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니스/경제] 국제마케팅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즈니스/경제] 국제마케팅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브랜드 정의
3. 브랜드 역사
4. 브랜드 Power
5. 브랜드의 자산적 가치
6. 브랜드 종류
7. 브랜드 전략
8. 브랜드 성공기업의 사례
1) 삼성 ‘Anycall'
2) 오리온 ‘초코파이’
9. 결 론

본문내용

아, 모토롤라의 동종 기종(100~120달러)보다 비싸게(150~180달러) 팔리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공했다. 이 모델은 총 300만 대가 팔리며 미국 CDMA 최고의 베스트셀러가 됐다. 이것은 \'제일 작고, 제일 가볍고, 제일 많은 기능을 갖춘 제품을 비싸게 팔자\'는 전략으로 평가된다.
삼성은 미국 쏠트레이크 동계 올림픽에서 디지털 삼성이라는 문구로 스포츠 마케팅을 통해서 이미지의 극대화에 노력하고 있다.
▶ 중국진출사례 : 삼성이 그동안 추진했던 대중(對中) 전략의 핵심은 값싼 제품을 현지에서 생산해 일부는 중국 내에서 팔고 나머지는 제3국에 수출하는 식의 생산기지 확보였다. 그러나 중국 현지인 들에 대한 판매를 염두에 두고 고가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판매시장 개념으로 바꿨다.
애니콜의 경우가 삼성전자가 중국에서 추진했던 첨단 고가정책의 성공사례이다. 애니콜 휴대폰은 중국에서 세계 제1의 휴대폰업체인 노키아 제품보다 더 높은 가격을 책정했다. 또 제품 구성도 한국에서 한물 간 제품이 아니라 한국에서 내놓는 최신 제품으로 승부했다. 애니콜은 중국 젊은이들에게 부의 상징으로 부각되면서 너도나도 갖고 싶어하는 제품이 되었다. 애니콜은 중국에서 성공할 수 있는 제품이 중저가가 아닌 첨단 고가 제품임을 그대로 보여주었다. 이와 함께 한국산 제품이 싸구려가 아닌 고급 제품으로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해 주었다. 최근 중국에서 애니콜의 인기는 시쳇말로 없어 못팔 정도다. 이 같은 애니콜의 성공 비결은 제일 작고, 제일 가볍고, 제일 많은 기능을 갖춘 제품을 비싸게 팔자는 미국에서의 전략과 같은 맥락이다.
또한 삼성은 2008년 중국 베이징 올림픽 공식 후원자로 나서며 스포츠 마케팅을 통한 중국시장 공략과 현지 브랜드 파워 강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베이징 올림픽 공식후원을 계기로 올해 700만대 수준인 중국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휴대전화시장에서 가장 높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휴대전화 애니콜과 PDA 등 통신기기를 중심으로 LCD TV, PDP TV 등 고급 가전제품의 판촉을 강화할 방침이다. 이렇듯 스포츠 마케팅을 통해서도 활발히 활동을 하고 있다.
▶ 동남아 진출 사례 : 삼성전자는 앞의 전략과 마찬가지로 고급브랜드 전략을 바탕으로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도 하이엔드(High-End) 시장에서 특정계층을 대상으로 한 타깃 마케팅을 실시하고있으며 특히 젊은 신세대를 대상으로 한 고품질 마케팅을 실시하고 있다. 동남아시아 휴대폰 시장은 주로 유럽형 이동전화(GSM) 휴대폰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동남아시아 시장은 휴대폰 보급율이 저조하나 잠재시장이 무한한 시장으로 주로 싱가폴, 말레이지아 중심의 휴대폰 시장에서 점차 태국, 인도 ,베트남시장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삼성전자는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도 특히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베트남지역에서 25~30%대의 높은 시장점유율을 차지해 현지에서 큰 인기를 얻고 있다. 삼성전자는 SGH-A200, SGH-N620, SGH-A400 모델 등이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연속적인 히트제품으로 성공한 경험을 바탕으로 앞선 휴대폰 기술력과 제품 디자인 경쟁력과 함께 동남아시아 통해서도 기업의 휴대폰 시장에서 \'애니콜 고급 브랜드\'전략을 계속적으로 이어나갈 계획이다.
