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 선 언 ◀
Ⅰ. 환기와 보온
Ⅱ. 주택 위생
Ⅲ. 사소한 일들의 관리
Ⅳ. 소음
Ⅴ. 다양한 변화
Ⅵ. 음식물 섭취
Ⅶ. 음식물
Ⅷ. 침대와 침구류
Ⅸ. 햇 빛
Ⅹ. 방과 벽의 청결
Ⅺ. 개인 위생
Ⅻ. 수다스러운 위로와 충고
XIII. 환자에 대한 고찰
▶ 결 론 ◀
▶ 느낀점 ◀
▶ 선 언 ◀
Ⅰ. 환기와 보온
Ⅱ. 주택 위생
Ⅲ. 사소한 일들의 관리
Ⅳ. 소음
Ⅴ. 다양한 변화
Ⅵ. 음식물 섭취
Ⅶ. 음식물
Ⅷ. 침대와 침구류
Ⅸ. 햇 빛
Ⅹ. 방과 벽의 청결
Ⅺ. 개인 위생
Ⅻ. 수다스러운 위로와 충고
XIII. 환자에 대한 고찰
▶ 결 론 ◀
▶ 느낀점 ◀
본문내용
자.
연기 : 난로에 공기를 공급해 줄 수 있는 한 개의 공기구가 있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왜냐하면 난로에 공기구가 없으면 굴뚝으로부터 공기를 역류시키기 때문이다.
환자방의 통풍 : 환자 외에 악취나 습기를 내는 것이 방안에 있어서는 안 된다. 절대로 어떤 것도 건조시켜서는 안 되며, 난방기구를 이용해서 조리해서는 안 된다. 환자가 침대에 없는 동안 침대의 통풍을 위해 홑이불을 젖혀 넓게 펴고 침대보를 뒤집어 놓을 것이다.
배설물에서 나는 악취 : 환자의 대소변은 발산물 보다 더 유해하기 때문에 즉시 치워야 한다.
침시의 뚜껑 없는 변기 : 뚜껑 없는 실내변기의 사용은 완전히 금지하여야 한다. 환자의 변기는 도기나 광택이 잘 나있고 니스칠이 잘된 목재로 만든 것이 가장 좋다. 어떤 구정물통도 병실로 가지고 들어올 수 없으며, 변기는 곧 적절한 장소에서 비우고 세척하는 것이 규칙이다.
연무법 : 공기의 정화를 단지 소독약과 연무법에만 의존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Ⅱ. 주택 위생
깨끗한 공기 : 막은 공기를 호흡하기 위해서는 바깥 공기가 집안 구석구석까지 쉽게 도달할 수 있도록 주택을 지어야 한다.
깨끗한 물 : 아직도 많은 지역에서는 형편없이 불순한 물을 가사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전염병이 생기게 되면 그런 물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예외없이 고통을 겪게 될 것이다.
배수 : 파이프가 화장실, 개수대, 도랑, 창살 등 어느 것에서부터 나오든 방취관이 없는 배수
관이 직접 하수도에 연결되어 있는 집은 결코 위생적일 수가 없다.
개수대 : 모든 주택의 하수도는 담밖에서 시작되고 끝나야 한다.
청결 : 집 안과 밖 어느 곳을 막론하고 깨끗지 않다면 환기는 비교적 효과가 없게 된다.
채광 : 어두운 집은 항상 비위생적이고 환기가 제대로 안 되며, 더러운 집이다.
햇빛의 부족은 성장을 저해하고 어린이에게 연주창, 구루병 등을 조장한다.
주택위생 관리시 범하는 세 가지 일반적인 오류 : ‘부주의와 무지’:1.책임지고 관리하는 여주인은 집 안의 모든 구멍과 구석을 매일 돌아보는 것이 불필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2.방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환기시키거나, 햇빛이 들어오게 하거나, 청소를 하는 것이 불필요
하다고 생각한다. 3. 한 개의 창문이 방 하나를 환기시키기에는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가정에서의 육체적 퇴화와 원인 : 이 세대의 할머니나 증조할머니들의 집은 적어도 시골의 주
택이라면 여름이나 겨울이나 앞문과 뒷문이 항상 열려 있었고, 그곳을 통해 항상 완전한 통풍
이 이루어 졌으며, 그와 더불어 언제나 문지르고 청소하고 닦고 윤내는 일이 계속 되었다.
