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목차
Ⅰ. 서론
Ⅰ-1. 의료관광의 정의
Ⅰ-2. 의료관광의 발달배경
Ⅰ-3. 의료관광의 분류
Ⅱ. 본론
Ⅱ-1. 국내의료관광산업의 환경 분석
Ⅱ-2. 의료관광을 위한 서비스마케팅 이론
Ⅱ-3. 의료서비스마케팅
Ⅱ-4. 국내의료서비스 마케팅 사례
Ⅱ-5. 병원 서비스 마케팅 전략
Ⅱ-6. 병원프랜차이즈 전략
Ⅱ-7. 해외 의료 관광 마케팅
Ⅱ-8. 대구의료관광
Ⅲ. 결론
- 대구 의료관광의 문제점과 발전방향제시
Ⅰ-1. 의료관광의 정의
Ⅰ-2. 의료관광의 발달배경
Ⅰ-3. 의료관광의 분류
Ⅱ. 본론
Ⅱ-1. 국내의료관광산업의 환경 분석
Ⅱ-2. 의료관광을 위한 서비스마케팅 이론
Ⅱ-3. 의료서비스마케팅
Ⅱ-4. 국내의료서비스 마케팅 사례
Ⅱ-5. 병원 서비스 마케팅 전략
Ⅱ-6. 병원프랜차이즈 전략
Ⅱ-7. 해외 의료 관광 마케팅
Ⅱ-8. 대구의료관광
Ⅲ. 결론
- 대구 의료관광의 문제점과 발전방향제시
본문내용
미용의료관광
외모를 가꾸기 위한 성형수술이나 미용, 마사지, 온천, 스파 피부마사지를 위한 의료관광의 유형으로써 주로 여성들이 애용하는 관광 상품으로 자국에서 체험하지 못한 특별한 미용관련 서비스체험이나 의료기술이 뛰어난 국가에서 성형미용을 받고 관광을 겸하는 관광 상품을 의미한다. 의료기술이 뛰어난 경우와 상대적으로 자국에 비해 경제적인 비용이 미용의료 관광 상품의 동기가 된다. 미용의료관광은 주로 자국과 가까운 나라를 선택하는 경향이 많다.
(4) 휴양의료관광
휴양지에 적합한 자연환경과 건강을 위한 의료서비스의 인프라가 갖추어진 곳을 방문하여 체류하는 관광 상품으로써 경제적, 시간적 여유를 가진 관광객이 주 고객이며 대부분 휴양지 내에 건강과 의료, 휴양에 필요한 시설을 갖추고 장기체류의 관광객이 많은 특징이 있다.
Ⅱ. 본론
Ⅱ-1. 국내의료관광산업의 환경 분석
강점
약점
의료서비스 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
우수한 의료기술력 확보
기술대비 가격경쟁력 우위
뛰어난 서비스
접근성 용이
병원의 신뢰성
미약한 자본투자
국내 의료서비스의 낮은 대외 인지도
인프라 부족
언어문제
시설부족
전문가 부족
태국, 싱가포르 등에 비해 늦은 출발
기회
위협
실버산업의 확대 가능성
해외관광객 증가
국가 차원의 관심 및 지원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인의 트렌디힐
스타일 선호(성형, 피부미용, 한방분야, 건강검진 등)
* 특화된 의료관광 상품개발
* 제주 메디컬 리조트 설립
고령자를 위한 저조한 지출
의료시장 개방으로 인한 국내 병원 위협
의료시장 개방에 대한 대외압력 증대
국제적 경제 불안정 및 질병 발생 대처
국제적 경쟁 구도 심화
태국의 ‘호텔급 병원’증가
강점
1. 의료 서비스의 품질경쟁력
의료관광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 제주특별자치도에서 2008년 제주를 찾은 한 중 일 관광객 713명을 대상으로 의료관광 관련 설문을 실시 분석한 결과 의료관광 선택 시 고려사항으로는 ‘의료서비스 품질’이 1순위(평균4.05점)으로 꼽혔으며 이어 의료시설 현대화(3.99점)와 ‘여행 및 치료비용’(3.99점) 등이 뒤를 이었으며 ‘근접성과 접근 용이성’(3.70점)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한의학회에서 지난해 9월~올 4월 감염내과·혈액종양내과·외과 소아과 등 26개 학회 소속 전문가 105명을 상대로 ‘의료기술 수준 조사’를 실시한 결과, 우리나라의 기술 수준은 미국·유럽 선진국을 100점으로 봤을 때 평균 80.1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의료분야의 650개 기술을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걸리는 위암은 100점으로 선진국과 같았으며, 유방암도 100점이었다. 한국인들이 잘 걸리는 6대 암 중 폐·간·대장암은 98점, 자궁경부암은 94점으로 선진국과 큰 차이가 없었으며, 미용성형분야와 치질, 백내장, 뇌경색, 당뇨, 고혈압 등의 의료기술도 우수한 편이어서 굳이 선진국병원을 찾아 외국까지 가지 않아도 되는 셈이다.
