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내용
설명 및 방법
관찰 및 수행여부
✍참고문헌
설명 및 방법
관찰 및 수행여부
✍참고문헌
본문내용
들 피부색의 변화는 정상적 소견으로서 일시적으로 나타났다가 자연 소실된다. 몽고인 반점(mongolian spot)은 몸의 선골이나 둔부에 나타나는 옅은 파란색의 경계가 분명한 색소 침착으로 주로 흑인이나 동양인에서 관찰된다. 패립종(milia)은 기름샘이 폐색, 확대되어 작고 하얀 구진을 형성한 것으로 뺨, 턱, 코에 나타나며, 생후 2-3주 내에 자연적으로 소실된다.
피부 탄력성
만삭아의 피부는 탄력성이 moderate하다. 이는 피하조직에 수분이 양호 하다는 의미이며, 피부 탄력성은 복부아래의 피부를 약하게 쥐었다가 놓음으로써 사정할 수 있다.
쥐었을 때의 주름이 곧 펴지면 탄력성이 좋음을 의미한다. 탄력성은 자유롭게 당겨져야 하고, 이완시켰을 때 원상태로 재빨리 돌아온다.
태지
(vernix caseosa)
회백색의 치즈같은 물질로 덮여 있는데, 이것은 기름샘과 상피세포의 분비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부가 접히는 부분에 많다. 태아 기름막은 목욕할 때 제거하지 않더라고 1~2일에 건조되어 없어진다. 정상 신생아보다 미숙아에게서 더욱 뚜렷하다. 목, 겨드랑이, 서혜부 등 피부가 접히는 곳에 많이 생기는데, 미숙아는 더 두텁게 나타난다.
솜털
(lanugo)
전 신에 있는 가늘고 부드러운 털로서, 특히 이마, 뺨, 어깨와 등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태생기 때 즉, 어머니 배 안에서 태아가 발생하여 태아가 발생하여, 약 20 주간이 되어 그 인생에 처음으로 나타나는 신생아의 신체를 덮고 있는 가늘고 부드러운 털. 두피, 눈썹을 대부분 덮고, 미숙아에게서는 얼굴에도 덮여 있으며 주로 어깨, 손발, 이마. 관자놀이 등에 분포. 태아 16주~32주경에 없어지기 시작한다.
속립진
(milia)
기름샘이 폐색, 확대되어 작고 흰 구진을 형성한 것으로 뺨, 턱, 코에 나타난다. 피지선에 피지의 정체가 일어나 발생하며 백색 내지 황색의 작은 (1~2mm) 표재성구진이 보인다. 표면에 전개를 하고 내용물을 배출시켜 치료할 수 있으나, 대개는 생후 수일이내에 자연히 소실된다. (이것은 2~3주내에 자연적으로 소실)
주형
(molding)
거 의 모든 질식분만 신생아에게서 나타나는 것으로 두정위 분만인 경우에 머리는 보통 이마에서 편평하고 두정골의 끝이 불룩 올라오고 후두골은 급한 경사를 이룬다. 출생 1~2일 까지 보다 둥근, 보통 모양의 윤곽이 명백해진다. 머리의 모양이 변하는 것은 두개골이 융합되어 있지 않아서 분만과정에서 산도의 크기의 맞추기 위해 두개골의 끝이 포개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형은 제왕절개에 의해 출생한 신생아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머리의 변형은 아두가 골반 내에 오랫동안 함입되어 있던 경우 더욱 현저하게 나타난다. 제왕절개나 둔위로 분만한 신생아의 머리는 특징적으로 둥글다. 봉합선은 생후1-2일간 중첩되어 있어 잘 만져지지 않고, 약간 융기되어 있다.
산류
(caput succedanum)
두 개 선진부의 종창 혹은 부종을 의미(두피와 골막 사이에 생긴 부종)하며, 한 부위에 국한되거나 광범위하게 생길 수 있고, 자연분만 중 두 개에 가해지는 압력 때문에 발생되며, 생후 수일 내에 서서히 흡수되어 대개 생후3일 후에는 소실된다.