환자의 방을 집안 전체를 위한 환기통으로 하용하지 말아라.
감염 : 참 간호를 하려면 감염예방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환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더불어 청결과 신선한 공기는 참된 간호사가 필요로 하는 유일한 예방법이다. 지혜롭고 인간적
으로 환자를 돌보는 것이 감염을 막기 위한 가장 훌륭한 안전책이다.
어린이들은 홍역과 같은 병을 왜 앓아야만 하는가? : 청결, 환기, 회벽칠 및 법칙이라고 할 수 있는 다른 방법들을 가르치는 주택위생 유지를 위한 법칙들을 믿고 지킨다면 당신의 자녀가 소아 전염병에서 벗어나게 될 가능성이 더 커지게 되리라.
Ⅲ. 사소한 일들의 관리
낯선 사람이 병실에 들어왔을 때 : 저녁식사를 하고 있었던 간호사는 세탁부가 길을 잃어 방
에 잘못 들어가는 경우에 대한 대비를 하지 못해서 환자가 놀라 깨어나게 되었다.
환자의 방이 건물 전체의 환기통이 되어버린 경우 : 병실에 대한 관리책임이 바깥 통로에 대한 관리책임까지 포함하고 있음을 모르고 있기 때문이다.
사용하지 않는 방의 악취가 집안 전체에 퍼지는 경우 : 늘 동풍이 되어야 하며 청결해야한다.
편지 및 메시지의 전달 : 책임을 맡고 있는 사람은 자신이 이 모든 일들을 다 해낼 수 없다는
점을 깊이 생각하고 있지 않는 것 같다.
‘항상 모든 것을 다 해야 하는’불완전한 중재 : 직접‘중간에 개입’하려는 당신의 불완전한
중재들은 단지 환자로 하여금 신경을 더 쓰게 만든다. 반면에 당신이 그 자리에 있건 없건 그
런 일이 제대로 이루어지게 주선해 놓을 수만 있다면 환자는 전혀 그런 일에 신경쓸 필요가 없
을 것이다. 환자가 혼자 직접 하도록 하는 것이 그에게 더 좋다.즉, 덜 불안하게 하는 것이다.
“그를 빨리 역경에서 벗어나게 하라”환자와 함께 있을 때 지켜야 할 첫 번째 규칙이다.
언제 나갈 것이고 언제 돌아올 것이라는 것을 환자에게 항상 미리 말해 주어라.
대부분의 사고 원인은 무엇일까? : ‘그자리’잘못은 그가‘떠나 있었다’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떠나 있음’을 보완해 줄 아무런 대책도 없었다는 데 있다. 책임을 맡고 있는 사람은
“어떻게 하면 항상 일이 올바르게 되도록 할 수 있을까?”하는 간단한 의문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어떻게 하면 부재중에 생기는 바람직하지 않는 일에 대비할 수 있을까?”생각해야한다.
‘책임을 진다’는 것 : ‘책임을 진다’는 것은 분명히 당신 스스로가 적절한 조치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사람들 eh한 그렇게 하는가를 확인하는 것을 뜻한다. 즉, 어느 누구도
의도적으로 또는 우발적으로 그런 조치를 좌절시키거나 방해하지 않도록 확인하는 것이다.
책임을 맡고 있는 사람들은 자신 외에는 아무도 이해하거나 수행할 수 없다는 데 자부심을 가
지고 있는데 유지하는 체계의 운용에 대하여 자부심을 가져야 한다. 어느 누구라도 그것 들을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른 사람에게 넘겨줄 수 있고 모든 것이 평소와 다름없
이 이루어지게 해야 하며 그 자리에 꼭 있어야만 하는 사람이 되지 않도록 하는것이 중요하다.
