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생태공원의 발생 배경
Ⅱ. 생태공원에 관한 이론적 고찰
1. 생태 공원의 개념
2. 생태 공원의 의의
3. 생태 공원의 목표
4. 생태 공원 내 도입 기능
Ⅲ. 해외 생태 공원의 사례
1. 영국
2. 독일
3. 미국․캐나다
4. 일본
Ⅳ. 국내 생태 공원의 조성 사례
1.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
2. 길동 자연생태공원
3. 선유도 생태공원
Ⅴ. 생태공원 문제점과 적용방안
1. 생태공원의 문제점
2. 생태공원의 적용방안
Ⅱ. 생태공원에 관한 이론적 고찰
1. 생태 공원의 개념
2. 생태 공원의 의의
3. 생태 공원의 목표
4. 생태 공원 내 도입 기능
Ⅲ. 해외 생태 공원의 사례
1. 영국
2. 독일
3. 미국․캐나다
4. 일본
Ⅳ. 국내 생태 공원의 조성 사례
1.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
2. 길동 자연생태공원
3. 선유도 생태공원
Ⅴ. 생태공원 문제점과 적용방안
1. 생태공원의 문제점
2. 생태공원의 적용방안
본문내용
호하는 공간을 조성하기보다는, 전원적인 자연과 같은, 우리의 생활속에 자리하고 있는 생물들이 건전하게 서식하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2) 친자연적 여가공간
친자연적 여가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서는 대표적인 생태도입테마를 설정해야 하는데, 그 예로 野生草花, 개구리, 잠자리, 나비, 매미, 메뚜기 등 생활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자연자원에 근거한 도입테마를 설정한다. 또한 초중고 생물과정에서 나타나는 관찰학습프로그램들이 수용될 수 있도록 주제를 설정해야 한다. 그리고 자연학습 및 관찰장소를 제공해야 하는데, 자연환경 요소에 인간의 정주환경 요소를 부가하여 조성함으로써 이용자들에게 친숙한 환경을 제공, 관찰 및 학습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4. 생태 공원 내 도입 기능
생태공원內 도입가능한 기능을 종합하면 다음 5가지로 요약된다.
1) 다양한 소생물권 형성
생물유기체가 비교적 안정한 상태로 살아가는 장소로 국지적 환경 변화에 의한 다양한 소생물권 서식을 유도한다.
2) 서식처 보호
다양한 소생물권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생태적으로 안정될 수 있도록 일정지역을 보호, 관리하며 서식생물종의 번식 및 생활환경을 보호함으로서 생태적으로 건강한 공간을 조성하기 위함이다.
3) 자연관찰활동공간의 제공
생태적으로 안정된 장소에서 자연환경기작을 관찰, 학습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하고 있는 공간이므로, 생태적 교란을 일으키지 않도록 제한된 관찰기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4) 정보제공 및 해설
모니터링에 의한 관찰결과, 생태공원에 대한 정확한 내용전달 등을 위한 자료를 축적하여 학습, 이해증진을 위한 자연 생태계 해설기능을 가진다.
5) 자연복원 연구 및 전파
훼손된 생태계의 복원방법, 기술, 연구 등의 학술적 작업으로 생태공원 조성시 소재 공급지로서의 역할을 한다.
Ⅲ. 해외 생태 공원의 사례
1. 영국
정부가 중심이 되어 지역 자연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는데 영국 최초의 생태공원으로서 1977년에 런던 중심부 공업지역에 1㏊ 규모로 조성된 William Curtis Ecological Park가 대규모로 방치되고 있는 낙후된 지역들이 어떻게 경제적이며 창조적으로 이용 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어 생태공원 조성운동의 견인차 역할을 하였고, 이를 계기로 The Ecological Parks Trust가 발족되어 활발한 활동을 하게 되었다. 이후 Camley Street Natutal Park, Gillespie Park, Watermead Ecological Park 등을 포함한 많은 생태공원이 계속적으로 조성되고 있다. 또 지역사회 주민들의 참여도 활발한데 예를 들면 런던의 민간 단체인 The Inter-Action Advisory Service는 영국 전역의 주거환경 불량지역에 북합기능의 공원을 조성하는데 큰 기여를 한 바 있다.
