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동시
2. 전래동요
3. 그림책
4. 그림 동화
5. 만화
6. 사실동화
7. 환상동화
8. 옛이야기
9. 인물이야기
10. 역사동화
11. 독서지도 방법의 원리
2. 전래동요
3. 그림책
4. 그림 동화
5. 만화
6. 사실동화
7. 환상동화
8. 옛이야기
9. 인물이야기
10. 역사동화
11. 독서지도 방법의 원리
본문내용
다. 대개가 구전되는 형태이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내용이 변경되기도 하고, 다른 지역으로 넘어가면서 각 지역마다의 특색을 담게 된다.
5) 순수함, 자연과 생명존중에 대한 생각들을 담고 있고 진(眞) ·선(善) ·미(美)를 이상으로 삼으며 희로애락은 있되, 증오나 추악이 없는, 때 묻지 않은 세계이다.
6) 어린이들이 따라 부르고 몰려다니며 즐겨왔으며 어린이의 마음에 맞도록 늘 변모된다.
7) 수평 민주 의식과 질서를 키웠다.
㉰ 전래동요의 지도방법
전래동요의 가창지도는 피아노 반주에 의한 지도보다는 장구로 장단을 치면서 지도하는 방법 혹은 테이프나 레코드, CD와 같은 음향자료를 이용하여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신체 표현을 함께 하면서 노래하는 방식이 더더욱 효과적이다.
1) 전래동요의 발성
전래동요를 부를 때에는 쓸데없는 긴장이 들어가지 않은 소리로 말의 강약 억양을 살리면 서 뱃속에서 솟아오르는 듯한 힘차고 시원스러운 발성을 하도록 유도한다.
2) 전래동요의 반주
전래동요는 장구 장단이나 무릎장단에 맞추어 노래를 부르게 되면 자연스럽게 가락이나 사설을 즉흥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음향자료
질이 높은 음향자료를 아동들에게 직접 들려줌으로써 장단과 가락의 조화 그리고 가락 이 지니고 있는 특징을 좀 더 빨리 느끼게 할 수 있다.
4) 전래동요 학습지도의 새로운 기법 발견
오늘을 사는 우리는 현재를 사는 동시에 과거를 잉태하고 나아가서는 미래를 창생하도 록 하는 모체이기도 한 것이다. 따라서 전래 문화라 해서 천편일률적으로 원형의 보존 에만 급급하며 일보도 전진하지 않으려고 애써 몸부림치는 태도는 옳지 않다고 본다. 마땅히 우리스러운 전래동요의 특징은 살리면서도 20세기를 사는 우리의 현대감각을 도 외시 않는 또한 미래지향적이어서 범세계의 문화권에 진출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겠다.
그러한 의미에서 아동의 노래라 해서 언제까지나 투상적인 개념과 애상적인 심성의 위 안적 역에서 머무를 수 없으며 동요라 할지라도 현대적 감각의 부분적 또는 전면적 수 용에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한다. 가사 내용도 서정적, 낭만적, 애상적인 것에만 치중하지 말고 적극적이고 의욕적이며 명랑한 사회를 형성하는데 기여하는 것이어야 하겠다. 따 라서 상술한 내용에다 생활적인 것, 과학적인 것, 자연 현상적인 것들이 풍부히 담겨진 현대화만이 전래동요를 박물관의 장식품 적인 존재에서 세계적인 문화권에서 공존하는 전진적인 것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된다.
5) 전래동요의 생활 노래화
전래동요의 가사 바꾸어 부르기를 통한 전래동요의 생활 노래화란 전래동요가 옛날 어 린이들의 노래로만 존재한다면 이는 어린이들의 몸에 밴 리듬으로 형성되어 질 수 없다.