Ⅳ. 소음
불필요한 소음 : 마음속에 어떤 불안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소음은 환자에게 상처를 준다.
방문 밖에서 이야기를 나누는 소리, 특히 그것이 익숙한 목소리거나 속삭이는 대화일 때는
참기가 어려워진다. 갑자기 잠에서 깨어나게 하는 것은 어떤 소음보다도 더 심각한 해를 준다.
환자를 첫 잠에서 깨어나게 하지 말어라 : 환자가 무리하게 깨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은 훌륭한 간호의 필수요건이다. 잠들기 시작하다가
연기 : 난로에 공기를 공급해 줄 수 있는 한 개의 공기구가 있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왜냐하면 난로에 공기구가 없으면 굴뚝으로부터 공기를 역류시키기 때문이다.
환자방의 통풍 : 환자 외에 악취나 습기를 내는 것이 방안에 있어서는 안 된다. 절대로 어떤 것도 건조시켜서는 안 되며, 난방기구를 이용해서 조리해서는 안 된다. 환자가 침대에 없는 동안 침대의 통풍을 위해 홑이불을 젖혀 넓게 펴고 침대보를 뒤집어 놓을 것이다.
배설물에서 나는 악취 : 환자의 대소변은 발산물 보다 더 유해하기 때문에 즉시 치워야 한다.
침시의 뚜껑 없는 변기 : 뚜껑 없는 실내변기의 사용은 완전히 금지하여야 한다. 환자의 변기는 도기나 광택이 잘 나있고 니스칠이 잘된 목재로 만든 것이 가장 좋다. 어떤 구정물통도 병실로 가지고 들어올 수 없으며, 변기는 곧 적절한 장소에서 비우고 세척하는 것이 규칙이다.
연무법 : 공기의 정화를 단지 소독약과 연무법에만 의존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Ⅱ. 주택 위생
깨끗한 공기 : 막은 공기를 호흡하기 위해서는 바깥 공기가 집안 구석구석까지 쉽게 도달할 수 있도록 주택을 지어야 한다.
깨끗한 물 : 아직도 많은 지역에서는 형편없이 불순한 물을 가사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전염병이 생기게 되면 그런 물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예외없이 고통을 겪게 될 것이다.
배수 : 파이프가 화장실, 개수대, 도랑, 창살 등 어느 것에서부터 나오든 방취관이 없는 배수
관이 직접 하수도에 연결되어 있는 집은 결코 위생적일 수가 없다.
개수대 : 모든 주택의 하수도는 담밖에서 시작되고 끝나야 한다.
청결 : 집 안과 밖 어느 곳을 막론하고 깨끗지 않다면 환기는 비교적 효과가 없게 된다.
채광 : 어두운 집은 항상 비위생적이고 환기가 제대로 안 되며, 더러운 집이다.
햇빛의 부족은 성장을 저해하고 어린이에게 연주창, 구루병 등을 조장한다.
주택위생 관리시 범하는 세 가지 일반적인 오류 : ‘부주의와 무지’:1.책임지고 관리하는 여주인은 집 안의 모든 구멍과 구석을 매일 돌아보는 것이 불필요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2.방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환기시키거나, 햇빛이 들어오게 하거나, 청소를 하는 것이 불필요
하다고 생각한다. 3. 한 개의 창문이 방 하나를 환기시키기에는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가정에서의 육체적 퇴화와 원인 : 이 세대의 할머니나 증조할머니들의 집은 적어도 시골의 주
택이라면 여름이나 겨울이나 앞문과 뒷문이 항상 열려 있었고, 그곳을 통해 항상 완전한 통풍
이 이루어 졌으며, 그와 더불어 언제나 문지르고 청소하고 닦고 윤내는 일이 계속 되었다.
환자의 방을 집안 전체를 위한 환기통으로 하용하지 말아라.
감염 : 참 간호를 하려면 감염예방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 환자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더불어 청결과 신선한 공기는 참된 간호사가 필요로 하는 유일한 예방법이다. 지혜롭고 인간적
으로 환자를 돌보는 것이 감염을 막기 위한 가장 훌륭한 안전책이다.
