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본문내용
제가 안으로부터 무너지고 자본주의의 열강의 세계병탄 때문에 거대한 시련이 닥쳐왔다. 이러한 이중의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민중종교운동이 나타나게 되었다.
1860(철종 11년) 최제우(崔濟愚)가 동학(東學)을 창건한 것을 시발점으로 생겨난 수많은 종교를 신흥종교 또는 민중종교라고 하고 민중종교를 포교하는 운동과 교단의 사회운동을 민중종교운동이라는 용어로 함께 지칭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운동은 주어진 상황에서 자아정체의 혼미와 상황정의(狀況定義)의 어려움을 겪는 자들이 기성종교와는 다른 방식으로 자신의 삶을 재구성하기 위해 전개하는 사회운동의 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노길명,한국의 신흥종교,카톨릭신문가,1988,p.24.
따라서 신흥종교의 교리에는 자아정체의 혼미와 상황정의의 어려움을 가져오는 사회적 모순과 긴장에 대한 나름대로의 원인분석과 그에 따른 극복방안이 포함되기 마련이다.
민중종교의 공통된 교리와 사상은 인간이 그 무엇보다도 존귀하며 민중의 삶을 억압하는 일체의 관습과 제도 및 모순들은 타파되어야 한다는 인존사상과 민중사상, 각종 모순과 부조리로 가득 찬 기존의 질서는 가고 평등, 조화, 화합이 실현되는 새 질서가 도래하리라는 후천개벽사상과 지상천국신앙, 한국이 세계의 종주국이 되리라는 구세주신앙과 선민사상을 폈다. 노길명,한국 신흥 종교 연구, 경세원,1996,pp.37~38.
이러한 종교운동은 이러한 상징적 의미를 강조하면서 광범위한 호응을 얻기 위해서 국문경전을 편찬하여 문학의 양상을 더욱 적극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민중종교운동은 시대적인 위치, 사상적 성향, 그리고 문학적 표현의 선택에서 모두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적인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근대적 각성을 거쳐 기존의 역량을 동원해 민족을 수호하고자하는 의지를 구현한 점에서는 커다란 의의를 가지지만 민란의 의식을 근대 시민정신으로 발전시키지 못했고, 문학적 표현에서도 이행기다운 진통을 보여주었을 뿐 근대 문학의 길을 열만큼의 역량은 지니지 못했다. 하지만 밑으로 올라온 자주적인 발언이라는 점에서 외래문화의 범람으로 인한 자아상실을 치유하는 방향으로 재평가된다.
(2) 동학사상의 표현방법
1860년(철종 11) 최제우(崔濟愚)는 동학 서학에 대응할 만한 동토(東土) 한국의 종교라는 뜻
을 창시하였다. 최제우의 동학사상은 보국안민(輔國安民) 나랏일을 돕고 백성을 편안하게 함.
, 포덕천하(布德天下) 천하에 덕을 편다.
, 광제창생(匡濟蒼生) 세상의 모든 잘못된 일을 바로잡고 흐트러진 세상을 구제한다는 뜻
의 기지아래 전개되기 시작하여 반외세, 반봉건적 이념이 강하게 내재되어있다. 동학은 시천주사상 천주를 내 안에 모신다는 시천주사상은 상하 귀천을 가리지 않고 누구나 시천주하면 지존한 인격적 존재가 된다고 하였다. 후대에 동학, 천도교의 전개과정에서 재해석되고 보다 인간화, 세속화되어 사람이 곧 하늘이라는 인내천사상으로 이끌어짐.
과 후천개벽사상을 통해 현세에 인간평등의 사회를 건설하고 만인이 존엄한 주체가 되는 지상천국을 건설하고자 하였다. 신일철,「동학사상의 이해」,사회비평사,1995,pp.17~35.
이는 최제우가 지은 가사에 잘 들어나 있는데 최제우는 국문을 이용해 가사를 지은 <용담유사>(龍潭遺嗣)와 한문경전인 <동경대전>(東經大全)을 지었는데 이는 동학의 기본경전을 이룬다.
