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위험 관리) 환위험의 개념과 관리방법, 환노출 종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환위험 관리

Ⅰ. 환위험의 개념

Ⅱ. 환노출 종류

1. 거래적 환노출
2. 환산 환노출
3. 경제적 환노출

Ⅲ. 환위험의 관리방법

1. 내부적 방법
1) 네팅과 매칭
2) 리딩과 레깅
3) 수출 가격 조정
2. 외부적 방법
1) 환변동 보험
2) 선물환거래
3) 통화선물 거래
4) 통화옵션 거래
5) 통화스왑거래

본문내용

되돌려 받을 수 없다.
이처럼 청산소가 존재하여 계약상대방의 신용에 대하여 알지 못하더라도 안정적으
로 거래를 할 수 있게 된다.
세계 주요국에 통화선물 시장이 있으며 가장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는 곳은 미국 시카고의 상품거래소(Chicago Merchantile Exchange: CME)산하의 IMM(International Money Market)이다. 우리나라는 1999년부터 원/달러 환율에 대한 선물거래가 부산의 증권선물거래소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2006년 초부터는 일본엔 선물과 유로선물의 거래를 시작하였다.
통화선물거래는 거래금액과 계약기간이 미리 정해져있다. IMM의 경우 한 계약당 영국 파운드화는 BP25.000, 캐나다 달러는 CD100,000, 일본엔은 JY12,500,000, 유로화는 EU125.000 이고, 우리나라의 원/달러 선물은 US$50,000로 정해져 있다. 기간은 보통 3,6,9 12월에 결제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기업이 첫징을 원하는 금액
과 기간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고, 증거금을 예치하는 것 이외에도 계
약 당 일정금액을 거래수수료를 거래소에 납부해야 한다. 그러나 앞에서 설명한 것
처럼 통화선물 시장은 여러 가지 제도를 두어서 안정적으로 거래를 할 수 있는 장
점 때문에 주가나 금리 등 다른 선물시장과 함께 발전하고 있다.
외환거래의 경우 전통적으로 은행을 중심으로 발전해왔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거래규모 면에서 선물환 시장이 통화선물시장을 앞서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통화
선물의 거래 역사가 짧은 이유가 더해져 선물환 거래의 규모가 통화선물 거래규모
보다 크다.
(4) 통화옵션 거래(currency options transaction)
기업의 입장에 선물환이나 통화선물을 통한 환위험 관리의 문제점 중 하나는 환
율이 기업에게 유리하게 움직였을 때(예를 들면, 4페이지의 그림선물환 거래의 손익의 B상황) 선물환이나 통화선물거래 함으로서 오히려 환율로 인한 차익을 포기하여야만 한다는 것이다.
물론 환위험 관리의 원칙은 위험을 없애는 것이지만 기업의 입장에서 환율이 유리
하게 움직였을 때의 이익도 챙기고 싶은 바람이 있을 것이다. 외환 시장의 참여자
의 이런 욕구를 채워주기 위하여 생긴 것이 통화 옵션이다.
통화옵션은 기본적으로 통화선물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고 같은 제도하에서 거
래된다. 그러나 통화옵션은 매매하기로 약정한 환율이 계약만기에 자신에게 불리할
경우에는 약정한 환율에 외환율 매매하고, 유리할 경우에는 옵션의 권리를 행사하
여 계약과 상관없이 외환시장에 시장가격으로 외환율 매매하면 된다. 따라서 통화
옵션의 매입자는 환율변동 위험을 회피하면서 동시에 유리하게 변한 환율에 따른
이익을 취할 수 있게 된다.
이런 경우의 손익관계가 아래 페이지의 그림에 나타나 있다. 환율 帶1000/$ 에 일정기간이 지난 후에 서로 외환율 사고 팔기로 계약하는 것은 선물환이나 통화선물과 같지만 여기에 하나의 옵션이 붙어 있다. 즉, 900원이 되면 원래 계약한대로 1000원 매매가 이루어지고 (A상찬 선물거래와 같은 효과를 가짐), 반대로 1100원이 되면 옵션을 행사하여 계약 때 정한 환율에 상관없이 1100원에 외환시장에 보유외환을 팔아서 차익(BU)을 얻는 것이다.
[아래 그림] 통화옵션 거래의 손익
이 경우 통화옵션을 매입하는 측은 상대방인 옵션 매도자에게 위험을 담보해주는
대가로 상대적으로 적지 않은 보험료적 성격의 수수료인 옵션 프리미엄(B-)을 지급
해야 한다. 따라서 통화옵션의 매입자(기업)에게 환율이 불리하게 움직인 B의 상황
에서 선물환이나 통화선물과 다른 점은 B-만큼의 옵션프리미엄에 대한 비용이 든다는 점이다.
(5) 통화스왑거래 (currency swap transaction)
통화스왑거래의 개념
특정 통화의 이자 및 원금을 다른 통화의 이자 및 원금으로 상호 교환하는 계약
으로서 특정 외화표시 자산 또는 부채를 원화나 다른 외화표시 통화의 자산 또는
부채로 전환시키는 것을 말한다. 즉 위의 그림에서와 같이 두 거래 당사자가 계
약일에 약정된 환율에 따라 일정시점에서 상호 교환하는 외환거래로서 주로 중장기
적인 환위험 관리 전략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는 해외차입 또는 대출을 받은 외화
자금에 대하여 상환시 환율 변동에 따른 위험을 회피하고자 할 때 혹은 수출과 수
입 시기의 일시적 기간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기간 차이에 따른 환전비용 및 환율
변동 위험을 회피하고자 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된다.
  • 가격3,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8.29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84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