전래동요는 단순한 리듬과 가락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제재곡의 충분한 학습이 이루어 지면 다른 가사를 만들어 붙이고 불러보는 활동 등을 통하여 자신들의 생활 장면이 노래 로 불려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생활을 노래로 꾸며 불러보는 즐거운 놀이가 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6) 선율 구성을 이용한 음악의 구성요소 이해
전래동요의 음 구성은 청음력과 리듬감 훈련에 매우 적당한 자료가 된다. 또한 분명한 음정, 음 길이의 대조, 가락의 진행 등도 명확하여 구분하기가 쉽다. 이를 통한 음악 구성 요소의 이해를 꾀하면 효과적이다.
7) 장단을 이용한 다양한 리듬 치기, 소리의 어울림 체험
전통음악 관련의 기악학습은 대부분 장구 치기나 단소연주에 머무르나 저학년에서는 다 양한 리듬과 악기를 통한 전통적인 흐름결에 익숙하도록 하고 흥미를 갖게 하는 것이 필 요하다.
8) 전래동요의 음 구성을 이용한 새로운 가락의 창작
전통음악 학습은 전통적인 음악 언어를 익혀 다시 재창조할 수 있을 때 그 가치를 발휘 하는 것이다. 전래동요의 음 구성을 이용해 즉흥적 가락 짓기는 이러한 면에서 매우 가치 있는 활동이 된다.
9) 기법의 창조
우리의 음계( 오음음계 )를 중심으로 각종 음계가 새로이 구성 연구되어야 하며 화성에 있어서도 굳이 단선율 만을 고집하지 말고 ‘우리’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낼 수 있는 화성법을 개척해야 한다.
㉱ 작품 소개
1) 동물요 ( 動物謠 )
전래동요 중에는 곤충이나 동물, 새 등에 대한 것이 많다. 자연과 벗하며 생활한 옛 어린 이들의 모습을 잘 일러 준다. 예를 들어,「잠자리 꽁꽁」,「꿩꿩 장서방」,「두꺼비」,「잠 자리」,「쥔쥐새끼」등이 있다.
전래동요 중에는 특히 거미에 관한 노래가 많고 그것은 지역마다 노랫말과 곡조가 다르 다. 개구리에 관한 노래에서는 옛 어린이들의 버거웠던 생활에 대해서 일러주는 것도 좋을 것이다. 아울러 동물이나 곤충에 관한 전래동요의 노랫말 중에는 ‘의인화’된 가사가 적잖이 출현함을 일러준다.
2) 놀이요 ( 遊戱謠 )
전래동요중의 대부분은 놀이와 관련된 것이다. 노래와 놀이의 깊은 연관성을 일러 준다. 이렇게 놀이를 통한 전래동요를 ‘놀이요’ 또는 ‘유희요’라고 한다.
우리 전래동요 가운데 놀이요는 ‘놀이 유형에 의한 분류’ ‘지역적 분류’ ‘음악적 특성에 의한 분류’ 등 여러 가지로 가를 수 있다.
2-1) 놀이 유형에 의한 놀이요의 분류
(1) 개인놀이소리
혼자서 놀이하며 부르는 것으로 「잠자리 동동」「앞마당을 쓸어라」「쌀방아 찧어라」와 같이 동물을 놀리며 부르는 소리가 많고 「질라래비 훨훨」과 같이 놀이개를 조작하며 부르는 경우도 있고 「두껍아 두껍아」처럼 제작 놀이를 하며 부르는 것도 있다.
(2) 단체놀이소리
① 앉은 놀이소리
앉은 놀이소리에는「이거리 저거리」와 같은 것이 대표 적이다.
② 줄지어 노는 선놀이 소리
어린이들이 서서 줄지어 늘어서 돌아가며 노는 소리는 매우 종류가 많고 또 놀이 내용 또한 좋아서 전통 놀이요의 노란 자위라 할 수 있다.
- 둥글게 잡고 노는 소리 : 줄짓는 소리의 대표적인 소리인 바 전남「강강술래」,경상도 「월이청청」,강릉「고사리꺾세」,산천「고사리꺾기」,전북「남원산성 노적」이 있다.