▶ 기타 : 현재 삼성 애니콜이 전세계 휴대폰시장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는 GSM(유럽이 정한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시스템의 표준)시장을 빠르게 파고들고 있다. 노키아와 에릭슨이 장악한 유럽지역으로의 수출이 최근 급증세를 타고 있다. GSM방식에 맞는 휴대폰으로의 수출은 97년 시작돼 지난해 하반기부터 본격화되고 있는데 국가에 따라서는 세계 최고의 경쟁력을 가진 모토롤라를 제친 곳이 생겨나고 있을 만큼 시장의 반응이 좋다고 한다. CDMA방식인 호주 시드니 같은 곳에서는 삼성이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기도 하다.
다. 애니콜의 성공 요인
우선 삼성의 반도체기술과 전자 기술이 뒷받침 되면서 기술력에서 선발업체에 뒤지지 않았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특히 국가적으로 CDMA기술을 가장 먼저 채택해 이를 사용화 하는데 성공한 것이 큰 힘이 됐다 앞선 기술을 선점하는데 따른 효과에다 기술전파에 따른 수요증대 효과를 동시에 맛보고 있는 것이다.
애니콜 브랜드는 98년 고려대와 스탠 포드대 교수진이 자산가치를 평가한 결과, 5244억원으로 나왔다. 삼성전자는 이를 1조원으로 높이기로 하고 최근 박쥐형상의 `애니콜\'이라는 캐릭터를 만들었다. 삼성전자는 버거킹, 팹시콜라 등이 캐릭터로 성공한 사례를 본 떠 이 같은 마케팅을 펼치게 됐다.
2) 오리온 \'초코파이\'
가. \"이름 덕이 컸다\"
중국에서 제일 많이 팔리는 상품은?
한국 제품 중에서 단일 개수로 볼 때 제일 많이 팔리는 것은 바로 동양제과의 오리온 초코파이이다. 이 제품은 지난해[2001년]에만 2억3천만여개(3천만달러)나 팔렸다. 한국산 제품으로 유일하게 중국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것이 오리온 초코파이다.
중국의 중앙텔레비전 방송국[CCTV]과 인민일보가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톈진 등 35개 도시에서 실시한 소비자조사에 따르면, 오리온 초코파이의 지난해[2001년] 중국시장 점유율은 63.0%나 되었다고 한다. 전년보다 무려 25.2%포인트나 높아진 수치로서 중국의 초코파이류 시장에서 4년 연속 1위를 차지한 것이다. 2위는 4.8%의 롯데[樂天], 3위는 3.8%의 홍콩 미치[米旗], 4위는 2.9%의 대만 프레지던트[統泰]였다. 오리온 초코파이의 중국어 이름은 하오리여우[好麗友]이다. 아름다운 좋은 친구라는 뜻이다. 중국어 발음이 실제 브랜드인 ORION과 유사하면서 한자 이름이 갖는 뜻도 제품 컨셉과 이미지를 잘 반영하고 있다.
오리온 초코파이가 이처럼 중국의 파이 시장에서 브랜드 인지도, 충성도, 구매율에서 공히 1위를 차지하는 데는 그것의 중국어 이름이 톡톡히 역할을 했다고 한다. 후발주자로 중국에 진입한 동양제과의 오리온 초코파이가 하오리여우(好麗友)라는 이름을 사용하지 않았다면 소비자들에게 그렇게 친숙한 이미지를 구축하기가 어려웠을 것이라고 관계자들은 얘기한다.
나. 好麗友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1.07.20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06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