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ㆍ 항공기 산업
ㆍ boeing
- boeing의 역사
- boeing의 현황
- 조직 및 사업부문
- 각 사업부분 성과
- 2009년도 실적
- 글로벌 경영전략
- 아시아에서의 boeing
ㆍ 경쟁사와 전략 비교
ㆍ boeing777
- boeing777이전의 항공기 boeing767
- boeing777 탄생배경
- boeing이 경쟁업체인 Airbus를 압도하기 위해 사용한 전사적 전략
- boeing777의 현황
- 777프로그램의 특징
- 세계적인 제작 산출물(A Globally Manufactured Product)
- 효율적인 디자인(A Family of Planes)
ㆍ boeing의 과제
ㆍ 향후 전망
ㆍ 참고문헌
ㆍ boeing
- boeing의 역사
- boeing의 현황
- 조직 및 사업부문
- 각 사업부분 성과
- 2009년도 실적
- 글로벌 경영전략
- 아시아에서의 boeing
ㆍ 경쟁사와 전략 비교
ㆍ boeing777
- boeing777이전의 항공기 boeing767
- boeing777 탄생배경
- boeing이 경쟁업체인 Airbus를 압도하기 위해 사용한 전사적 전략
- boeing777의 현황
- 777프로그램의 특징
- 세계적인 제작 산출물(A Globally Manufactured Product)
- 효율적인 디자인(A Family of Planes)
ㆍ boeing의 과제
ㆍ 향후 전망
ㆍ 참고문헌
본문내용
력의 증강을 동시에 달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③ 생산 특성 : 초기 투자가 대규모 (연구 개발비의 Sunken Effect)이며 투자액을 회수하는데 많은 기간이 소요된다., 규모의 경제(Economies of Scale) 효과가 크다.
④ 기술 특성 : 고도로 분업화된 전문가들에 의하여 고부가가치가 창출되는 산업으로 노동 집약적 산업이다. 타 산업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크다. 고도의 시스템 엔지니어링 시스템 엔지니어링이란 제품의 개념연구에서부터 설계, 제작, 시험평가, 운용 및 유지, 후속지원, 성능 개량 및 폐기 단계까지의 전 과정을 공학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이며 과학적으로 관리하는 관리기법이다. 그러므로 시스템 엔지니어링 전문가는 관련 공학과 경영 관리 지식을 동시에 소유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
기술을 요구하는 산업이다.
boeing
Boeing은 1916년 미국에서 설립되어 인류 100년 항공역사와 함께 발전해 왔으며, 전 세계 145개국의 고객에게 다양한 민간항공기·군용항공기·인공위성·방위산업 및 우주 항공과 관련된 시스템과 서비스를 제공하여 매출액이 500억 달러에 달하는 세계 최대의 항공우주기업이다.
-국적 : 미국
-설립자 : 윌리엄 보잉
-본사위치 : 미국 시카고
-주요 경쟁사 : Air Bus
1. Boeing의 역사
1916년 William Boeing은 \'Pacific Aero Products Company’이라는 회사를 설립하였고, 그로부터 일년 후 회사 이름을 ‘Boeing Airline’ 바꾸면서 Boeing의 역사는 시작되었다. 1,2차 세계대전 시 전투용 항공기를 생산하면서 대형여객기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축적함과 동시에 회사는 큰 성장을 겪게 되었다. 2차 세계대전 후 민간여객기가 시장에서 많이 팔리게 되어 Boeing은 민간항공기 분야와 군용항공기 분야에서 더욱 발전하게 되었다. 1960년대 미국의 우주개발 산업인 ‘Apollo Project’에 참여하게 되면서 우주산업부분의 발전까지 이룩할 수 있었다. Boeing은 1996년 Rockwell사의 방위·우주산업부문을 인수하였고, 1997년 MCDonnell Douglas사를 합병하면서 현재 22만 명 이상의 직원을 둔 세계 최대의 단일 항공기 제작회사다. www.boeingkorea.co.kr
2. boeing의 현황
Boeing은 현재 미국에 본사를 둔 채 6개국(호주, 한국, 일본, 중국, 독일, 러시아)에 18개의 지사를 두고 있다.
boeing
정보, 우주 및 안보체계
- 군사 항공체계
- 우주선, 로켓 및 엔진
- 항공기 정보체계
- 첨단 기술 개발
boeing 상용기
- 상용기(717~7E7)
- MD제트기
(더글라스 생산라인)
공용 서비스
- 컴퓨팅
- 통신
- 기타 지원 서비스
3. 조직 및 사업부문
-Boeing Capital Corporation
global financing solution 제공자로서 타 Boeing 사업부문의 지원과 함께 항공기, 위성제품, 그리고 방위시스템 제품에 대한 융자 및 리스 등의 financing을 제공한다.
-Boeing Shared Service Group
타 사업부문이 각각 임무에 집중하여 수익성을 높이고, 중복업무 해소를 통한 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해 업무를 전사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이것을 통해 비용절감, 업무 프로세스 단축, 구매력 강화 등 다양한 가치를 창출해 나가고 있다.
