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형외과 복합공간의 개념 및 마케팅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형외과 복합공간의 개념 및 마케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성형외과의 현황 분석
1. 성형외과의 개념과 현황
1.1. 성형외과의 개념
1.2. 성형외과의 현황분석 및 실내계획의 목적
2. 성형외과의 구성요소와 실내 공간특성
2.1. 성형외과의 공간구성 요소 및 특성
2.2. 성형외과의 시각적 구성요소 및 특성
2.3. 성형외과의 동선체계
3. 성형외과의 복합공간의 개념 및 마케팅 분석
3.1. 성형외과의 복합공간의 개념과 특성
3.2. 공간프로그램의 전략

Ⅱ. 성형외과 공간유형 분류 및 사례조사
1. 성형외과 공간유형의 분류
2. 사례선정 기준 및 분석의 틀
2.1. 사례선정 기준 및 분석방법
2.2. 사례분석의 틀
2.2. 사례조사
-참고문헌

본문내용

구분
기능적 공간구성
소규모
상담실 수술실 입원실
화장실 간호사실 대기공간 접수
중규모
상담실 수술실 입원실
화장실 간호사실 대기공간 접수
치료실 피부관리실
원장실 의사휴게실 복도 사진실
대규모
상담실 수술실 입원실
화장실 간호사실 대기공간 접수
치료실 피부관리실
원장실 의사휴게실 복도 사진실
수술준비실 회의실 사무실 파우더룸 휴게실 창고 및 다용도실 타 진료과목
성형외과 규모별 공간구성
2)공간기능 구성에 따른 분류
성형외과 공간은 규모에 따라 공간구성이 달라짐을 보이며 그 공간은 기능에 따라 공간 면적비율 또한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의료행위공간은 규모에 상관없이 일반적인 기능적 공간을 따르고 있으며 의료준비공간과 환자공간은 소규모로 갈수로 기능적 공간구성에서 낮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이와 같이 최근의 성형외과의 기술적 변화에 따라 양질의 서비스가 사용자인 환자를 위한 측면으로 바뀌어 가고 있기 때문에 의료서비스 측면의 질적인 변화가 대두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로 환자의 측면을 고려한 공간의 기능을 확대 하고자 미용관련 타 진료의 과목이 병원 내에서 원스톱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진료서비스 질을 확대하고자 대규모의 성형외과를 중심으로 기능적 공간을 확장하는 실정을 보이고 있다.
2 사례선정 기준 및 분석의 틀
2.1 사례선정 기준 및 분석방법
1. 목 적 : 최근의 성형외과의 공간구성에 대해 알아보고 실내 공간의 표현특성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2. 사례분석의 대상 : 5년 이내로 한정하며 면적 100평 이상의 성형외과를 기준으로 공간의 분석 및 유형을 분류 조사한다.
3. 사례분석의 방법 : 강남권을 대상으로 실내디자인관련 잡지에 소개된 성형외과를 토대로 방문 및 조사 분석 한다.
사 례
NO
TITLE
LOCATION
YEAR
AREA
1
청담주니스 성형외과
강남구 청담동 6-5 [2F, 3F]
2010
460㎡
2
I FACE 성형외과
강남구 논현동 134번지 페이토빌딩 7층
2011
330㎡
3
MVP 성형외과
강남구 신사동 586번지 까페베네빌딩 [1.2.3F]
2012
679㎡
4
BK 성형외과
강남구 논현동 1-2번지 BK빌딩
2009
2,255㎡
성형외과 사례분석 대상
2.2 사례분석의 틀
Title
Area
Year
Location
공간디자인요소분석
마감재
이미지
바닥
벽체
천장
공간유형분석
진료실 유형
상담실 유형
복도 구성요소
서비스 공간
타 진료목록
홀 형
중복도형
성형외과 사례분석의 틀
2.3 사례조사
성형외과의 사례조사_01Title
청담 주니스 성형외과
Area
460㎡[139py]
Year
2010
Location
강남구 청담동 6-5 [2F, 3F]
공간디자인요소분석
마감재
이미지
바닥
폴리싱 타일
메인:베이지
포인트:블랙
벽체
안티 스타코
그래픽 시트
블랙 미러
메인:화이트,
내츄럴 베이지
포인트:그린, 오렌지
천장
페인트
한지
화이트
공간유형분석
진료실 유형
상담실 유형
복도 구성요소
서비스 공간
타 진료목록
독립형
반개방형
밀폐형
독립형
반개방형
밀폐형
홀 형
중복도형

