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국내의 사회적 기업 위상
2. 사회적 기업 인식 제고
2. 사회적 기업 인식 제고
본문내용
보다 높아 30.7%로 나타나 사회적 기업에 대한 인지가 중요함을 다시 한
번 보여주고 있다. 구매한 분야로는 환경이 가장 높은 44.2%, 사회복지
17.3% 그 다음이 문화예술, 관광 8%, 간병 가사 6.4%를 보이고 있다. 재
활용 관련 제품이나 기타 생필품 등에서 주로 구매가 이루어 진 것으로 보
인다. 교육, 보육은 의외로 낮게 나타나고 있다. 셋째, 구매한 제품이나 서
비스가 만족스럽냐는 질문에 '매우 만족한다'(23.7%), '어느 정도 만족한
다'(50.8%)로 이 둘을 합친 만족도는 74.6%를 나타내고 있어 만족도는 어느
정도의 수준에는 도달한 것 같다. 분야별로는 간병 가사와 보육분야를 제
외하곤 대체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특히 환경분야와 생필품 분야의 제품
및 서비스는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기업을 인지한 계
층에선 향후 구입의사를 묻는 질문에 인지자의 81.7%, 구매 경험자의
80 2%가 구매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 구입이유에 대해서는 주로 '취약계
층의 일자리 도움'을 위해서, 혹은 '사회복지 서비스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서' 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구입시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품질'을 가장 중
요하게 여겼고, 사회적 의미와 가격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사회적 기업을 인
지한 사람들은 기부한다는 생각에서 품질이나 가격에 그다지 민감하게 움직
이지 않겠지만 비인지자들에겐 품질과 그 다음이 가격으로 봐야 한다. 이는
일반 기업의 제품구입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보여준다. 사회적 기업의 중요
성을 인지한 사람들은 사회적 의미 차원에서 구매하겠지만, 아직은 그 비중
이 낮다. 그 나머지 대부분 사람들은 품질과 가격 조건을 따진다는 얘기다.
한편 가격을 고려하겠다는 비중이 2008보다 높게 나타났음에 유의할 필요
가 있다. 경기침체 영향도 있겠지만 가격에 대한 중요성도 품질과 함께 따
지겠다는 것이다. 품질이나 가격면에서 뒤지지 않는다면 이왕이면 사회적기
업의 제품을 구매하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사회적 기업 제품이라고 꼭
구매하지 않겠다는 것을 함축하고 있다.
품질을 높이는 품질경영과 가격을 낮추는 원가절감은 영리기업의 전형적
인 핵심 경영전략이다. 이는 시장에서 생존하려면 사회적 기업도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고 급선무임을 보여준다. 사회적 기업은 공익
성을 추구하는 것이 일차적인 목표지만 기업의 행태를 띠고 있는 한, 공익
성의 비전을 추구하지만 기업처럼 경영해야 함을 시사한다. 우리나라의 경
우는 정부주도형으로 '종합선물 세트' 같은 패키지 지원을 해주고 있어 자칫
하면 기업이 갖는 역동성, 혁신을 상실케 될 우려가 있다.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에 과도하게 의존하면 그것이 독소가 될 수 있다. 보조금이나 지원을
받기 위해 기업이 본래 추구하던 비전이나 사명이 변질될 우려가 있으며 지
원기관의 요구에 따라 사회적 기업의 비전이 퇴색될 우려가 있다. 비전을 추
구하기 위해 발버둥 치는 과정에서 혁신이 나오는데, 그 과정이 없어질 가
능성이 크다.
번 보여주고 있다. 구매한 분야로는 환경이 가장 높은 44.2%, 사회복지
17.3% 그 다음이 문화예술, 관광 8%, 간병 가사 6.4%를 보이고 있다. 재
활용 관련 제품이나 기타 생필품 등에서 주로 구매가 이루어 진 것으로 보
인다. 교육, 보육은 의외로 낮게 나타나고 있다. 셋째, 구매한 제품이나 서
비스가 만족스럽냐는 질문에 '매우 만족한다'(23.7%), '어느 정도 만족한
다'(50.8%)로 이 둘을 합친 만족도는 74.6%를 나타내고 있어 만족도는 어느
정도의 수준에는 도달한 것 같다. 분야별로는 간병 가사와 보육분야를 제
외하곤 대체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특히 환경분야와 생필품 분야의 제품
및 서비스는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기업을 인지한 계
층에선 향후 구입의사를 묻는 질문에 인지자의 81.7%, 구매 경험자의
80 2%가 구매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 구입이유에 대해서는 주로 '취약계
층의 일자리 도움'을 위해서, 혹은 '사회복지 서비스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서' 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구입시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품질'을 가장 중
요하게 여겼고, 사회적 의미와 가격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사회적 기업을 인
지한 사람들은 기부한다는 생각에서 품질이나 가격에 그다지 민감하게 움직
이지 않겠지만 비인지자들에겐 품질과 그 다음이 가격으로 봐야 한다. 이는
일반 기업의 제품구입과 크게 다르지 않음을 보여준다. 사회적 기업의 중요
성을 인지한 사람들은 사회적 의미 차원에서 구매하겠지만, 아직은 그 비중
이 낮다. 그 나머지 대부분 사람들은 품질과 가격 조건을 따진다는 얘기다.
한편 가격을 고려하겠다는 비중이 2008보다 높게 나타났음에 유의할 필요
가 있다. 경기침체 영향도 있겠지만 가격에 대한 중요성도 품질과 함께 따
지겠다는 것이다. 품질이나 가격면에서 뒤지지 않는다면 이왕이면 사회적기
업의 제품을 구매하겠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는 사회적 기업 제품이라고 꼭
구매하지 않겠다는 것을 함축하고 있다.
품질을 높이는 품질경영과 가격을 낮추는 원가절감은 영리기업의 전형적
인 핵심 경영전략이다. 이는 시장에서 생존하려면 사회적 기업도 경쟁력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고 급선무임을 보여준다. 사회적 기업은 공익
성을 추구하는 것이 일차적인 목표지만 기업의 행태를 띠고 있는 한, 공익
성의 비전을 추구하지만 기업처럼 경영해야 함을 시사한다. 우리나라의 경
우는 정부주도형으로 '종합선물 세트' 같은 패키지 지원을 해주고 있어 자칫
하면 기업이 갖는 역동성, 혁신을 상실케 될 우려가 있다.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에 과도하게 의존하면 그것이 독소가 될 수 있다. 보조금이나 지원을
받기 위해 기업이 본래 추구하던 비전이나 사명이 변질될 우려가 있으며 지
원기관의 요구에 따라 사회적 기업의 비전이 퇴색될 우려가 있다. 비전을 추
구하기 위해 발버둥 치는 과정에서 혁신이 나오는데, 그 과정이 없어질 가
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