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통신 프로토콜
1) 통신 프로토콜의 정의
2) 통신 프로토콜의 전송제어 절차
3) 통신 프로토콜의 구성과 종류
4) 통신 프로토콜의 기능
2. OSI 참조모델
1) OSI 참조모델의 의미
2) OSI 참조모델의 구성
3) OSI 참조모델의 기능
1) 통신 프로토콜의 정의
2) 통신 프로토콜의 전송제어 절차
3) 통신 프로토콜의 구성과 종류
4) 통신 프로토콜의 기능
2. OSI 참조모델
1) OSI 참조모델의 의미
2) OSI 참조모델의 구성
3) OSI 참조모델의 기능
본문내용
노드 대 노드(node-to-node)의 전송을 담당한다. 상위층인 네트워크 층으로부터 넘겨받은 비트스트림에 헤더(header)와 트레일러(trailer)를 추가하여 데이터 전송단위인 데이터 프레임(data frame)을 구성한 후 물리계층에서 곧바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결과적으로 이 과정을 통하여 단순한 물리 계층의 비트스트림 전송을 신뢰할 수 있는 상황으로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한다.
① 물리적 어드레싱, 네트워크 토폴로지, 회선 사용 규칙, 오류 검출, 프레임 전달
그리고 흐름 제어 등에 관계
② 상위계층으로부터의 모든 데이터 패킷을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 Physical계층으로 전송하는 data 집하 역할
③ 전송된 패킷의 에러유무를 확인, 에러 발생시 패킷을 재전송
※데이터링크의 프로토콜
LAN : LLC(Logical Link Control, IEEE802.2), MAC(Media Access Control)
WAN: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SDLC, LAPB(Link Access Procedure Balanced), X.25, SLIP, PPP, ISDN, Frame Relay
(3)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 데이터가 발신지로부터 여러 네트워크를 경우하여 최종 수신지까지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전송계층과는 달리 패킷의 순서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2개의 전송계층 프로토콜 개체간의 연결을 설정하고 해제하는 데이터 교환기능을 수행하여 전송계층에서 분할된 패킷을 목적지까지 신뢰성 있게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① 두 시스템간의 연결성과 데이터경로 설정
② 네트워크 간 데이터(패킷) 전송 담당
③ 트래픽이 많아 혼잡도가 심할 때 이를 어떻게 제어하는가 하는 흐름제어, 에러 제어
④ CCITT 권고 X.25가 대표적 프로토콜
※ 네트워크계층의 프로토콜
: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IP, 메시지 전송에 사용되는 ICMP,
논리주소와 하드웨어 주소 변환에 사용되는 ARP, RARP
(4)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 상위 3 계층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전체 메시지에 대한 종단 간(end to end)의 믿을 만한 전송을 책임진다. 송신단에서는 전체 메시지를 전송 가능한 크기의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전송하고 수신 단에서는 이를 재조립하여 전체 메시지를 형성하게 된다.
① 이동계층. 전송계층. 상위 계층에서 실어온 데이터를 전송 가능한 크기로 나눔
② 데이터 전송서비스 제공
③ 가상 회로의 구축, 유지 및 종료, 전송 오류 검출 및 복구 그리고 정보 흐름 제 어의 절차를 제공
④ TCP, UDP가 전송계층에 속함
※전송계층의 프로토콜
:TCP, UDP, NBP(Name Binding Protocol), OSI Transport Protocol
(5) 세션 계층(Session Layer)
: 응용프로세스간의 대화(dialogue)를 설정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세션 계층의 아래에 위치한 전송계층이 응용 프로세스의 단순한 논리적 연결만을 제공하는데 비해 세션 계층은 연결기능과 함께 정보교환을 유지시키는 부가가치를 제공하며 정보블록이 시작되는 곳에 식별자(identifier)를 두어 메시지 기능을 정의하기도 한다.
① 시스템들 사이에서 조직적이고 동기화된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수 단을 제공.
② Multi-user용 컴퓨터의 login이나 파일전송 등을 담당.
응용프로세서간의 대화를 관장 Monitor한다.