<용담유사>라고 총칭되는 최제우의 가사는 모두 아홉 편이다. 1860년에 <용담가>(龍潭歌), <안심가>(安心歌), <교훈가>(敎訓歌)를 1860년에 <도수사>(道修詞), <몽중노소문답가>(夢中老少問答歌), 〈검결〉(劍訣)을, 1862년에 <권학가>를, 1862년에 <도덕가>, <흥비가>(興比歌)를 이었는데 나중에 〈검결〉은 최제우의 재판에 크게 문제가 되어서<용담유사>에 수록되지 않고 따로 전한다.
다음과 같은 가사를 통해 어지러운 세상을 개혁해서 이상사회를 건설해야 한다는 제세와 개혁의 의지가 담겨 근대 사회 지향의 적극적 반봉건을 강조하고 있다.
첫째로, 인간은 누구나 본체 생명인 하날을 시해야 하는 개체 생명으로 이 개체는 본성에서부터 빈부, 귀천을 떠나 평등하다는 것이다. 인간은 평등함을 강조한다.
시긴 로 시셔 가리치면
무궁됴화 다 던지고 포덕천하 거시니
제도법(次第道法) 그 일세 법을 졍코 글을 지어
입도 세상 람 그날부텀 군도야
무위이화 될 거시니 디상신션 네 아니냐
<교훈가>중에서
위 가사에서는 동학에 입도 포덕천하하면 그가 누구든 군자라 한다. 동학의 이 인간 평등론은 당시 지벌 가세 문벌 때문에 소수지배상층에 시달리던 하층에게 복음이 아닐 수 없었다.
그럭저럭 길 업셔 업 정신 가다드머
님께 알외오니 하님 하신 말
너도 역시 사이라 무어슬 알아스며
억조창 마는 동귀일톄 줄을
십 평 아라냐
<교훈가>에서
그러 님은 지공무 신 마음
불션악 시니 효박 이 세상을
동귀일톄 단 말가
<도덕가>에서
위 첫 번째 인문에서는 수운이 하날님께 기도하는 가운데 하날님이 비로소 수운에게 ‘억저창생 많은 사람은 동귀일체해야 함을 가르쳐 주었다’ 하고, 두 번째 인문에서는 하날님을 불택선악하여 지공무사하시지만 이 세상이 지나치게 효박하여 이 사회로는 이 백성이 동귀일체 할 수 없다 하여 동귀일체할 수 있는 새 세계로의 개혁의지를 강조한다.
둘째로, 사회나 국가는 소수 지배 상층에 의해 유지, 발전되는 것이 아니라 민중 주도에 의한 것이라야 한다고 했다.
디디 중들아 보국안민 엇디고
져 인간 초목군 텬 안일넌가
불시풍우 언망도 임호텬 안일넌가
삼황오제 셩현들도 경텬순텬 안일넌가
효박 이 세상의 불고텬명 단 말가
<권학가>에서
위 인문에서는 사지에 빠져있는 민중들에게 보국안민을 강조하고 그 보국안민을 위해서는 직접 민중이 천명을 경지(敬之), 순지(順之) 해서 이룸으로써 해결된다고 하고 있다.
또한 최제우는 그의 민족적 자각으로 모든 가사를 한글로 창작했다. 또한 수운은 조선이 비록 부패된 성리학적 유교 사상으로 효박한 세상이 되었지만, 조선의 연원이 오래임과 경개의 빼어남을 강조하고 후천개벽의 중심지가 될 것이므로 척양(斥洋), 배일(排日), 배청(排淸)등을 주장하는 등 자주적 민족주의를 역설하였다.
가튼 왜
1860(철종 11년) 최제우(崔濟愚)가 동학(東學)을 창건한 것을 시발점으로 생겨난 수많은 종교를 신흥종교 또는 민중종교라고 하고 민중종교를 포교하는 운동과 교단의 사회운동을 민중종교운동이라는 용어로 함께 지칭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운동은 주어진 상황에서 자아정체의 혼미와 상황정의(狀況定義)의 어려움을 겪는 자들이 기성종교와는 다른 방식으로 자신의 삶을 재구성하기 위해 전개하는 사회운동의 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노길명,한국의 신흥종교,카톨릭신문가,1988,p.24.