-Boeing Commercial Airplane(BCA)
boeing의 상용기 그룹은 세계 최대의 상용기 생산업체로서 급변하는 항공 운송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boeing은 급변하는 항공 운송 시장에 대응해 고객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는 한편 제품 및 서비스를 개발해 나가고 있다.
-Intergrated Defense System(IDS)
대 고객 8개 비즈니스 Unit에 걸쳐 무기/전투기/폭격기 제조능력, 지능망 및 감시시스템, 커뮤니케이션 아키텍쳐 및 광범위한 대규모 통합 전문 기술 능력이 융합된 집합체이다.
-Connexing By Boeing(CBB)
CBB의 기내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여행객들은 3만 피트 상공의 기내에서도 노트북이나 PDA를 활용하여 (인터넷 검색은 물론, 파일 공유 및 전송, 메신저를 통한 실시간 대화, 이메일 확인 등) 평상시 집이나 사무실에서와 같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 이제 항공기 여행은 단순한 이동수단이 아닌 즐거운 여행의 일부가 되고 급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사무실이 될 것이다. 또한 기내 인터넷은 비행기 탑승객뿐만 아니라, 항공사의 업무효율 증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Phantom Works
현재 출시되어 있는 항공기와 우주선의 안전, 성능, 신뢰도를 조사하여 한층 업그레이드된 뒤에 뛰어난 품질의 항공, 우주선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또한 보다 단축된 시간과 저렴한 비용을 투자해 설계, 생산, 유지가 모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3. 각 사업부분 성과
-통합방위시스템(IDS)부분
미 정부와 미래전투시스템 프로그램에 대해 60억 달러 연장 계약에 합의하였고, 대한민국 공군에 F-15K 40기를 납품,, 이태리 공군에 납품할 첫 767공중급유기 출하하는 성과를 거둠.
-상용기 부문 (BCA)에서는..
70대의 항공기를 인도하였고, 전 세계 11개 항공사로부터 787 드림라이너 65대와 737NG 123대를 수주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세계 최장거리 항공기인 777-200LR 첫 비행을 성공적으로 실시함.
-boeing 캐피탈부분
boeing사의 핵심사업 부문들을 지원하고 포트폴리오 리스크를 줄였음
-커넥션 바이 boeing부분
세계의 항공사와 서비스 계약을 맺고 해운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실시함
4. 2009년도 실적
2009년 boeing사 실적은 전년의 파업 영향을 벗어나 인도수 목표는 달성했지만 수주수는 1971년 이래 최저를 기록했다 2009년 인도기수는 총 481기로 내역은 B737이 372기.B777이 88기, B747-400은 8기, B767이 13기였다. 2009년 수주수는 263기를 기록했으나 121기가 취소되어 총 수주수는 142기를 기록
③ 생산 특성 : 초기 투자가 대규모 (연구 개발비의 Sunken Effect)이며 투자액을 회수하는데 많은 기간이 소요된다., 규모의 경제(Economies of Scale) 효과가 크다.
④ 기술 특성 : 고도로 분업화된 전문가들에 의하여 고부가가치가 창출되는 산업으로 노동 집약적 산업이다. 타 산업에 미치는 파급 효과가 크다. 고도의 시스템 엔지니어링 시스템 엔지니어링이란 제품의 개념연구에서부터 설계, 제작, 시험평가, 운용 및 유지, 후속지원, 성능 개량 및 폐기 단계까지의 전 과정을 공학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이며 과학적으로 관리하는 관리기법이다. 그러므로 시스템 엔지니어링 전문가는 관련 공학과 경영 관리 지식을 동시에 소유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
기술을 요구하는 산업이다.
boeing
Boeing은 1916년 미국에서 설립되어 인류 100년 항공역사와 함께 발전해 왔으며, 전 세계 145개국의 고객에게 다양한 민간항공기·군용항공기·인공위성·방위산업 및 우주 항공과 관련된 시스템과 서비스를 제공하여 매출액이 500억 달러에 달하는 세계 최대의 항공우주기업이다.
-국적 : 미국
-설립자 : 윌리엄 보잉
-본사위치 : 미국 시카고
-주요 경쟁사 : Air Bus
1. Boeing의 역사
1916년 William Boeing은 \'Pacific Aero Products Company’이라는 회사를 설립하였고, 그로부터 일년 후 회사 이름을 ‘Boeing Airline’ 바꾸면서 Boeing의 역사는 시작되었다. 1,2차 세계대전 시 전투용 항공기를 생산하면서 대형여객기를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축적함과 동시에 회사는 큰 성장을 겪게 되었다. 2차 세계대전 후 민간여객기가 시장에서 많이 팔리게 되어 Boeing은 민간항공기 분야와 군용항공기 분야에서 더욱 발전하게 되었다. 1960년대 미국의 우주개발 산업인 ‘Apollo Project’에 참여하게 되면서 우주산업부분의 발전까지 이룩할 수 있었다. Boeing은 1996년 Rockwell사의 방위·우주산업부문을 인수하였고, 1997년 MCDonnell Douglas사를 합병하면서 현재 22만 명 이상의 직원을 둔 세계 최대의 단일 항공기 제작회사다. www.boeingkorea.co.kr
2. boeing의 현황
Boeing은 현재 미국에 본사를 둔 채 6개국(호주, 한국, 일본, 중국, 독일, 러시아)에 18개의 지사를 두고 있다.