③ 프로세서간의 접속과 양방향인지 단방향인지에 대한 통신방식지정
※세션계층의 프로토콜
: NFS, SQL, RPC, X-Window, ASP, SCP, ZIP, DECnet,
Phase Ⅳ session-layer protocol
(6)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 응용계층의 개체(entity) 사이에 정보를 표현하는 방식(syntax)이 다를 경우 이를 공통된 데이터 표현 방식으로 통일시키고 데이터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암호화(encryption)와 효율적인 전송을 위한 정보의 압축(data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① 정보를 공통의 전송형식으로 변환하고 암호화 또는 데이터의 압축 등을 행하는 형식 설정과 코드 변환을 한다.
※ 표현계층의 프로토콜
: JPEG, MPEG, TIFF, PICT, GIF, MIDI, Quick Time, ASCII, EBCDIC
(7)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 참조 모형에서 최상위 계층에 해당하며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근하여 정보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네트워크의 최종 이용자들에게 이미 친숙해져 있는 월드와이드 웹(WWW)의 HTTP나 파일전송 프로토콜인 FTP, 전자메일 프로토콜인 SMTP를 비롯하여 은행의 자동 창구업무와 항공기 좌석예약에 사용되고 있는 파일전송과 접근관리(FTAM; File Transfer, Access, and Manipulation), 다른 사양의 터미널들을 동일 규격의 터미널로 보이게 하는 가상터미널 프로토콜(VT; Virtual Terminal), EDI(Electrical Data Interchange)에서 메시지의 교환을 축적한 후 전송 형태로 다루는 MHS(Message Handling System) 등이 모두 응용계층에 해당한다.
① 이기종 컴퓨터 간의 Terminal Emulation과 서로 다른 파일시스템 간의 파일 전송
② 일반 사용자에게 통신 기반의 서비스 제공
※응용계층의 프로토콜
-Vertual Terminal : Telnet (포트번호 : 23)
-Electronic messaging : STMP (포트번호 : 25), POP3 (포트번호 : 110)
-Remote File Access : FTP (포트번호 : 20, 21), TFTP (포트번호 : 69)
-Network Management : SNMP (포트번호 : 161)
-기타 : DNS (포트번호 : 53), HTTP (포트번호 : 80), NNTP (포트번호 : 119)
① 물리적 어드레싱, 네트워크 토폴로지, 회선 사용 규칙, 오류 검출, 프레임 전달
그리고 흐름 제어 등에 관계
② 상위계층으로부터의 모든 데이터 패킷을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로 변환 Physical계층으로 전송하는 data 집하 역할
③ 전송된 패킷의 에러유무를 확인, 에러 발생시 패킷을 재전송
※데이터링크의 프로토콜
LAN : LLC(Logical Link Control, IEEE802.2), MAC(Media Access Control)
WAN: HDLC(High-Level Data Link Control), SDLC, LAPB(Link Access Procedure Balanced), X.25, SLIP, PPP, ISDN, Frame Relay
(3)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 데이터가 발신지로부터 여러 네트워크를 경우하여 최종 수신지까지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전송계층과는 달리 패킷의 순서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2개의 전송계층 프로토콜 개체간의 연결을 설정하고 해제하는 데이터 교환기능을 수행하여 전송계층에서 분할된 패킷을 목적지까지 신뢰성 있게 전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① 두 시스템간의 연결성과 데이터경로 설정
② 네트워크 간 데이터(패킷) 전송 담당
③ 트래픽이 많아 혼잡도가 심할 때 이를 어떻게 제어하는가 하는 흐름제어, 에러 제어
④ CCITT 권고 X.25가 대표적 프로토콜
※ 네트워크계층의 프로토콜
: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IP, 메시지 전송에 사용되는 ICMP,
논리주소와 하드웨어 주소 변환에 사용되는 ARP, RARP
(4)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 상위 3 계층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전체 메시지에 대한 종단 간(end to end)의 믿을 만한 전송을 책임진다. 송신단에서는 전체 메시지를 전송 가능한 크기의 세그먼트로 분할하여 전송하고 수신 단에서는 이를 재조립하여 전체 메시지를 형성하게 된다.
