
1 토양균 streaking(예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