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지각운동능력발달
2-1. 지각능력 발달
2-2. 운동능력 발달
3. 월령별 지각운동능력발달을 도울 수 있는 활동안
3-1. 0-6개월
3-2. 7-12개월
3-3. 13개월-18개월
3-4. 19개월-24개월
4. 참고 자료
2. 지각운동능력발달
2-1. 지각능력 발달
2-2. 운동능력 발달
3. 월령별 지각운동능력발달을 도울 수 있는 활동안
3-1. 0-6개월
3-2. 7-12개월
3-3. 13개월-18개월
3-4. 19개월-24개월
4. 참고 자료
본문내용
을 키울 수 있고, 넓은 의미로는 신체 이동 능력이 발달한다.
생후 9-10개월이 되면 아이의 앞뒤에서 기어가기를 유도한다. 자유자재로 기어다임으로써 팔과 다리를 스스로 통제하고 온 몸을 조절하는 능력을 기르게 되는데, 이런 운동은 보다 안전한 걷기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생후 11-12개월이 되면 아이보다 조금 큰 책상을 놓아 두고 아이가 잡고 걸어갈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옆에서 손뼉을 치거나 격려를 아끼지 말아야 하는데, 응원에 힘입어 자신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운동은 정신이 뇌를 통해 손과 발을 통제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고, 팔과 다리의 근력을 길러 준다.
3) 13개월-18개월
반복적인 놀이를 즐기며 시행착오를 거쳐 새로운 문제에 대한 해결책 모색한다.
놀잇감 끈을 매달아 놓고 끈을 잡았다 놓았다 하거나 2개에서 3개이상 블록을 쌓아볼 수 있도록 블록놀이를 통해 플라스틱이나 나무로 된 놀이감을 쥐어준다.
모방놀이를 즐겨하므로 주방에서 볼수있는 놀이를 주고 일상생활에서 볼수있는 놀이를 한다. 소리를 인식하고 리듬이나 흥미있는 놀이를 경청한다.
그리고 율동을 하면서 아이가 따라하게 하거나, 손뼉을 쳐 엄마 곁으로 오도록 유도한다. 이 때 흥겨운 분위기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벽에 기대는 활동은 신체 지탱 능력의 발달을 가져올 수 있고, 나아가 정서적으로 의지의 발달을 도와 준다.
4) 19개월-24개월
놀이감의 반응을 살피면서 놀기를 즐기고 다양한 촉감의 놀이감을 선호 하며 소리가 나는 곳에 강한 관심을 나타내므로 누르면 소리 나고 튀어나오고 돌아가능거나
여러가지의 느낌이나 천으로 된 느낌의 인형 냄비 컵 주전자와 같은 일상같은 높음을 영아의 눈높이에 매달아 주고 마음대로 두들겨 볼수 있도록 한다.
평소에는 공을 던지고 굴리는 동작의 기회도 자주 갖는 것이 좋은데, 공을 던지고 쫓아가는 운동을 시키면 손과 눈의 공조 기능이 발달한다. 단, 던질 때는 헝겊공이나 고무공과 같이 부드럽고 안전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말 태워 균형 감각 키우기를 한다. 엄마는 누워서 무릎을 구부리고 아이를 배 위에 태운 뒤 배에 반동을 준다. 이 때 아이가 안정감을 느끼도록 손을 잡고, 리듬과 진동에 변화를 주며 즐겁게 논다. 극도의 균형 능력을 발달시켜 줄 뿐만 아니라 정서와 인지 발달을 돕는다.
수건 잡아당겨 힘 경험하기를 한다. 아이와 마주 앉아 수건을 맞잡고 잡아당긴다. 이 때 ‘으
생후 9-10개월이 되면 아이의 앞뒤에서 기어가기를 유도한다. 자유자재로 기어다임으로써 팔과 다리를 스스로 통제하고 온 몸을 조절하는 능력을 기르게 되는데, 이런 운동은 보다 안전한 걷기를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효과가 있다.