2. 선진국에 비해 저렴한 비용
한국은 1인당 의료비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30개 회원국 중 23위 수준으로 의료 기술 대비 의료 서비스 가격이 낮은 편이다. 처치술 및 수술비 미국대비 1/10, 일본대비 1/5, 싱가포르와 비교하여도 반값 수준이다.
1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 우리나라의 건강 관련 여행 수입액(의료관광 수입액)은 4050만 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 (3090만 달러)에 비해 31.3% 늘었다. 반면 건강 관련 여행 지급액(해외 의료관광 지급액)은 올해 상반기 4330만 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7200만 달러)에 비해 39.9%감소했다.
이에 따라 의료관광 수지 적자는 작년 상반기 4100만 달러에서 올해 상반기 280만 달러로 큰 폭으로 줄었다.
3. 한방 의료 관광
지난해 일본과 홍콩, 태국 등 동남아지역에서 1만 여명의 관광객들이 한방치료를 받기 위해 우리나라를 찾았으며 올해에는 1만 5천 여명을 뛰어넘을 것이란 전망이다. 이처럼 외국인들의 우리나라 의료관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그 잠재적 가능성을 확인한 정부가 한방 의료관광을 주목하기 시작했다. 한의약은 한국인의 특색을 잘 보여줄 수 있을 뿐 아니라 관광코스와 연계해 패키지화하기가 용이하고 무엇보다 의료사고의 위험이 낮다는 장점을 갖고 있어 전 세계 의료관광 시장에서 차별적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는 판단 하에 한방 의료관광을 매력적으로 포장해 세계에 홍보하고 있다.
약점
1. 의사 소통 약화
한국경제TV와 The Korea Post가 주한 대사 및 외국인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 외국인의 75%가 ‘한국의 의료 수준은 높다’고 했지만 언어장벽이 큰 문제라고 지적한 바 있다. 또 다른 만족도 조사에서도 의사소통 문제가 가장 큰 불편사항으로 지적되기도 했다.
2. 태국, 싱가포르 등에 비해 늦은 출발
태국의 사미티벳병원은 전역에 17개 병원을 운영하고 있는 \'BDMS(방콕병원그룹)\'의 핵심병원으로 미국 국제의료기관 평가(JCI) 인증을 받았다. BDMS는 태국 최대 병원그룹으로 매년 70만명의 외국인환자를 유치해 2008년에만 212억8500만바트(8000억여원)의 수익을 올렸다.
태국과 한국의 의료수준을 비교하면 한국이 우세할지 모르겠지만 외국인들을 주고객으로 삼는 태국병원들은 태국 현지에서 톱 수준이며, 그 병원에서도 톱 수준 의사들이 외국인들을 치료하기 때문에 절대 한국에 뒤쳐지지 않는다. 이처럼 \'외국인환자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는 병원들의 노력에 자본조달을 쉽게 하는 태국 정부의 규제개혁이 더해지며 태국은 의료관광 1등자리를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태국만 위협적인 것은 아니다. 싱가포르 역시 20년전부터 의료관광을 국가적인 차원으로 집중 육성했으며, 2012년까지 연 100만명의 외국인환자를 유치해 30억달러(GDP의 1%)를 벌겠다는 목표로 동분서주하고 있다. \'샴쌍둥이\' 분리수술로 유명한 래플즈병원은 산부인과, 파크웨이병원은 암센터를 특성화시켰다.