- 줄지어 엎딘 등 밟고 건너는 소리 : 놀이꾼들이 줄지어 선 엎딘 등을 밟고 건너는 소리 로 널리 퍼져있는 바 전라도「지와 밟기」,영덕「재 밟기」,안동「
5) 순수함, 자연과 생명존중에 대한 생각들을 담고 있고 진(眞) ·선(善) ·미(美)를 이상으로 삼으며 희로애락은 있되, 증오나 추악이 없는, 때 묻지 않은 세계이다.
6) 어린이들이 따라 부르고 몰려다니며 즐겨왔으며 어린이의 마음에 맞도록 늘 변모된다.
7) 수평 민주 의식과 질서를 키웠다.
㉰ 전래동요의 지도방법
전래동요의 가창지도는 피아노 반주에 의한 지도보다는 장구로 장단을 치면서 지도하는 방법 혹은 테이프나 레코드, CD와 같은 음향자료를 이용하여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신체 표현을 함께 하면서 노래하는 방식이 더더욱 효과적이다.
1) 전래동요의 발성
전래동요를 부를 때에는 쓸데없는 긴장이 들어가지 않은 소리로 말의 강약 억양을 살리면 서 뱃속에서 솟아오르는 듯한 힘차고 시원스러운 발성을 하도록 유도한다.
2) 전래동요의 반주
전래동요는 장구 장단이나 무릎장단에 맞추어 노래를 부르게 되면 자연스럽게 가락이나 사설을 즉흥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음향자료
질이 높은 음향자료를 아동들에게 직접 들려줌으로써 장단과 가락의 조화 그리고 가락 이 지니고 있는 특징을 좀 더 빨리 느끼게 할 수 있다.
4) 전래동요 학습지도의 새로운 기법 발견
오늘을 사는 우리는 현재를 사는 동시에 과거를 잉태하고 나아가서는 미래를 창생하도 록 하는 모체이기도 한 것이다. 따라서 전래 문화라 해서 천편일률적으로 원형의 보존 에만 급급하며 일보도 전진하지 않으려고 애써 몸부림치는 태도는 옳지 않다고 본다. 마땅히 우리스러운 전래동요의 특징은 살리면서도 20세기를 사는 우리의 현대감각을 도 외시 않는 또한 미래지향적이어서 범세계의 문화권에 진출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하겠다.
그러한 의미에서 아동의 노래라 해서 언제까지나 투상적인 개념과 애상적인 심성의 위 안적 역에서 머무를 수 없으며 동요라 할지라도 현대적 감각의 부분적 또는 전면적 수 용에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한다. 가사 내용도 서정적, 낭만적, 애상적인 것에만 치중하지 말고 적극적이고 의욕적이며 명랑한 사회를 형성하는데 기여하는 것이어야 하겠다. 따 라서 상술한 내용에다 생활적인 것, 과학적인 것, 자연 현상적인 것들이 풍부히 담겨진 현대화만이 전래동요를 박물관의 장식품 적인 존재에서 세계적인 문화권에서 공존하는 전진적인 것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된다.
5) 전래동요의 생활 노래화
전래동요의 가사 바꾸어 부르기를 통한 전래동요의 생활 노래화란 전래동요가 옛날 어 린이들의 노래로만 존재한다면 이는 어린이들의 몸에 밴 리듬으로 형성되어 질 수 없다.
전래동요는 단순한 리듬과 가락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제재곡의 충분한 학습이 이루어 지면 다른 가사를 만들어 붙이고 불러보는 활동 등을 통하여 자신들의 생활 장면이 노래 로 불려지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생활을 노래로 꾸며 불러보는 즐거운 놀이가 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6) 선율 구성을 이용한 음악의 구성요소 이해
전래동요의 음 구성은 청음력과 리듬감 훈련에 매우 적당한 자료가 된다. 또한 분명한 음정, 음 길이의 대조, 가락의 진행 등도 명확하여 구분하기가 쉽다. 이를 통한 음악 구성 요소의 이해를 꾀하면 효과적이다.