생후 11-12개월이 되면 아이보다 조금 큰 책상을 놓아 두고 아이가 잡고 걸어갈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옆에서 손뼉을 치거나 격려를 아끼지 말아야 하는데, 응원에 힘입어 자신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운동은 정신이 뇌를 통해 손과 발을 통제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고, 팔과 다리의 근력을 길러 준다.
3) 13개월-18개월
반복적인 놀이를 즐기며 시행착오를 거쳐 새로운 문제에 대한 해결책 모색한다.
놀잇감 끈을 매달아 놓고 끈을 잡았다 놓았다 하거나 2개에서 3개이상 블록을 쌓아볼 수 있도록 블록놀이를 통해 플라스틱이나 나무로 된 놀이감을 쥐어준다.
모방놀이를 즐겨하므로 주방에서 볼수있는 놀이를 주고 일상생활에서 볼수있는 놀이를 한다. 소리를 인식하고 리듬이나 흥미있는 놀이를 경청한다.
그리고 율동을 하면서 아이가 따라하게 하거나, 손뼉을 쳐 엄마 곁으로 오도록 유도한다. 이 때 흥겨운 분위기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벽에 기대는 활동은 신체 지탱 능력의 발달을 가져올 수 있고, 나아가 정서적으로 의지의 발달을 도와 준다.
4) 19개월-24개월
놀이감의 반응을 살피면서 놀기를 즐기고 다양한 촉감의 놀이감을 선호 하며 소리가 나는 곳에 강한 관심을 나타내므로 누르면 소리 나고 튀어나오고 돌아가능거나
여러가지의 느낌이나 천으로 된 느낌의 인형 냄비 컵 주전자와 같은 일상같은 높음을 영아의 눈높이에 매달아 주고 마음대로 두들겨 볼수 있도록 한다.
평소에는 공을 던지고 굴리는 동작의 기회도 자주 갖는 것이 좋은데, 공을 던지고 쫓아가는 운동을 시키면 손과 눈의 공조 기능이 발달한다. 단, 던질 때는 헝겊공이나 고무공과 같이 부드럽고 안전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말 태워 균형 감각 키우기를 한다. 엄마는 누워서 무릎을 구부리고 아이를 배 위에 태운 뒤 배에 반동을 준다. 이 때 아이가 안정감을 느끼도록 손을 잡고, 리듬과 진동에 변화를 주며 즐겁게 논다. 극도의 균형 능력을 발달시켜 줄 뿐만 아니라 정서와 인지 발달을 돕는다.
수건 잡아당겨 힘 경험하기를 한다. 아이와 마주 앉아 수건을 맞잡고 잡아당긴다. 이 때 ‘으
키워드
추천자료
발달이론가들 비교분석
교육심리 - Piaget 인지발달의 단계별 특성 Vygotsky의 학습과 발달의 관계의 근접발달영역 ...
[아동발달] 피아제와 비고츠키 이론에 대하여 비교하여 논하시오.
피아제의 인지발달단계 [인문과학]
인간발달의 의의, 인간발달의 주요영역, 인간발달의 단계, 인간발달심리학의 태동, 프로이드...
[교육학] 피아제의 인지 발달 이론
영유아기 연령별 발달특성에 대한 서술
5세유아의 놀이발달 특징
[미술감상][미술감삼활동][미술작품감상][미술품]미술감상의 개념, 미술감상의 필요성, 미술...
[사회과학]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에 대하여 실제 삶에서 나타나는 예시들을 적용하여 상세하...
[유아교육과] 부모교육4A) 영아기 발달 특성과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역할에 관하여 논하시오
<아동안전관리 공통> 2세아의 신체 인지 정서 발달적 특성과 안전사고 관련성 및 안전사고를 ...
<아동안전관리> 2세아의 발달적특성과 안전사고 관련, 안전사고 예방방안, 영유아에 대한 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