따라서 신흥종교의 교리에는 자아정체의 혼미와 상황정의의 어려움을 가져오는 사회적 모순과 긴장에 대한 나름대로의 원인분석과 그에 따른 극복방안이 포함되기 마련이다.
민중종교의 공통된 교리와 사상은 인간이 그 무엇보다도 존귀하며 민중의 삶을 억압하는 일체의 관습과 제도 및 모순들은 타파되어야 한다는 인존사상과 민중사상, 각종 모순과 부조리로 가득 찬 기존의 질서는 가고 평등, 조화, 화합이 실현되는 새 질서가 도래하리라는 후천개벽사상과 지상천국신앙, 한국이 세계의 종주국이 되리라는 구세주신앙과 선민사상을 폈다. 노길명,한국 신흥 종교 연구, 경세원,1996,pp.37~38.
이러한 종교운동은 이러한 상징적 의미를 강조하면서 광범위한 호응을 얻기 위해서 국문경전을 편찬하여 문학의 양상을 더욱 적극적으로 바꾸어 놓았다.
민중종교운동은 시대적인 위치, 사상적 성향, 그리고 문학적 표현의 선택에서 모두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적인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근대적 각성을 거쳐 기존의 역량을 동원해 민족을 수호하고자하는 의지를 구현한 점에서는 커다란 의의를 가지지만 민란의 의식을 근대 시민정신으로 발전시키지 못했고, 문학적 표현에서도 이행기다운 진통을 보여주었을 뿐 근대 문학의 길을 열만큼의 역량은 지니지 못했다. 하지만 밑으로 올라온 자주적인 발언이라는 점에서 외래문화의 범람으로 인한 자아상실을 치유하는 방향으로 재평가된다.
(2) 동학사상의 표현방법
1860년(철종 11) 최제우(崔濟愚)는 동학 서학에 대응할 만한 동토(東土) 한국의 종교라는 뜻
을 창시하였다. 최제우의 동학사상은 보국안민(輔國安民) 나랏일을 돕고 백성을 편안하게 함.
, 포덕천하(布德天下) 천하에 덕을 편다.
, 광제창생(匡濟蒼生) 세상의 모든 잘못된 일을 바로잡고 흐트러진 세상을 구제한다는 뜻
의 기지아래 전개되기 시작하여 반외세, 반봉건적 이념이 강하게 내재되어있다. 동학은 시천주사상 천주를 내 안에 모신다는 시천주사상은 상하 귀천을 가리지 않고 누구나 시천주하면 지존한 인격적 존재가 된다고 하였다. 후대에 동학, 천도교의 전개과정에서 재해석되고 보다 인간화, 세속화되어 사람이 곧 하늘이라는 인내천사상으로 이끌어짐.
과 후천개벽사상을 통해 현세에 인간평등의 사회를 건설하고 만인이 존엄한 주체가 되는 지상천국을 건설하고자 하였다. 신일철,「동학사상의 이해」,사회비평사,1995,pp.17~35.
이는 최제우가 지은 가사에 잘 들어나 있는데 최제우는 국문을 이용해 가사를 지은 <용담유사>(龍潭遺嗣)와 한문경전인 <동경대전>(東經大全)을 지었는데 이는 동학의 기본경전을 이룬다.
<용담유사>라고 총칭되는 최제우의 가사는 모두 아홉 편이다. 1860년에 <용담가>(龍潭歌), <안심가>(安心歌), <교훈가>(敎訓歌)를 1860년에 <도수사>(道修詞), <몽중노소문답가>(夢中老少問答歌), 〈검결〉(劍訣)을, 1862년에 <권학가>를, 1862년에 <도덕가>, <흥비가>(興比歌)를 이었는데 나중에 〈검결〉은 최제우의 재판에 크게 문제가 되어서<용담유사>에 수록되지 않고 따로 전한다.