7) 장단을 이용한 다양한 리듬 치기, 소리의 어울림 체험
전통음악 관련의 기악학습은 대부분 장구 치기나 단소연주에 머무르나 저학년에서는 다 양한 리듬과 악기를 통한 전통적인 흐름결에 익숙하도록 하고 흥미를 갖게 하는 것이 필 요하다.
8) 전래동요의 음 구성을 이용한 새로운 가락의 창작
전통음악 학습은 전통적인 음악 언어를 익혀 다시 재창조할 수 있을 때 그 가치를 발휘 하는 것이다. 전래동요의 음 구성을 이용해 즉흥적 가락 짓기는 이러한 면에서 매우 가치 있는 활동이 된다.
9) 기법의 창조
우리의 음계( 오음음계 )를 중심으로 각종 음계가 새로이 구성 연구되어야 하며 화성에 있어서도 굳이 단선율 만을 고집하지 말고 ‘우리’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낼 수 있는 화성법을 개척해야 한다.
㉱ 작품 소개
1) 동물요 ( 動物謠 )
전래동요 중에는 곤충이나 동물, 새 등에 대한 것이 많다. 자연과 벗하며 생활한 옛 어린 이들의 모습을 잘 일러 준다. 예를 들어,「잠자리 꽁꽁」,「꿩꿩 장서방」,「두꺼비」,「잠 자리」,「쥔쥐새끼」등이 있다.
전래동요 중에는 특히 거미에 관한 노래가 많고 그것은 지역마다 노랫말과 곡조가 다르 다. 개구리에 관한 노래에서는 옛 어린이들의 버거웠던 생활에 대해서 일러주는 것도 좋을 것이다. 아울러 동물이나 곤충에 관한 전래동요의 노랫말 중에는 ‘의인화’된 가사가 적잖이 출현함을 일러준다.
2) 놀이요 ( 遊戱謠 )
전래동요중의 대부분은 놀이와 관련된 것이다. 노래와 놀이의 깊은 연관성을 일러 준다. 이렇게 놀이를 통한 전래동요를 ‘놀이요’ 또는 ‘유희요’라고 한다.
우리 전래동요 가운데 놀이요는 ‘놀이 유형에 의한 분류’ ‘지역적 분류’ ‘음악적 특성에 의한 분류’ 등 여러 가지로 가를 수 있다.
2-1) 놀이 유형에 의한 놀이요의 분류
(1) 개인놀이소리
혼자서 놀이하며 부르는 것으로 「잠자리 동동」「앞마당을 쓸어라」「쌀방아 찧어라」와 같이 동물을 놀리며 부르는 소리가 많고 「질라래비 훨훨」과 같이 놀이개를 조작하며 부르는 경우도 있고 「두껍아 두껍아」처럼 제작 놀이를 하며 부르는 것도 있다.
(2) 단체놀이소리
① 앉은 놀이소리
앉은 놀이소리에는「이거리 저거리」와 같은 것이 대표 적이다.
② 줄지어 노는 선놀이 소리
어린이들이 서서 줄지어 늘어서 돌아가며 노는 소리는 매우 종류가 많고 또 놀이 내용 또한 좋아서 전통 놀이요의 노란 자위라 할 수 있다.
- 둥글게 잡고 노는 소리 : 줄짓는 소리의 대표적인 소리인 바 전남「강강술래」,경상도 「월이청청」,강릉「고사리꺾세」,산천「고사리꺾기」,전북「남원산성 노적」이 있다.
- 줄지어 엎딘 등 밟고 건너는 소리 : 놀이꾼들이 줄지어 선 엎딘 등을 밟고 건너는 소리 로 널리 퍼져있는 바 전라도「지와 밟기」,영덕「재 밟기」,안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