대천문
(anterior fontanel)
대천문은 가로 2~3cm이고, 세로 3~4cm크기의 마름모꼴로 시상봉합과 관상봉합, 전두봉합 사이에 위치하며 두개의 두정골과 두개의 융합된 전두골의 결합이다. 전두골과 두정골 중간부분쯤에서 만져지며 모양은 다이아몬드형이며, 엄지손가락 한마디 정도의 크기이다. 보통 12~18개월에 닫힌다.
소천문
(posterior fontanel)
소천문은 0.5~1cm 길이의 삼각형으로 대천문보다 작고 시상봉합과 인지봉합 사이에 위치하며 후두골 부분에서 촉지 할 수 있다. 엄지손가락하나로 딱 만져진다. 소천문은 너무 작아서 촉지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소천문은 보통 2개월 말에 닫힌다. 산류(caput succedaneum)봉합선을 넘어 부어있는 것처럼 머리에서 작게 촉지 되어있다. 산류는 머리의 선단부인 두개부위의 부종이다. 머리의 대부분을 차지할 수도 있고 거위 알 만한 크기일 수도 있다. 부종은 봉합을 넘어가며, 3일경에 점차 흡수되어 사라진다. 치료는 필요 없다.
상피진주
(epstein pearl)
포피 끝에 있는 흰색의 작고 단단한 병변이다.
여성 생식기
대음순, 소음순과 음핵은 부종이 있고 태지가 많다. 음순과 음핵은 비분화 성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자세한 관찰이 필요
피부 탄력성
만삭아의 피부는 탄력성이 moderate하다. 이는 피하조직에 수분이 양호 하다는 의미이며, 피부 탄력성은 복부아래의 피부를 약하게 쥐었다가 놓음으로써 사정할 수 있다.
쥐었을 때의 주름이 곧 펴지면 탄력성이 좋음을 의미한다. 탄력성은 자유롭게 당겨져야 하고, 이완시켰을 때 원상태로 재빨리 돌아온다.
태지
(vernix caseosa)
회백색의 치즈같은 물질로 덮여 있는데, 이것은 기름샘과 상피세포의 분비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부가 접히는 부분에 많다. 태아 기름막은 목욕할 때 제거하지 않더라고 1~2일에 건조되어 없어진다. 정상 신생아보다 미숙아에게서 더욱 뚜렷하다. 목, 겨드랑이, 서혜부 등 피부가 접히는 곳에 많이 생기는데, 미숙아는 더 두텁게 나타난다.
솜털
(lanugo)
전 신에 있는 가늘고 부드러운 털로서, 특히 이마, 뺨, 어깨와 등에 많이 분포되어 있다. 태생기 때 즉, 어머니 배 안에서 태아가 발생하여 태아가 발생하여, 약 20 주간이 되어 그 인생에 처음으로 나타나는 신생아의 신체를 덮고 있는 가늘고 부드러운 털. 두피, 눈썹을 대부분 덮고, 미숙아에게서는 얼굴에도 덮여 있으며 주로 어깨, 손발, 이마. 관자놀이 등에 분포. 태아 16주~32주경에 없어지기 시작한다.
속립진
(milia)
기름샘이 폐색, 확대되어 작고 흰 구진을 형성한 것으로 뺨, 턱, 코에 나타난다. 피지선에 피지의 정체가 일어나 발생하며 백색 내지 황색의 작은 (1~2mm) 표재성구진이 보인다. 표면에 전개를 하고 내용물을 배출시켜 치료할 수 있으나, 대개는 생후 수일이내에 자연히 소실된다. (이것은 2~3주내에 자연적으로 소실)
주형
(molding)
거 의 모든 질식분만 신생아에게서 나타나는 것으로 두정위 분만인 경우에 머리는 보통 이마에서 편평하고 두정골의 끝이 불룩 올라오고 후두골은 급한 경사를 이룬다. 출생 1~2일 까지 보다 둥근, 보통 모양의 윤곽이 명백해진다. 머리의 모양이 변하는 것은 두개골이 융합되어 있지 않아서 분만과정에서 산도의 크기의 맞추기 위해 두개골의 끝이 포개어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형은 제왕절개에 의해 출생한 신생아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다.