다음과 같은 가사를 통해 어지러운 세상을 개혁해서 이상사회를 건설해야 한다는 제세와 개혁의 의지가 담겨 근대 사회 지향의 적극적 반봉건을 강조하고 있다.
첫째로, 인간은 누구나 본체 생명인 하날을 시해야 하는 개체 생명으로 이 개체는 본성에서부터 빈부, 귀천을 떠나 평등하다는 것이다. 인간은 평등함을 강조한다.
시긴 로 시셔 가리치면
무궁됴화 다 던지고 포덕천하 거시니
제도법(次第道法) 그 일세 법을 졍코 글을 지어
입도 세상 람 그날부텀 군도야
무위이화 될 거시니 디상신션 네 아니냐
<교훈가>중에서
위 가사에서는 동학에 입도 포덕천하하면 그가 누구든 군자라 한다. 동학의 이 인간 평등론은 당시 지벌 가세 문벌 때문에 소수지배상층에 시달리던 하층에게 복음이 아닐 수 없었다.
그럭저럭 길 업셔 업 정신 가다드머
님께 알외오니 하님 하신 말
너도 역시 사이라 무어슬 알아스며
억조창 마는 동귀일톄 줄을
십 평 아라냐
<교훈가>에서
그러 님은 지공무 신 마음
불션악 시니 효박 이 세상을
동귀일톄 단 말가
<도덕가>에서
위 첫 번째 인문에서는 수운이 하날님께 기도하는 가운데 하날님이 비로소 수운에게 ‘억저창생 많은 사람은 동귀일체해야 함을 가르쳐 주었다’ 하고, 두 번째 인문에서는 하날님을 불택선악하여 지공무사하시지만 이 세상이 지나치게 효박하여 이 사회로는 이 백성이 동귀일체 할 수 없다 하여 동귀일체할 수 있는 새 세계로의 개혁의지를 강조한다.
둘째로, 사회나 국가는 소수 지배 상층에 의해 유지, 발전되는 것이 아니라 민중 주도에 의한 것이라야 한다고 했다.
디디 중들아 보국안민 엇디고
져 인간 초목군 텬 안일넌가
불시풍우 언망도 임호텬 안일넌가
삼황오제 셩현들도 경텬순텬 안일넌가
효박 이 세상의 불고텬명 단 말가
<권학가>에서
위 인문에서는 사지에 빠져있는 민중들에게 보국안민을 강조하고 그 보국안민을 위해서는 직접 민중이 천명을 경지(敬之), 순지(順之) 해서 이룸으로써 해결된다고 하고 있다.
또한 최제우는 그의 민족적 자각으로 모든 가사를 한글로 창작했다. 또한 수운은 조선이 비록 부패된 성리학적 유교 사상으로 효박한 세상이 되었지만, 조선의 연원이 오래임과 경개의 빼어남을 강조하고 후천개벽의 중심지가 될 것이므로 척양(斥洋), 배일(排日), 배청(排淸)등을 주장하는 등 자주적 민족주의를 역설하였다.
가튼 왜
추천자료
조선시대의 문학(악장.국악.시조.가사)
관동별곡 연구
개화기 소설의 유형
이인직의 문학세계
근대시가에 대한 레포트
소설의 변이와 사설시조의 등장_설화 민담 한문단편소설 요약 정리, [한국문학통사], 조동기
[한국문학사, 현대문학사, 한국현대문학사] 한국현대문학사 요점정리(1900-1960)
(한국)여성문학의흐름.hwp
[현대문학강독]이인직의 혈의루 작품의 줄거리와 문학사적 의미
우리나라 연대별 현대문학사
염상섭 <삼대> 연구
염상섭 <삼대> 연구
장덕순의 한국문학사 읽고요약 정리.
한국현대문학사 정리 - 김윤식, 김우종 외, 현대문학 (1900년대~1990년대 시와 소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