boeing
정보, 우주 및 안보체계
- 군사 항공체계
- 우주선, 로켓 및 엔진
- 항공기 정보체계
- 첨단 기술 개발
boeing 상용기
- 상용기(717~7E7)
- MD제트기
(더글라스 생산라인)
공용 서비스
- 컴퓨팅
- 통신
- 기타 지원 서비스
3. 조직 및 사업부문
-Boeing Capital Corporation
global financing solution 제공자로서 타 Boeing 사업부문의 지원과 함께 항공기, 위성제품, 그리고 방위시스템 제품에 대한 융자 및 리스 등의 financing을 제공한다.
-Boeing Shared Service Group
타 사업부문이 각각 임무에 집중하여 수익성을 높이고, 중복업무 해소를 통한 업무 효율성 제고를 위해 업무를 전사적으로 수행하도록 한다. 이것을 통해 비용절감, 업무 프로세스 단축, 구매력 강화 등 다양한 가치를 창출해 나가고 있다.
-Boeing Commercial Airplane(BCA)
boeing의 상용기 그룹은 세계 최대의 상용기 생산업체로서 급변하는 항공 운송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boeing은 급변하는 항공 운송 시장에 대응해 고객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는 한편 제품 및 서비스를 개발해 나가고 있다.
-Intergrated Defense System(IDS)
대 고객 8개 비즈니스 Unit에 걸쳐 무기/전투기/폭격기 제조능력, 지능망 및 감시시스템, 커뮤니케이션 아키텍쳐 및 광범위한 대규모 통합 전문 기술 능력이 융합된 집합체이다.
-Connexing By Boeing(CBB)
CBB의 기내 인터넷 서비스를 통해 여행객들은 3만 피트 상공의 기내에서도 노트북이나 PDA를 활용하여 (인터넷 검색은 물론, 파일 공유 및 전송, 메신저를 통한 실시간 대화, 이메일 확인 등) 평상시 집이나 사무실에서와 같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 이제 항공기 여행은 단순한 이동수단이 아닌 즐거운 여행의 일부가 되고 급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사무실이 될 것이다. 또한 기내 인터넷은 비행기 탑승객뿐만 아니라, 항공사의 업무효율 증진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Phantom Works
현재 출시되어 있는 항공기와 우주선의 안전, 성능, 신뢰도를 조사하여 한층 업그레이드된 뒤에 뛰어난 품질의 항공, 우주선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또한 보다 단축된 시간과 저렴한 비용을 투자해 설계, 생산, 유지가 모두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3. 각 사업부분 성과
-통합방위시스템(IDS)부분
미 정부와 미래전투시스템 프로그램에 대해 60억 달러 연장 계약에 합의하였고, 대한민국 공군에 F-15K 40기를 납품,, 이태리 공군에 납품할 첫 767공중급유기 출하하는 성과를 거둠.
-상용기 부문 (BCA)에서는..
70대의 항공기를 인도하였고, 전 세계 11개 항공사로부터 787 드림라이너 65대와 737NG 123대를 수주하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세계 최장거리 항공기인 777-200LR 첫 비행을 성공적으로 실시함.
-boeing 캐피탈부분
boeing사의 핵심사업 부문들을 지원하고 포트폴리오 리스크를 줄였음
-커넥션 바이 boeing부분
세계의 항공사와 서비스 계약을 맺고 해운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실시함
4. 2009년도 실적
2009년 boeing사 실적은 전년의 파업 영향을 벗어나 인도수 목표는 달성했지만 수주수는 1971년 이래 최저를 기록했다 2009년 인도기수는 총 481기로 내역은 B737이 372기.B777이 88기, B747-400은 8기, B767이 13기였다. 2009년 수주수는 263기를 기록했으나 121기가 취소되어 총 수주수는 142기를 기록
추천자료
아시아경제, 힘의이동
동북아시아의 경제협력
동아시아 역사의 시작
[동남아][동남아시아의 게임시장][동남아시아의 임금정책][동남아시아의 노동시장][동남아시...
중앙아시아 뉴그레이트게임
아시아 지역 윤활유 시장에서의 마케팅 믹스 전략
[태평양][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태평양과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태평양과 아시아태평...
[회의][국제회의][정보사회세계정상회의][동아시아회의][장관회의][니케아회의]국제회의, 호...
아시아나 항공 (Asiana Airlines)
아시아문화중심도시 조성사업
동아시아근현대사2권(독후감)
아시아나 항공 SWOT분석
아시아나 항공 / ARMS (기업소개, ARMS의 도입 및 구축, ARMS의 기능 및 효과, 경쟁사 분석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