1) The William Curtis Ecological Park
생태공원으로 명명된 최초의 공원으로서 1977년 런던 템즈강변 Tower Bridge 인근에 규모 약 2acre로 조성되었다. 설립단체는 The Ecological Parks Trust(현재 이 단체는 The Trust of Urban Ecological로 개칭) 로서, 이 단체에 속한 자원봉사자에 의해 조성, 운영, 관리되고 있다. 조성과정에서 자원봉사자는 콘크리트를 철거 150종의 자생식물을 식재하였다. 후속적으로 종의 이입과 멸종에 대한 모니터링이 시행되었다. 1984년에 21종의 나비가 날아들었고 담수 연못에는 정수식물과 수생식물이 발생하게 되어 다양한 동식물 중의 서식기반을 이루고 있다.
2) Camley Street Natural Park
런던에서 가장 잘 알려진 생태공원이자 세계적으로 대표적인 생태공원으로서 규모는 0.9㏊(2.2 acre)이다. 도시환경의 생태적 재생사업의 성공적인 사례로서 도심에 가깝게 위치한 환경교육장소이다. 영국 런던市 외곽에 위치하고 있다.20년간 방치되어 야생화와 잡목이 무성하며, GLC(The Greater London Council→The Strategic Planning Authority)에 소속된 조경가와 생태학자에 의해 계획되었다. 자원봉사자가 조직인 The London Wildlife Trust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연간 10,000명의 어린이와 5,000내지 10,000명의 성인이 방문하고 있으며, 1주에 7일 개장하고 있다. 설립목적은 자연보전, 환경교육, 레크레이션으로서 주요시설은 인접 수로에 연계된 연못, 소택지, 야생화 초지, 관목 덤불과 樹林, 자연center 내부에 교실, 해설지역(interpretation area), 소규모 부엌, 사무실과 화장실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 시설들은 장애인이 접근가능하게 끔 처리되어 있다.
공원설립후 11년 동안 자연생태계가 시민들과 어떻게 공존해 나갈 수 있는지에 대해 선도적인 방법을 제시하였고, 전세계적으로 각종 단체 또는 개인단위로 많은 방문객들이 찾아오고 있다.
야생동물 서식현황
개구리, 두꺼비 등의 양서류
참새, 왜가리 등의 조류
곤돌메기, 장어, 잉어 등 어류
활용현황 및 계획
가족단위의 하계 환경체험교육 등 환경교육장소로 활용
지역의 고유한 자원 보존, 지역의 여행명소와 조용한 휴식처로서 공원의 역할 유지
가을특별예술제, 나무가꾸기 행사, 연례지역축제, 잔디깎기 등 다양한 행사를 유치
공원내의 다양한 종족을 보존하고, 생물의 서식을 돕기 위해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2. 독일
독일은 1976년 「연방자연보호법」계정을 계기로 생물의 다양성을 되찾기 위하여 노력하여 오고 있는데, 특히 도시하천농촌 등에 생물서식공간(Biotope) 조성에 주력하고 있다. 독일 연방 정원 박람회장은 동베를린에 위치, 도시민의 휴식 및 여가 장소로 활용될 뿐 아니라 많은 생물의 서식공간이 되고 있으며 연못 자체가 하나의 Biotope가 될 수 있도록 조성되어 있다.