피부과
선택형 비선택형
선택형 비선택형
성형외과의 사례조사_02Title
I FACE 성형외과
Area
330㎡[100py]
Year
2011
Location
강남구 논현동 134번지 페이토빌딩 7층
공간디자인요소분석
마감재
이미지
바닥
폴리싱 타일
메인:화이트
벽체
하이그로시페인트
백페인트글라스
메인:화이트,
하부:LED조명
천장
노출, 바리솔
LED조명
공간유형분석
진료실 유형
상담실 유형
복도 구성요소
서비스 공간
타 진료목록
독립형
반개방형
밀폐형
독립형
반개방형
밀폐형
홀 형
중복도형
Vip Patient’s Room
피부과
선택형 비선택형
선택형 비선택형
성형외과의 사례조사_03Title
MVP 성형외과
Area
679㎡ [205py]
Year
2012
Location
강남구 신사동 586번지 까페베네빌딩 [1.2.3F]
공간디자인요소분석
마감재
이미지
바닥
폴리싱 타일
메인:베이지
벽체
하이그로시페인트
대리석 타일
메인:베이지
천장
간접 등박스
LED조명
공간유형분석
진료실 유형
상담실 유형
복도 구성요소
서비스 공간
타 진료목록
독립형
반개방형
밀폐형
독립형
반개방형
밀폐형
홀 형
중복도형
인터넷존
게스트하우스연계 서비스
피부과
선택형
비선택형
선택형
비선택형
성형외과의 사례조사_04Title
BK 성형외과
Area
2,255㎡[682py]
Year
2009
Location
강남구 논현동 1-2번지 BK빌딩
공간디자인요소분석
마감재
이미지
바닥
폴리싱 타일
메인:베이지
벽체
벽지 대리석
백페인트글라스
메인:베이지 벽지
천장
천장지 페인트
화이트
공간유형분석
진료실 유형
상담실 유형
복도 구성요소
서비스 공간
타 진료목록
독립형
반개방형
밀폐형
독립형
반개방형
밀폐형
홀 형
중복도형
16F 휴게실
7F 3D가상성형장비
15F 피부과
12F 치과
선택형 비선택형
선택형 비선택형
참고문헌
김정신.〈바이오모픽 건축의 표현특성과 디자인 사고체계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공학박사》. 2005.
김은하.〈의료환경에서의 사용자중심 디자인요소 연구〉.이화여자 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 2009.
김수연.〈성형외과의원의 실내건축디자인에 차별화된 대기실 계획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 《석사》. 2008.
배혜숙.〈의료서비스업과 마케팅에 의한 효율적인 실내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건촉도시대학원. 《석사》. 2005.
김주리.〈카림라시드와 파비오 노벰브레의 상업공간 실내에 나타난 바이오모픽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석사》. 2011.
김미후.〈바이오모픽 개념에 의한 조경설계 방법연구〉.서울시립대교 대학원.
《석사》. 2006.
조정민.〈디자인 선호 선향을 도입한 성형외과 실내계획에 관한 연구 〉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 대학원. 《석사》. 2006.
한혜연.〈아르누보 양식의 조형적 특성을 응용한 만화표현 연구〉
이화여자대학원. 《석사》. 2005.
김승현.〈제품디자인에 나타난 유기적 형태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원.
《석사》. 2002.
  • 가격1,5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6.06.04
  • 저작시기201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39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