① 이동계층. 전송계층. 상위 계층에서 실어온 데이터를 전송 가능한 크기로 나눔
② 데이터 전송서비스 제공
③ 가상 회로의 구축, 유지 및 종료, 전송 오류 검출 및 복구 그리고 정보 흐름 제 어의 절차를 제공
④ TCP, UDP가 전송계층에 속함
※전송계층의 프로토콜
:TCP, UDP, NBP(Name Binding Protocol), OSI Transport Protocol
(5) 세션 계층(Session Layer)
: 응용프로세스간의 대화(dialogue)를 설정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세션 계층의 아래에 위치한 전송계층이 응용 프로세스의 단순한 논리적 연결만을 제공하는데 비해 세션 계층은 연결기능과 함께 정보교환을 유지시키는 부가가치를 제공하며 정보블록이 시작되는 곳에 식별자(identifier)를 두어 메시지 기능을 정의하기도 한다.
① 시스템들 사이에서 조직적이고 동기화된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는 수 단을 제공.
② Multi-user용 컴퓨터의 login이나 파일전송 등을 담당.
응용프로세서간의 대화를 관장 Monitor한다.
③ 프로세서간의 접속과 양방향인지 단방향인지에 대한 통신방식지정
※세션계층의 프로토콜
: NFS, SQL, RPC, X-Window, ASP, SCP, ZIP, DECnet,
Phase Ⅳ session-layer protocol
(6)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 응용계층의 개체(entity) 사이에 정보를 표현하는 방식(syntax)이 다를 경우 이를 공통된 데이터 표현 방식으로 통일시키고 데이터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암호화(encryption)와 효율적인 전송을 위한 정보의 압축(data compression) 기능을 수행한다.
① 정보를 공통의 전송형식으로 변환하고 암호화 또는 데이터의 압축 등을 행하는 형식 설정과 코드 변환을 한다.
※ 표현계층의 프로토콜
: JPEG, MPEG, TIFF, PICT, GIF, MIDI, Quick Time, ASCII, EBCDIC
(7)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 참조 모형에서 최상위 계층에 해당하며 사용자가 응용 프로그램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근하여 정보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네트워크의 최종 이용자들에게 이미 친숙해져 있는 월드와이드 웹(WWW)의 HTTP나 파일전송 프로토콜인 FTP, 전자메일 프로토콜인 SMTP를 비롯하여 은행의 자동 창구업무와 항공기 좌석예약에 사용되고 있는 파일전송과 접근관리(FTAM; File Transfer, Access, and Manipulation), 다른 사양의 터미널들을 동일 규격의 터미널로 보이게 하는 가상터미널 프로토콜(VT; Virtual Terminal), EDI(Electrical Data Interchange)에서 메시지의 교환을 축적한 후 전송 형태로 다루는 MHS(Message Handling System) 등이 모두 응용계층에 해당한다.
① 이기종 컴퓨터 간의 Terminal Emulation과 서로 다른 파일시스템 간의 파일 전송
② 일반 사용자에게 통신 기반의 서비스 제공
※응용계층의 프로토콜
-Vertual Terminal : Telnet (포트번호 : 23)
-Electronic messaging : STMP (포트번호 : 25), POP3 (포트번호 : 110)
-Remote File Access : FTP (포트번호 : 20, 21), TFTP (포트번호 : 69)
-Network Management : SNMP (포트번호 : 161)
-기타 : DNS (포트번호 : 53), HTTP (포트번호 : 80), NNTP (포트번호 : 119)
키워드
추천자료
인터넷 메일의 형식 및 프로토콜에 관한 조사
[정보통신윤리]정보통신윤리에 관한 심층 분석(정보통신윤리의 개념과 성격, 정보통신윤리의 ...
[인터넷][정보인권][온라인]인터넷과 정보인권 심층 분석(인터넷의 보편적 접근권 보장 정책,...
[인터넷][네티켓][넷티켓][사이버윤리][정보통신윤리]인터넷상에서의 네티켓과 사이버윤리 및...
[인터넷과 경영] 강의안 모음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IPTV)
(인터넷 강의) 유비쿼터스와 미래사회 2차과제
(인터넷 강의) 유비쿼터스와 미래사회 1차과제
엑셀의 이해 (인터넷 강의) 족보
2014년 1학기 인터넷서비스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인터넷통신과정, 청소년폭력사이트접속문제)
[특수아 교육 B형] 인터넷 강의에 내용에 근거하여 최근(2013년 기준) 우리나라의 유아특수교...
2016년 1학기 인터넷생활윤리 멀티미디어 강의 핵심요약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