도심 한가운데 조성된 자연생태공원(독일 하노버시)
3. 미국캐나다
1) 보이지 오아시스(Boise Oasis)
미국 아이다호의 보이지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74년도에
2) 친자연적 여가공간
친자연적 여가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서는 대표적인 생태도입테마를 설정해야 하는데, 그 예로 野生草花, 개구리, 잠자리, 나비, 매미, 메뚜기 등 생활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자연자원에 근거한 도입테마를 설정한다. 또한 초중고 생물과정에서 나타나는 관찰학습프로그램들이 수용될 수 있도록 주제를 설정해야 한다. 그리고 자연학습 및 관찰장소를 제공해야 하는데, 자연환경 요소에 인간의 정주환경 요소를 부가하여 조성함으로써 이용자들에게 친숙한 환경을 제공, 관찰 및 학습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4. 생태 공원 내 도입 기능
생태공원內 도입가능한 기능을 종합하면 다음 5가지로 요약된다.
1) 다양한 소생물권 형성
생물유기체가 비교적 안정한 상태로 살아가는 장소로 국지적 환경 변화에 의한 다양한 소생물권 서식을 유도한다.
2) 서식처 보호
다양한 소생물권들이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생태적으로 안정될 수 있도록 일정지역을 보호, 관리하며 서식생물종의 번식 및 생활환경을 보호함으로서 생태적으로 건강한 공간을 조성하기 위함이다.
3) 자연관찰활동공간의 제공
생태적으로 안정된 장소에서 자연환경기작을 관찰, 학습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하고 있는 공간이므로, 생태적 교란을 일으키지 않도록 제한된 관찰기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4) 정보제공 및 해설
모니터링에 의한 관찰결과, 생태공원에 대한 정확한 내용전달 등을 위한 자료를 축적하여 학습, 이해증진을 위한 자연 생태계 해설기능을 가진다.
5) 자연복원 연구 및 전파
훼손된 생태계의 복원방법, 기술, 연구 등의 학술적 작업으로 생태공원 조성시 소재 공급지로서의 역할을 한다.
Ⅲ. 해외 생태 공원의 사례
1. 영국
정부가 중심이 되어 지역 자연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을 실시하고 있는데 영국 최초의 생태공원으로서 1977년에 런던 중심부 공업지역에 1㏊ 규모로 조성된 William Curtis Ecological Park가 대규모로 방치되고 있는 낙후된 지역들이 어떻게 경제적이며 창조적으로 이용 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주어 생태공원 조성운동의 견인차 역할을 하였고, 이를 계기로 The Ecological Parks Trust가 발족되어 활발한 활동을 하게 되었다. 이후 Camley Street Natutal Park, Gillespie Park, Watermead Ecological Park 등을 포함한 많은 생태공원이 계속적으로 조성되고 있다. 또 지역사회 주민들의 참여도 활발한데 예를 들면 런던의 민간 단체인 The Inter-Action Advisory Service는 영국 전역의 주거환경 불량지역에 북합기능의 공원을 조성하는데 큰 기여를 한 바 있다.
1) The William Curtis Ecological Park
생태공원으로 명명된 최초의 공원으로서 1977년 런던 템즈강변 Tower Bridge 인근에 규모 약 2acre로 조성되었다. 설립단체는 The Ecological Parks Trust(현재 이 단체는 The Trust of Urban Ecological로 개칭) 로서, 이 단체에 속한 자원봉사자에 의해 조성, 운영, 관리되고 있다. 조성과정에서 자원봉사자는 콘크리트를 철거 150종의 자생식물을 식재하였다. 후속적으로 종의 이입과 멸종에 대한 모니터링이 시행되었다. 1984년에 21종의 나비가 날아들었고 담수 연못에는 정수식물과 수생식물이 발생하게 되어 다양한 동식물 중의 서식기반을 이루고 있다.
