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교과서 내용>
<도> (노자와 거의 같다)
<덕과 성>
1)덕
2)성
3)도, 덕, 성의 관계
<인성>
<안명, 소요유>
1)인생의 궁극적 목적은 절대적인 정신적 자유의 삶을 영위하는 것이다.
2)안명(安命)
3)소요유
<수양론> (소요유에 이르는 방법)
1)진지론 (지식과 진지의 구분)
2)성수반덕의 방법(심재/좌망)
(1)심재
(2)좌망
<도> (노자와 거의 같다)
<덕과 성>
1)덕
2)성
3)도, 덕, 성의 관계
<인성>
<안명, 소요유>
1)인생의 궁극적 목적은 절대적인 정신적 자유의 삶을 영위하는 것이다.
2)안명(安命)
3)소요유
<수양론> (소요유에 이르는 방법)
1)진지론 (지식과 진지의 구분)
2)성수반덕의 방법(심재/좌망)
(1)심재
(2)좌망
본문내용
)인생의 궁극적 목적은 절대적인 정신적 자유의 삶을 영위하는 것이다.
2)안명(安命)
인간이 죽고 사는데는 명이 있으며 이러한 명은 하늘에 낮과 밤이 있는 것처럼 인간의 힘으로 어떻게 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명은 인위의 대상이 아니다.
그러나 이런 관점이 종교적 필연성에 의한 숙명론이나 운명론을 함의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신에 대한 경외나 하늘에 대한 두려움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현실사회에서 부딪히는 어쩔 수 없는 필연성에 대한 체험으로부터 나온 것이기 때문이다.
즉 명이란 인간이 사회 안에서 느끼는 필연적인 힘이며, 사람들의 행위를 지배하는 외재적 필연성이다.
따라서 안명이라는 것은 인간의 의지로 어쩔 수 없는 명이 있음을 인정하고, 그러한 명에 순종하여 살아가는 삶의 기본원칙이다. 이런 안명은 절대적 정신의 자유의 경지인 소요유를 향한 첫걸음이다.
안명과 관련하여 중의 개념이 있다. 사회 속에서 행위할 때 중을 잡으라는 의미다. 이를테면 선행을 하더라도 소문나지 않게 하고, 악행을 하더라도 형벌 받지 않게 하라는 거다. 왜 그런가? 그렇게 하지 않으면 전생을 보전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인간은 명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 심지어 산중에 숨어도
2)안명(安命)
인간이 죽고 사는데는 명이 있으며 이러한 명은 하늘에 낮과 밤이 있는 것처럼 인간의 힘으로 어떻게 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명은 인위의 대상이 아니다.
그러나 이런 관점이 종교적 필연성에 의한 숙명론이나 운명론을 함의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신에 대한 경외나 하늘에 대한 두려움에서 비롯되는 것이 아니라 현실사회에서 부딪히는 어쩔 수 없는 필연성에 대한 체험으로부터 나온 것이기 때문이다.
즉 명이란 인간이 사회 안에서 느끼는 필연적인 힘이며, 사람들의 행위를 지배하는 외재적 필연성이다.
따라서 안명이라는 것은 인간의 의지로 어쩔 수 없는 명이 있음을 인정하고, 그러한 명에 순종하여 살아가는 삶의 기본원칙이다. 이런 안명은 절대적 정신의 자유의 경지인 소요유를 향한 첫걸음이다.
안명과 관련하여 중의 개념이 있다. 사회 속에서 행위할 때 중을 잡으라는 의미다. 이를테면 선행을 하더라도 소문나지 않게 하고, 악행을 하더라도 형벌 받지 않게 하라는 거다. 왜 그런가? 그렇게 하지 않으면 전생을 보전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인간은 명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 심지어 산중에 숨어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