3. 해외환자 유치관련 인프라 부족
부산, 대구, 안동 등 각 지자체에서는 의료관광도시의 기치를 걸고, 이에 맞는 인프라 구축
외모를 가꾸기 위한 성형수술이나 미용, 마사지, 온천, 스파 피부마사지를 위한 의료관광의 유형으로써 주로 여성들이 애용하는 관광 상품으로 자국에서 체험하지 못한 특별한 미용관련 서비스체험이나 의료기술이 뛰어난 국가에서 성형미용을 받고 관광을 겸하는 관광 상품을 의미한다. 의료기술이 뛰어난 경우와 상대적으로 자국에 비해 경제적인 비용이 미용의료 관광 상품의 동기가 된다. 미용의료관광은 주로 자국과 가까운 나라를 선택하는 경향이 많다.
(4) 휴양의료관광
휴양지에 적합한 자연환경과 건강을 위한 의료서비스의 인프라가 갖추어진 곳을 방문하여 체류하는 관광 상품으로써 경제적, 시간적 여유를 가진 관광객이 주 고객이며 대부분 휴양지 내에 건강과 의료, 휴양에 필요한 시설을 갖추고 장기체류의 관광객이 많은 특징이 있다.
Ⅱ. 본론
Ⅱ-1. 국내의료관광산업의 환경 분석
강점
약점
의료서비스 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
우수한 의료기술력 확보
기술대비 가격경쟁력 우위
뛰어난 서비스
접근성 용이
병원의 신뢰성
미약한 자본투자
국내 의료서비스의 낮은 대외 인지도
인프라 부족
언어문제
시설부족
전문가 부족
태국, 싱가포르 등에 비해 늦은 출발
기회
위협
실버산업의 확대 가능성
해외관광객 증가
국가 차원의 관심 및 지원
한류의 영향으로 한국인의 트렌디힐
스타일 선호(성형, 피부미용, 한방분야, 건강검진 등)
* 특화된 의료관광 상품개발
* 제주 메디컬 리조트 설립
고령자를 위한 저조한 지출
의료시장 개방으로 인한 국내 병원 위협
의료시장 개방에 대한 대외압력 증대
국제적 경제 불안정 및 질병 발생 대처
국제적 경쟁 구도 심화
태국의 ‘호텔급 병원’증가
강점
1. 의료 서비스의 품질경쟁력
의료관광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서 제주특별자치도에서 2008년 제주를 찾은 한 중 일 관광객 713명을 대상으로 의료관광 관련 설문을 실시 분석한 결과 의료관광 선택 시 고려사항으로는 ‘의료서비스 품질’이 1순위(평균4.05점)으로 꼽혔으며 이어 의료시설 현대화(3.99점)와 ‘여행 및 치료비용’(3.99점) 등이 뒤를 이었으며 ‘근접성과 접근 용이성’(3.70점)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한의학회에서 지난해 9월~올 4월 감염내과·혈액종양내과·외과 소아과 등 26개 학회 소속 전문가 105명을 상대로 ‘의료기술 수준 조사’를 실시한 결과, 우리나라의 기술 수준은 미국·유럽 선진국을 100점으로 봤을 때 평균 80.1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의료분야의 650개 기술을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걸리는 위암은 100점으로 선진국과 같았으며, 유방암도 100점이었다. 한국인들이 잘 걸리는 6대 암 중 폐·간·대장암은 98점, 자궁경부암은 94점으로 선진국과 큰 차이가 없었으며, 미용성형분야와 치질, 백내장, 뇌경색, 당뇨, 고혈압 등의 의료기술도 우수한 편이어서 굳이 선진국병원을 찾아 외국까지 가지 않아도 되는 셈이다.
2. 선진국에 비해 저렴한 비용
한국은 1인당 의료비가 OECD(경제협력개발기구)30개 회원국 중 23위 수준으로 의료 기술 대비 의료 서비스 가격이 낮은 편이다. 처치술 및 수술비 미국대비 1/10, 일본대비 1/5, 싱가포르와 비교하여도 반값 수준이다.
1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중 우리나라의 건강 관련 여행 수입액(의료관광 수입액)은 4050만 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 (3090만 달러)에 비해 31.3% 늘었다. 반면 건강 관련 여행 지급액(해외 의료관광 지급액)은 올해 상반기 4330만 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7200만 달러)에 비해 39.9%감소했다.
이에 따라 의료관광 수지 적자는 작년 상반기 4100만 달러에서 올해 상반기 280만 달러로 큰 폭으로 줄었다.
