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하천복원사업 소개
2. 양재천 공원화 사업Ⅰ
3. 양재천 공원화 사업Ⅱ
4. 양재천의 변화
5. 양재천의 교훈
6. 레포트를 마치면서 나의 생각
2. 양재천 공원화 사업Ⅰ
3. 양재천 공원화 사업Ⅱ
4. 양재천의 변화
5. 양재천의 교훈
6. 레포트를 마치면서 나의 생각
본문내용
1. 하천복원사업 소개
일반적으로 하천은 이수와 치수의 기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수는 하천과 물이 주는 가치(Value)를 말하며, 치수는 기능이라기보다는 엄밀한 의미에서 하천관리의 목표이다. 하천은 이러한 이수적 가치와 치수적 관리대상 이외에 가장 기본적인 기능인 환경기능이 있다. 하천의 환경기능은 하천 동식물의 서식처 기능, 수질의 자정기능 그리고 심미적 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심미적 기능은 다른 표현으로 친수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이수는 가치이며, 치수는 관리의 목표이며 환경만이 진정한 의미의 기능(자연이 물리·화학·생물 작용을 통하여 스스로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하천의 가치(이수)와 관리(치수)와 기능(환경)은 상충될 수 있다. 문제는 위 하천의 요소는 모두 인간사회에 필수적인 요소라는 것이다. 지금까지 하천의 관리는 이·치수 관리를 위해 환경기능의 희생을 가져왔다. 1960년대 산업화와 도시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이후로 하천의 관리는 치수기능과 경제성만을 위한 획일적이고 인공적인 하천정비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현재 전국의 3,600km의 국가하천 및 지방1급 하천의 대부분이 콘크리트로 덮이고, 직강화가 이루어져 인공화(Channelization)되어 있는 상태이며, 그보다 규모가 작은 지방2급 하천, 소하천의 상황도 비슷한 실정이다.
환경 보전과 개선이 우리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기본인자로 인식되는 최근에 들어서는 하천의 환경기능은 과거처럼 쉽게 포기하기 어렵다. 1990년대 들어 하천의 환경적 기능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어 하천환경의 보전과 복원의 필요성이 대두되어왔다. 이러한 하천환경의 보전과 복원을 위한 방법으로 자연형 하천공법을 들 수 있다
(1) 외국의 하천복원 사례
문헌에서 해외의 하천복원사례는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여기서는 외국의 사례로서 오스트리아 짤스부르크 하천복원사업과 미국 미시시피州 하천복원사업을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두 사업은 그 배경이 사뭇 다르지만(산지하천 대 평지하천; 도시하천 대 전원하천) 생물서식처의 회복, 복원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오스트리아 짤스부르크市의 Alterbach강 복원사례(Mader, 1999)
짤스부르크는 알프스 산맥 북쪽 기
일반적으로 하천은 이수와 치수의 기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수는 하천과 물이 주는 가치(Value)를 말하며, 치수는 기능이라기보다는 엄밀한 의미에서 하천관리의 목표이다. 하천은 이러한 이수적 가치와 치수적 관리대상 이외에 가장 기본적인 기능인 환경기능이 있다. 하천의 환경기능은 하천 동식물의 서식처 기능, 수질의 자정기능 그리고 심미적 기능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심미적 기능은 다른 표현으로 친수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이수는 가치이며, 치수는 관리의 목표이며 환경만이 진정한 의미의 기능(자연이 물리·화학·생물 작용을 통하여 스스로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하천의 가치(이수)와 관리(치수)와 기능(환경)은 상충될 수 있다. 문제는 위 하천의 요소는 모두 인간사회에 필수적인 요소라는 것이다. 지금까지 하천의 관리는 이·치수 관리를 위해 환경기능의 희생을 가져왔다. 1960년대 산업화와 도시화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이후로 하천의 관리는 치수기능과 경제성만을 위한 획일적이고 인공적인 하천정비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현재 전국의 3,600km의 국가하천 및 지방1급 하천의 대부분이 콘크리트로 덮이고, 직강화가 이루어져 인공화(Channelization)되어 있는 상태이며, 그보다 규모가 작은 지방2급 하천, 소하천의 상황도 비슷한 실정이다.
환경 보전과 개선이 우리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기본인자로 인식되는 최근에 들어서는 하천의 환경기능은 과거처럼 쉽게 포기하기 어렵다. 1990년대 들어 하천의 환경적 기능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어 하천환경의 보전과 복원의 필요성이 대두되어왔다. 이러한 하천환경의 보전과 복원을 위한 방법으로 자연형 하천공법을 들 수 있다
(1) 외국의 하천복원 사례
문헌에서 해외의 하천복원사례는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여기서는 외국의 사례로서 오스트리아 짤스부르크 하천복원사업과 미국 미시시피州 하천복원사업을 구체적으로 소개한다. 두 사업은 그 배경이 사뭇 다르지만(산지하천 대 평지하천; 도시하천 대 전원하천) 생물서식처의 회복, 복원이라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오스트리아 짤스부르크市의 Alterbach강 복원사례(Mader, 1999)
짤스부르크는 알프스 산맥 북쪽 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