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1) 우리나라의 현황과 해외시장의 중요성
※ LG전자의 경영지표
2) 새로운 시장으로의 중국
※ LG전자의 해외 생산 법인
2. 이론적배경
1) 현지화의 의의
2) 현지화의 개념적 틀
3) 현지화 추진 시 유의할점
3. LG전자의 중국시장 현지화전략
1) 현지 생산 관리
2) 현지 구매 관리
3) 인력자원 현지화
4. LG전자의 중국 사업전략
1) Business Portfolio 전략
2) 지역 시장 세분화 전략
5. 맺음말
1) 우리나라의 현황과 해외시장의 중요성
※ LG전자의 경영지표
2) 새로운 시장으로의 중국
※ LG전자의 해외 생산 법인
2. 이론적배경
1) 현지화의 의의
2) 현지화의 개념적 틀
3) 현지화 추진 시 유의할점
3. LG전자의 중국시장 현지화전략
1) 현지 생산 관리
2) 현지 구매 관리
3) 인력자원 현지화
4. LG전자의 중국 사업전략
1) Business Portfolio 전략
2) 지역 시장 세분화 전략
5. 맺음말
본문내용
LG전자의 글로벌 소싱 전략 :
중국 현지화 사례를 중심으로
대기업들이 환율 급락으로 ‘환차손’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나자 원가절감을 위해 해외에서 부품원자재 ‘글로벌소싱’ 규모를 대폭 확대하고 있다. 특히 전자업체들의 글로벌 소싱 규모는 미국, 유럽, 일본 등 해외 다국적기업들의 40%선을 넘어서면서 갈수록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삼성전자LG전자 등 전자업체와 GM대우 등 자동차업체를 비롯해 현대중공업두산인프라코아 등 조선기계업체들이 연간 50조원 이상의 부품원자재를 구매하고 있으며 ‘원고(高)시대’를 맞아 글로벌소싱 비중을 50% 이상으로 높이고 있다.
LG경제연구원 관계자는 “환율 하락으로 해외부품을 수입하는 것이 국산 부품에 비해 15%~20%가량 원가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다”며 “이제는 중국동남아 부품의 품질도 높아진 만큼 글로벌소싱 대상을 아시아권으로 넓히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이렇듯 기업은 이윤추구의 극대화를 위해 점진적인 노력을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글로벌소싱의 규모를 확대 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내수시장이 작아 경제의 대외의존도, 즉 무역이 전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68%로 미국(22%), 일본(22%)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크다. 무역으로 먹고 살아야 하는 우리로서는 글로벌소싱 전략은 절대적으로 필요 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 보다 일본이 기술에서 더 멀리 앞서 나가고, 중국은 무섭게 쫓아온다는 뜻으로 한국의 정세를 ‘샌드위치 코리아’라 표현하며 이슈화 되고 있다. 이로 인해 중국내에 진출한 대다수의 중소기업이 현지국과 일본에 밀려 문을 닫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이에 LG전자의 중국 진출의 현지화전략 사례를 통해 타 기업의 중국 진출에 중요한 전략적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 목 차
1. 머리말
1) 우리나라의 현황과 해외시장의 중요성
※ LG전자의 경영지표
2) 새로운 시장으로의 중국
※ LG전자의 해외 생산 법인
2. 이론적배경
1) 현지화의 의의
2) 현지화의 개념적 틀
3) 현지화 추진 시 유의할점
3. LG전자의 중국시장 현지화전략
1) 현지 생산 관리
2) 현지 구매 관리
3) 인력자원 현지화
4. LG전자의 중국 사업전략
1) Business Portfolio 전략
2) 지역 시장 세분화 전략
5. 맺음말
1. 머리말
1) 우리나라의 현황과 해외시장의 중요성
우리나라의 GNP 68%이상을 해외시장이 담당하고 있을 만큼 해외투자는 중요하다. 경기가 어렵다면 그것은 해외시장으로부터 온 것이다. 그러므로 해외시장을 회복하면 자연히 내수시장이 회복된다. 정부가 내수시장을 아무리 북돋는다 해도 내수시장의 규모만으로는 이미 커진 경제규모를 지탱하고 회복시키기에는 역부족이다.
※ LG전자의 경영지표
단위 : 억원
위 표를 보면 해를 거듭할수록 국내매출액과 해외매출액의 차이는 심화되고 있다. 즉 해외시장을 개척하지 않고는 기술과 자본의 과다투입에서 오는 경상이익의 증가는 더 이상 기대하기 힘들다.
미국 경기가 좋은 지금은 우리 기업들이 어느 정도 버텨나가고 있지만, 언젠가는 미국경기가 하락세로 돌아서면 국내 소비수요가 줄어들고, 미국 경기고 하락세로 들어가면, 해외 수요에서 미국의 비중이 큰 우리 기업들로서는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된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우리는 피해갈 수 없는 선택의 대안을 우리의 주변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 바로 이웃나라 중국이다.
