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경제분야의 국제기구. 역사, 현황, 종류, 역할, 전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경제분야의 국제기구. 역사, 현황, 종류, 역할, 전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국제연합 (United Nations, UN)
유네스코(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국제노동기구(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ILO)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본문내용

는 경우도 많다.
국제연합의 한계성도 종종 지적된다. 코소보전쟁이 국제연합의 한계를 보여주는 한 예이다. NATO(북대서양조약기구)의 공습이 말해주듯이 강대국들은 그들이 유리할 때는 UN을 존중하고, 그들의 국익과 맞지 않으면 UN을 무시하여, 국제적 조직으로서의 UN의 위상이 침해받아 UN의 역할 적 한계가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UN의 근본적 문제에 대한 원인으로 국제연합의 유지문제를 꼽는다.
조직은 그것이 어떠한 것이건 유지를 위한 자금이 필요하게 된다. 현재 국제연합은 이 자금을 각 국가들에게 분담하고 있는데, 각국의 경제력이 천차만별인 만큼, 경제력이 큰 나라에 더 많은 분담금을 요구하고 있다.
그런데, 국가의 입장에서는(특히 미국) 자신들에게 특별한 이익요소가 없는 상황에서 국민들이 낸 세금을 국제기구에 보낸다는 것이 비합리적으로 생각되어 자꾸만 비율을 줄이고 있는 추세이다.(분담금 미납이 가장 심한 국가는 미국)
결국 국제분쟁을 해결하려면, 국제연합이 그만큼 현실적 힘을 소유하고 있어야 하는데, 그것을 세계의 여러 국가들에 의지하다보니 몇몇 국가들이 이를 거부할 경우, 국제연합은 그저 껍데기만 있을 뿐, 그 실행력을 갖추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대해 K.아난 전 국제연합 사무총장은 재임 시절부터 \'신뢰받는 국제연합\'을 모토로 새로운 내부기관과 기금을 정비하고, 정체된 안전보장이사회의 활성화와, 사회개발 분야에도 개혁의지를 보였다. 난민구조·마약퇴치·인구와 개발 등 21세기의 세계질서를 모색하여. 제55차 총회를 \'밀레니엄 총회\'라 이름하고 NGO(국제비정부기구)밀레니엄 포럼을 기획하는 등 21세기의 국제연합은 더 많은 활동을 기획 하고 있다.
[참조] Encyclopaedia Britannica Online
네이버 지식인,블로그
유네스코(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That since wars begin in the minds of men, it is in the minds of men that the defences of peace
must be constructed\" (-유네스코 헌장중 일부 )
세계문화유산으로 잘 알려진 유네스코는 1945년 창설된 국제 연합의 특별 기구이다. 기구의 목적은 유엔헌장에서 선언된 기본적 자유와 인권 그리고 법의지배, 더욱 보편적인 정의의 구현을 위하여 교육, 과학, 그리고 문화를 통한 국제 협력을 촉진함으로써 평화와 안전에 기여하는 데 있다. 본부는 프랑스 파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헌장을 채택한 1945년 11월 16일이 유네스코 창립일로 기념되고 있다.
이러한 유네스코의 창립은 전후 2차 세계대전의 영향을 받았다.
추축국 세력이 유럽의 드넓은 지역을 점령한 상황에서 1940년대 초의 영국은 연합국 7개국의 망명정부, 자유 프랑스 정부, 정치가, 외교관, 지식인, 피난민들로 가히 ‘세계의 축소판’이라 할만 했다. 이처럼 세계의 숱한 저명인사들이 영국에 모여들면서 전후 세계에서 이정표를 세울 지적인 분위기가 싹텄다.
이와 같은 분위기에서 1942년부터 소집된 연합국 교육장관회의(CAME)는 1945년 11월 런던에서 10차 회의를 갖고 11월 16일 유네스코 헌장을 채택했다. 그러나 유네스코 창설 당시 기구의 성격에 관한 몇 가지 논쟁이 있었다.
연합국 교육장관들이 문화적 문제들과 과학적 관심사들로 토론의 폭을 넓혀 갔음에도 불구하고, CAME의 정식 논의 안건으로는 교육 문제가 주를 이루었다(실제로 1945년 설립하고자 했던 이 기구의 이름은 ‘UNECO’이었다). 하지만 여러 과학자들이 기구의 명칭 및 활동에 과학을 포함시키려고 노력했고, 결국 과학(Science)의 머리글자 ‘S’가 기구 명에 포함되면서 ‘UNESCO’가 되었다.
또한 새로운 기구의 참가 자격을 정부 대표로 할 것인지 민간조직 및 개인 자격으로 할 것인지의 여부에 대해 논란이 많았다.
이 문제는 유네스코헌장 7조 에 따라 국가위원회를 설립하고 집행위원의 개인 자격 인정 등을 통해 부분적으로 수용·타협함으로써 유네스코는 시민사회를 대표하는 비정부적 지식인 모임 성격, 그리고 정부를 대표하는 정치적 성격을 모두 갖는 이중적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즉 유네스코가 비록 정부 간 기구이긴 하지만 민간단체와 개인은 국가위원회를 통해 유네스코 활동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국가위원회는 국제기구 중 유네스코만이 가진 독특한 제도로써, 2009년 현재, 유네스코 193개 회원국과 6개 준 회원국 가운데 195개국에서 국가위원회를 설치·운영하고 있다.
현재 유네스코에는 193개 정회원국과 7개 준 회원국이 가입되어있으며, 전 세계에 걸쳐
58개의 지역사무소와 11개의 산하기구를 두고 있지만 현재까지의 모습이 갖추어 지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으며 중간에 창립 국이 탈퇴를 선언하는 등 시련 또한 겪어 왔다.
유네스코 창립 회원국 구성과 이후 주요 국가의 가입과 탈퇴는 국제정세의 변화를 반영한다. 패전국인 독일과 일본은 1951년에 회원국이 되고(동독은 1972년), 공산권 국가들은 1950년대 중반에 가입하기 시작한다.
제3세계 독립과 소련 연방의 해체로 인해 1960년 아프리카 19개국이, 1954년 가입한 소련은 해체되어 1991-1993년 사이에 소련에서 분리된 12개 공화국과 러시아가 가입한다.
중국은 유엔 가입 이후인 1971년 대표성을 인정받게 되고, 창립 국이었던 영국과 미국은 1980년대 중반 탈퇴했다가 1997년과 2003년에 각각 재 가입했다.
우리나라는 1950년 6월 14일 제5차 유네스코 총회에서 유네스코의 55번째 회원국이 되었다. 그러나 결의 2주 만에 6.25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국회인준조차 받지 못했지만 꾸준히 노력한 결과 1953년 7월 6일 유네스코위원회 설치 령을 공표해 유네스코에 가입한 지 3년 만에 국가위원회를 설치할 수 있는 법적근거를 마련했으며, 1954년 1월 30일 서울대 강당에서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창립총회를 가짐으로써 공식적인 유네스코 활동을 시작하게 된다.
유네스코의 활동 중에 널리 알려지고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1.08.10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42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