3. 한방 의료 관광
지난해 일본과 홍콩, 태국 등 동남아지역에서 1만 여명의 관광객들이 한방치료를 받기 위해 우리나라를 찾았으며 올해에는 1만 5천 여명을 뛰어넘을 것이란 전망이다. 이처럼 외국인들의 우리나라 의료관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그 잠재적 가능성을 확인한 정부가 한방 의료관광을 주목하기 시작했다. 한의약은 한국인의 특색을 잘 보여줄 수 있을 뿐 아니라 관광코스와 연계해 패키지화하기가 용이하고 무엇보다 의료사고의 위험이 낮다는 장점을 갖고 있어 전 세계 의료관광 시장에서 차별적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는 판단 하에 한방 의료관광을 매력적으로 포장해 세계에 홍보하고 있다.
약점
1. 의사 소통 약화
한국경제TV와 The Korea Post가 주한 대사 및 외국인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결과 외국인의 75%가 ‘한국의 의료 수준은 높다’고 했지만 언어장벽이 큰 문제라고 지적한 바 있다. 또 다른 만족도 조사에서도 의사소통 문제가 가장 큰 불편사항으로 지적되기도 했다.
2. 태국, 싱가포르 등에 비해 늦은 출발
태국의 사미티벳병원은 전역에 17개 병원을 운영하고 있는 \'BDMS(방콕병원그룹)\'의 핵심병원으로 미국 국제의료기관 평가(JCI) 인증을 받았다. BDMS는 태국 최대 병원그룹으로 매년 70만명의 외국인환자를 유치해 2008년에만 212억8500만바트(8000억여원)의 수익을 올렸다.
태국과 한국의 의료수준을 비교하면 한국이 우세할지 모르겠지만 외국인들을 주고객으로 삼는 태국병원들은 태국 현지에서 톱 수준이며, 그 병원에서도 톱 수준 의사들이 외국인들을 치료하기 때문에 절대 한국에 뒤쳐지지 않는다. 이처럼 \'외국인환자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는 병원들의 노력에 자본조달을 쉽게 하는 태국 정부의 규제개혁이 더해지며 태국은 의료관광 1등자리를 더욱 공고히 하고 있다.
태국만 위협적인 것은 아니다. 싱가포르 역시 20년전부터 의료관광을 국가적인 차원으로 집중 육성했으며, 2012년까지 연 100만명의 외국인환자를 유치해 30억달러(GDP의 1%)를 벌겠다는 목표로 동분서주하고 있다. \'샴쌍둥이\' 분리수술로 유명한 래플즈병원은 산부인과, 파크웨이병원은 암센터를 특성화시켰다.
3. 해외환자 유치관련 인프라 부족
부산, 대구, 안동 등 각 지자체에서는 의료관광도시의 기치를 걸고, 이에 맞는 인프라 구축
추천자료
한국형 프렌차이즈 민들레영토 성공 사례
스타벅스 - 프렌차이즈 - 조사분석
[프랜차이즈 전략] 피쉬앤그릴의 프렌차이즈 전략 분석 및 향후 전망 분석 레포트
다국적기업 스타벅스(STARBUCKS)의 감성마케팅
중소기업의 국제 (해외) 마케팅 성공 사례 - 미남옵티스
중소기업의 국제 (해외) 마케팅 성공 사례 - 떡보의 하루
프랜차이즈계약(프렌차이즈계약)개념, 프랜차이즈계약(프렌차이즈계약)성격, 프랜차이즈계약(...
프랜차이즈(프렌차이즈) 계약의 정의, 프랜차이즈(프렌차이즈) 계약의 체결과정, 프랜차이즈(...
의료관광 Medical tourism, 의료관광이란, 의료관광을 주목해야하는 이유, 조사 설계, 조사 ...
한국의료관광협회,의료복지,의료산업,의료사업
글로벌 의료 관광산업의 이해 및 성공사례 분석 - 의료산업 국제화, 의료서비스 무역, 세계 ...
THE PLAZA 프라자호텔 호텔경영전략 분석 (프라자호텔 경영전략 경영형태와 호텔마케팅 전략...
국내의료 산업의 활성화 방안[의료관광을 중심으로] - 국내의료 산업
성형외과 복합공간의 개념 및 마케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