2) 새로운 시장으로의 중국
아시아 국가 중 최근의 중국시장은 78년 말부터 개혁, 개방을 추진한 이래 현재 최고의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20여년에 걸친 개혁, 개방의 선과가 본격적으로 가시화 되고 있으며 2000년 8% 성장에 이어 2001년 1/4분기에는 8.1%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고, 미국 및 일본의 경기 침체, 한국과 동남아의 경기 회복 지연 속에서 중국만이 호황을 누리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97년 이후 아시아 각 국이 외환위기로 어려움을 겪는 과정에서 중국의 위상이 크게 강화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아시아 각 국이 연쇄적으로 통화를 절하했지만 위안화 가치는 유지된 사실을 보면 우리는 중국시장의 성장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중국시장은 앞으로 우리의 불황을 타계하고 과거의 미국과 일본 위주의 해외 수출의 미, 일 의존을 해결하고 새로운 판로 개척에 있어서 우리에게 중요하고 매력적인 하나의 돌파구로 여겨지고 있으며, 이러한 중국시장을 우리는 잘 알고 공략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세계 전반적으로 침체기임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중국은 대륙의 풍부한 노동력, 자연, 자원, 과학기술 등의 유리한 시장우위를 바탕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중국 현지화 사례를 중심으로
대기업들이 환율 급락으로 ‘환차손’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나자 원가절감을 위해 해외에서 부품원자재 ‘글로벌소싱’ 규모를 대폭 확대하고 있다. 특히 전자업체들의 글로벌 소싱 규모는 미국, 유럽, 일본 등 해외 다국적기업들의 40%선을 넘어서면서 갈수록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LG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삼성전자LG전자 등 전자업체와 GM대우 등 자동차업체를 비롯해 현대중공업두산인프라코아 등 조선기계업체들이 연간 50조원 이상의 부품원자재를 구매하고 있으며 ‘원고(高)시대’를 맞아 글로벌소싱 비중을 50% 이상으로 높이고 있다.
LG경제연구원 관계자는 “환율 하락으로 해외부품을 수입하는 것이 국산 부품에 비해 15%~20%가량 원가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다”며 “이제는 중국동남아 부품의 품질도 높아진 만큼 글로벌소싱 대상을 아시아권으로 넓히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이렇듯 기업은 이윤추구의 극대화를 위해 점진적인 노력을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글로벌소싱의 규모를 확대 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내수시장이 작아 경제의 대외의존도, 즉 무역이 전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68%로 미국(22%), 일본(22%)과는 비교가 안 될 정도로 크다. 무역으로 먹고 살아야 하는 우리로서는 글로벌소싱 전략은 절대적으로 필요 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 보다 일본이 기술에서 더 멀리 앞서 나가고, 중국은 무섭게 쫓아온다는 뜻으로 한국의 정세를 ‘샌드위치 코리아’라 표현하며 이슈화 되고 있다. 이로 인해 중국내에 진출한 대다수의 중소기업이 현지국과 일본에 밀려 문을 닫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이에 LG전자의 중국 진출의 현지화전략 사례를 통해 타 기업의 중국 진출에 중요한 전략적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 목 차
1. 머리말
1) 우리나라의 현황과 해외시장의 중요성
※ LG전자의 경영지표
2) 새로운 시장으로의 중국
※ LG전자의 해외 생산 법인
2. 이론적배경
1) 현지화의 의의
2) 현지화의 개념적 틀
3) 현지화 추진 시 유의할점
3. LG전자의 중국시장 현지화전략
1) 현지 생산 관리
2) 현지 구매 관리
3) 인력자원 현지화
4. LG전자의 중국 사업전략
1) Business Portfolio 전략
2) 지역 시장 세분화 전략
5. 맺음말
1. 머리말
1) 우리나라의 현황과 해외시장의 중요성
우리나라의 GNP 68%이상을 해외시장이 담당하고 있을 만큼 해외투자는 중요하다. 경기가 어렵다면 그것은 해외시장으로부터 온 것이다. 그러므로 해외시장을 회복하면 자연히 내수시장이 회복된다. 정부가 내수시장을 아무리 북돋는다 해도 내수시장의 규모만으로는 이미 커진 경제규모를 지탱하고 회복시키기에는 역부족이다.
※ LG전자의 경영지표
단위 : 억원
위 표를 보면 해를 거듭할수록 국내매출액과 해외매출액의 차이는 심화되고 있다. 즉 해외시장을 개척하지 않고는 기술과 자본의 과다투입에서 오는 경상이익의 증가는 더 이상 기대하기 힘들다.
미국 경기가 좋은 지금은 우리 기업들이 어느 정도 버텨나가고 있지만, 언젠가는 미국경기가 하락세로 돌아서면 국내 소비수요가 줄어들고, 미국 경기고 하락세로 들어가면, 해외 수요에서 미국의 비중이 큰 우리 기업들로서는 상당한 어려움이 예상된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우리는 피해갈 수 없는 선택의 대안을 우리의 주변에서 찾을 수밖에 없다. 바로 이웃나라 중국이다.
2) 새로운 시장으로의 중국
아시아 국가 중 최근의 중국시장은 78년 말부터 개혁, 개방을 추진한 이래 현재 최고의 전성기를 구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20여년에 걸친 개혁, 개방의 선과가 본격적으로 가시화 되고 있으며 2000년 8% 성장에 이어 2001년 1/4분기에는 8.1%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고, 미국 및 일본의 경기 침체, 한국과 동남아의 경기 회복 지연 속에서 중국만이 호황을 누리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97년 이후 아시아 각 국이 외환위기로 어려움을 겪는 과정에서 중국의 위상이 크게 강화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아시아 각 국이 연쇄적으로 통화를 절하했지만 위안화 가치는 유지된 사실을 보면 우리는 중국시장의 성장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중국시장은 앞으로 우리의 불황을 타계하고 과거의 미국과 일본 위주의 해외 수출의 미, 일 의존을 해결하고 새로운 판로 개척에 있어서 우리에게 중요하고 매력적인 하나의 돌파구로 여겨지고 있으며, 이러한 중국시장을 우리는 잘 알고 공략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세계 전반적으로 침체기임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중국은 대륙의 풍부한 노동력, 자연, 자원, 과학기술 등의 유리한 시장우위를 바탕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