2) Camley Street Natural Park
런던에서 가장 잘 알려진 생태공원이자 세계적으로 대표적인 생태공원으로서 규모는 0.9㏊(2.2 acre)이다. 도시환경의 생태적 재생사업의 성공적인 사례로서 도심에 가깝게 위치한 환경교육장소이다. 영국 런던市 외곽에 위치하고 있다.20년간 방치되어 야생화와 잡목이 무성하며, GLC(The Greater London Council→The Strategic Planning Authority)에 소속된 조경가와 생태학자에 의해 계획되었다. 자원봉사자가 조직인 The London Wildlife Trust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연간 10,000명의 어린이와 5,000내지 10,000명의 성인이 방문하고 있으며, 1주에 7일 개장하고 있다. 설립목적은 자연보전, 환경교육, 레크레이션으로서 주요시설은 인접 수로에 연계된 연못, 소택지, 야생화 초지, 관목 덤불과 樹林, 자연center 내부에 교실, 해설지역(interpretation area), 소규모 부엌, 사무실과 화장실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 시설들은 장애인이 접근가능하게 끔 처리되어 있다.
공원설립후 11년 동안 자연생태계가 시민들과 어떻게 공존해 나갈 수 있는지에 대해 선도적인 방법을 제시하였고, 전세계적으로 각종 단체 또는 개인단위로 많은 방문객들이 찾아오고 있다.
야생동물 서식현황
개구리, 두꺼비 등의 양서류
참새, 왜가리 등의 조류
곤돌메기, 장어, 잉어 등 어류
활용현황 및 계획
가족단위의 하계 환경체험교육 등 환경교육장소로 활용
지역의 고유한 자원 보존, 지역의 여행명소와 조용한 휴식처로서 공원의 역할 유지
가을특별예술제, 나무가꾸기 행사, 연례지역축제, 잔디깎기 등 다양한 행사를 유치
공원내의 다양한 종족을 보존하고, 생물의 서식을 돕기 위해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2. 독일
독일은 1976년 「연방자연보호법」계정을 계기로 생물의 다양성을 되찾기 위하여 노력하여 오고 있는데, 특히 도시하천농촌 등에 생물서식공간(Biotope) 조성에 주력하고 있다. 독일 연방 정원 박람회장은 동베를린에 위치, 도시민의 휴식 및 여가 장소로 활용될 뿐 아니라 많은 생물의 서식공간이 되고 있으며 연못 자체가 하나의 Biotope가 될 수 있도록 조성되어 있다.
도심 한가운데 조성된 자연생태공원(독일 하노버시)
3. 미국캐나다
1) 보이지 오아시스(Boise Oasis)
미국 아이다호의 보이지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1974년도에
추천자료
생태주의자예수[생태주의자예수 독서감상문][생태주의자예수 독후감][생태주의자 예수 서평]
[생태도시]지속 가능한 친환경 생태도시의 정의와 특징 이해, 환경친화적 생태도시의 기능과 ...
[도시생태하천][도시생태하천의 의의][도시생태하천의 추진배경][도시생태하천의 생태계][도...
[생태건축][생태건축과 지붕][생태건축과 태양에너지][생태건축의 사례]생태건축의 의의, 생...
[생태건축][생태건축의 배경][생태건축의 요건][생태건축의 사례][생태건축의 발전방향]생태...
[생태건축][생태건축의 미래경쟁력][생태건축의 사례][생태건축의 추진방향]생태건축의 정의,...
[생태, 민주주의, 건축활동, 소비생활, 교육개혁, 자율자치공동체, 동양사상]생태적 민주주의...
[생태학, 기독론, 재산업화론, 사회철학, 국어교육, 쓰기평가, 상상력]생태학적 기독론, 생태...
[정치생태학, 정치생태학과 정치경제학, 환경문제, 맑스주의(마르크스주의), 민족주의]정치생...
[★★추천PPT★★] [생태유아교육 모든 것] 생태유아교육 개념, 생태유아교육 특징, 생태유아교육...
김원일의「도요새에 관한 명상」을 통해 바라본 1970년대 생태소설 속의 생태의식 연구 (생태...
현대소설에 나타나는 생태위기에 대한 인식 - 생태위기에 대한 일반적 고찰과 생태위기에 대...
[★평가 우수★][정책政策 분석] 생태학습장 개녀, 생태학습장 사례, 생태학습장 조성 특징, 생...
[생태체계] 생태체계적 접근의 주요개념과 생태체계적 관점이 건강가정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