어린이들은 홍역과 같은 병을 왜 앓아야만 하는가? : 청결, 환기, 회벽칠 및 법칙이라고 할 수 있는 다른 방법들을 가르치는 주택위생 유지를 위한 법칙들을 믿고 지킨다면 당신의 자녀가 소아 전염병에서 벗어나게 될 가능성이 더 커지게 되리라.
Ⅲ. 사소한 일들의 관리
낯선 사람이 병실에 들어왔을 때 : 저녁식사를 하고 있었던 간호사는 세탁부가 길을 잃어 방
에 잘못 들어가는 경우에 대한 대비를 하지 못해서 환자가 놀라 깨어나게 되었다.
환자의 방이 건물 전체의 환기통이 되어버린 경우 : 병실에 대한 관리책임이 바깥 통로에 대한 관리책임까지 포함하고 있음을 모르고 있기 때문이다.
사용하지 않는 방의 악취가 집안 전체에 퍼지는 경우 : 늘 동풍이 되어야 하며 청결해야한다.
편지 및 메시지의 전달 : 책임을 맡고 있는 사람은 자신이 이 모든 일들을 다 해낼 수 없다는
점을 깊이 생각하고 있지 않는 것 같다.
‘항상 모든 것을 다 해야 하는’불완전한 중재 : 직접‘중간에 개입’하려는 당신의 불완전한
중재들은 단지 환자로 하여금 신경을 더 쓰게 만든다. 반면에 당신이 그 자리에 있건 없건 그
런 일이 제대로 이루어지게 주선해 놓을 수만 있다면 환자는 전혀 그런 일에 신경쓸 필요가 없
을 것이다. 환자가 혼자 직접 하도록 하는 것이 그에게 더 좋다.즉, 덜 불안하게 하는 것이다.
“그를 빨리 역경에서 벗어나게 하라”환자와 함께 있을 때 지켜야 할 첫 번째 규칙이다.
언제 나갈 것이고 언제 돌아올 것이라는 것을 환자에게 항상 미리 말해 주어라.
대부분의 사고 원인은 무엇일까? : ‘그자리’잘못은 그가‘떠나 있었다’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떠나 있음’을 보완해 줄 아무런 대책도 없었다는 데 있다. 책임을 맡고 있는 사람은
“어떻게 하면 항상 일이 올바르게 되도록 할 수 있을까?”하는 간단한 의문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어떻게 하면 부재중에 생기는 바람직하지 않는 일에 대비할 수 있을까?”생각해야한다.
‘책임을 진다’는 것 : ‘책임을 진다’는 것은 분명히 당신 스스로가 적절한 조치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다른 모든 사람들 eh한 그렇게 하는가를 확인하는 것을 뜻한다. 즉, 어느 누구도
의도적으로 또는 우발적으로 그런 조치를 좌절시키거나 방해하지 않도록 확인하는 것이다.
책임을 맡고 있는 사람들은 자신 외에는 아무도 이해하거나 수행할 수 없다는 데 자부심을 가
지고 있는데 유지하는 체계의 운용에 대하여 자부심을 가져야 한다. 어느 누구라도 그것 들을
이해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른 사람에게 넘겨줄 수 있고 모든 것이 평소와 다름없
이 이루어지게 해야 하며 그 자리에 꼭 있어야만 하는 사람이 되지 않도록 하는것이 중요하다.
Ⅳ. 소음
불필요한 소음 : 마음속에 어떤 불안을 불러일으키게 하는 소음은 환자에게 상처를 준다.
방문 밖에서 이야기를 나누는 소리, 특히 그것이 익숙한 목소리거나 속삭이는 대화일 때는
참기가 어려워진다. 갑자기 잠에서 깨어나게 하는 것은 어떤 소음보다도 더 심각한 해를 준다.
환자를 첫 잠에서 깨어나게 하지 말어라 : 환자가 무리하게 깨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은 훌륭한 간호의 필수요건이다. 잠들기 시작하다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