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문학사 정리 - 김윤식, 김우종 외, 현대문학 (1900년대~1990년대 시와 소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현대문학사 정리 - 김윤식, 김우종 외, 현대문학 (1900년대~1990년대 시와 소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1900~1910년
 1. 시
 2. 소설

Ⅱ. 1910년대
 1. 시
 2. 소설

Ⅲ. 1920년대
 1. 시
 2. 소설

Ⅳ. 1930~45년
 1. 시
 2. 소설

Ⅴ. 1945~50년
 1. 시
 2. 소설

Ⅵ. 1950년대
 1. 시
 2. 소설

Ⅶ. 1960년대
 1. 시
 2. 소설

Ⅷ. 1970년대
 1. 시
 2. 소설

Ⅸ. 1980년대
 1. 시
 2. 소설

Ⅹ. 1990년대
 1. 시
 2. 소설

본문내용

한국현대문학사 정리
-김윤식김우종 외, 현대문학
목 차
Ⅰ. 1900~1910년
1. 시

1
2. 소 설

5
Ⅱ. 1910년대
1. 시

8
2. 소 설

10
Ⅲ. 1920년대
1. 시

13
2. 소 설

15
Ⅳ. 1930~45년
1. 시

19
2. 소 설

21
Ⅴ. 1945~50년
1. 시

24
2. 소 설

26
Ⅵ. 1950년대
1. 시

27
2. 소 설

28
Ⅶ. 1960년대
1. 시

30
2. 소 설

33
Ⅷ. 1970년대
1. 시

35
2. 소 설

37
Ⅸ. 1980년대
1. 시

39
2. 소 설

41
Ⅹ. 1990년대
1. 시

43
2. 소 설

44
≪1900~1910년≫
1900~1910년 시 / 개화기 시가의 전개
※ 개화기 시가의 형성
서구 과학문명의 유입과 함께 신구의 갈등적 상황에서 개화기 시가 형성
개화기 시가의 형식에 따른 분류
① 창가 → 신체시
신체시 이전의 개화기 시가의 총체를 창가의 범주에 포괄
임화가 「개설 신문학사」에서 ‘신시의 선구로서의 창가’라고 함
백철, 조연현 등
② 개화가사 → 창가 → 신체시
조지훈에서 비롯
1964년 『문학춘추』 6월호부터 연재되었던 「한국현대시문학사」에서 주장
③ 개화시 → 개화가사 → 창가 → 신체시
송민호
개화기 시가의 내용
- 수구와 우매에 대한 저항과 계몽의 노래
- 매국하는 집권자들에 대한 저항과 규탄의 피맺힌 노래
- 교육과 단결로써 후일을 기약하는 소극적인 노래
개화기 시가의 특징
- 심미성보다는 그 시대의 정치 및 사회현실을 고발하고, ‘근대화’와 ‘국권 상실’
이라는 현실에서 야기되는 그 시대인의 고통과 아픔을 노래
- 서구문화의 수용과 함께 급변하는 사회의 으름을 따라 그 시대정신이나 사상을
새로운 시가 형식으로 형상화할 전문적인 근대시인이 미처 등장하지 못했던
과도기적 현상
1. 애국가 유형
※ 개 관
- 44조 2행련의 대구형식
- 애국가 유형에 대한 이제까지의 논의
① 신체시의 전단계로 ‘창가’나 ‘개화가사’ 중 어느 하나에다 일괄 통칭
② ‘개화시’ 또는 ‘개화가’라는 새로운 장르 설정
⇒ 애국가 유형은 ‘시’라기보다는 ‘노랫말’로써, 바로 뒤를 이어온 개화가사나
창가의 형태와 내용 및 주제의식과도 깊이 관련되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
그 과도기적인 성격을 띠는 두 요소의 미분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 《독립신문》, 《대한매일신보》, 《경향신문》 등 당시의 신문이나 잡지에 발표되어
있는 애국가 유형 및 기타의 시가들은 거의가 직설적이며 웅변적인 특색을 띠고
있는 것들로, 이미지의 형상화나 근대시적 기법과는 거리가 있음
- 애국가류의 작품들은 심미성보다는 사회적 기능이 훨씬 강조, 자주독립이나
문명개화나 부국강병 등과 같은 관념은 민중의식의 형상화
1) 애국가 유형의 작품
- 《독립신문》, 《대한매일신보》, 《경향신문》 등에 가장 많이 발표, 그 밖의 신문
이나 잡자에는 몇 편씩 실림
- 《독립신문》에 실린 작품
1896년 4월 11일자의 「최돈셩의 글」을 위시하여 총 27편
말단 공무원과 일반 민간인사들이 작가 대부분을 차지
표제로 보아 「동심가」 「셩졀숑

키워드

  • 가격2,900
  • 페이지수65페이지
  • 등록일2015.08.21
  • 저작시기201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93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