머리의 변형은 아두가 골반 내에 오랫동안 함입되어 있던 경우 더욱 현저하게 나타난다. 제왕절개나 둔위로 분만한 신생아의 머리는 특징적으로 둥글다. 봉합선은 생후1-2일간 중첩되어 있어 잘 만져지지 않고, 약간 융기되어 있다.
산류
(caput succedanum)
두 개 선진부의 종창 혹은 부종을 의미(두피와 골막 사이에 생긴 부종)하며, 한 부위에 국한되거나 광범위하게 생길 수 있고, 자연분만 중 두 개에 가해지는 압력 때문에 발생되며, 생후 수일 내에 서서히 흡수되어 대개 생후3일 후에는 소실된다.
대천문
(anterior fontanel)
대천문은 가로 2~3cm이고, 세로 3~4cm크기의 마름모꼴로 시상봉합과 관상봉합, 전두봉합 사이에 위치하며 두개의 두정골과 두개의 융합된 전두골의 결합이다. 전두골과 두정골 중간부분쯤에서 만져지며 모양은 다이아몬드형이며, 엄지손가락 한마디 정도의 크기이다. 보통 12~18개월에 닫힌다.
소천문
(posterior fontanel)
소천문은 0.5~1cm 길이의 삼각형으로 대천문보다 작고 시상봉합과 인지봉합 사이에 위치하며 후두골 부분에서 촉지 할 수 있다. 엄지손가락하나로 딱 만져진다. 소천문은 너무 작아서 촉지 되지 않을 수도 있다. 소천문은 보통 2개월 말에 닫힌다. 산류(caput succedaneum)봉합선을 넘어 부어있는 것처럼 머리에서 작게 촉지 되어있다. 산류는 머리의 선단부인 두개부위의 부종이다. 머리의 대부분을 차지할 수도 있고 거위 알 만한 크기일 수도 있다. 부종은 봉합을 넘어가며, 3일경에 점차 흡수되어 사라진다. 치료는 필요 없다.
상피진주
(epstein pearl)
포피 끝에 있는 흰색의 작고 단단한 병변이다.
여성 생식기
대음순, 소음순과 음핵은 부종이 있고 태지가 많다. 음순과 음핵은 비분화 성기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자세한 관찰이 필요
키워드
추천자료
가정교육학과 아동발달 출생과 신생아기
[아동복지]아동의 발달적 특성과 복지환경의 관계를 설명하고, 복지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논...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인간의 발달의 이해와 사회복지실천 정리 - 태내기와 신생아기, 영유...
[아동상담] 위기상담 - 이혼가정 아동의 특성과 이혼가정 아동을 위한 위기 개입, 아동학대(...
[아동발달 레포트] 아동발달이론에 대한 이해와 아동발달의 특성, 특징 및 소감 (아동 발달 ...
방통대 간호학과 3학년 고위험모아간호학 중환아 간호단위의 특성을 설명하고
[아동간호실습] 신생아실 fever & sepsis 패혈증 케이스 스터디(CaseStudy)
아동복지실천대상의 특성과 개별접근방법 및 놀이치료에 대한 이해와 정리 {아동복지실천대상...
[정신간호학] 인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인격장애의 정의와 분류 및 특성.pptx
[아동복지론 兒童福祉論] 아동발달의 특성 - 아동발달의 일반적 특성 및 아동발달상의 문제를...
[아동의 발달특성] 아동의 발달특성을 요약하고 사회복지사나 보육교사의 아동발달의 이해가 ...
[간호학] 청소년 정신장애의 정의 및 특성 청소년 정신장애 대상자간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