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Pneumonia)
질병의 정의
질병의 병태생리
질병의 종류
질병의 원인
질병의 경과와 예후
질병의 합병증
질병의 예방
소아폐렴의 증상과 간호
1) 소아폐렴이란?
2) 소아폐렴의 원인
3) 소아폐렴의 증상
4) 폐렴의 진단
5) 폐렴 치료
6) 식사원칙
Ⅱ. 본 론
1. 간호 사정
2. 간호 문제
3. 간호 과정
Ⅲ. 결 론
1. 느낀점
2. 참고 문헌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Pneumonia)
질병의 정의
질병의 병태생리
질병의 종류
질병의 원인
질병의 경과와 예후
질병의 합병증
질병의 예방
소아폐렴의 증상과 간호
1) 소아폐렴이란?
2) 소아폐렴의 원인
3) 소아폐렴의 증상
4) 폐렴의 진단
5) 폐렴 치료
6) 식사원칙
Ⅱ. 본 론
1. 간호 사정
2. 간호 문제
3. 간호 과정
Ⅲ. 결 론
1. 느낀점
2. 참고 문헌
본문내용
시 그르렁거리는 소리가 들린다.
② 천명음과 나음이 들린다.
③ 기침을 자주 한다.
④ 호흡 : 40 (5월 7일)
간호진단
분비물 배출의 어려움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목표
단기목표
호흡수가 정상범위를 유지한다.(정상범위: 20-35)
장기목표
퇴원 시까지 호흡음이 깨끗하고 일정하게 들린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1.T.P.R.체크, 특히 호흡수를 사정한다.
1.4시간 마다 호흡수를 사정하고 폐음을 청취하여 변화를 관찰하였다.
1.규칙적인 v/s을 함으로써 아동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1.다른 간호 처치를 함으로써 호흡수가 정상범위로 나타나는 상태를 알 수 있었다.
5월 7일
2시(AM)
42
6시(AM)
37
10시(AM)
35
2시(PM)
32
2.환기를 증진시키기 위해 반 좌위를 취해 준다.
2.침상머리를 30도 정도 올려주고 반 좌위를 하도록 하였다.
2.반좌위는 폐 확장을 도모한다.
2.반좌위를 취하니 훨씬 아동의 표정이 나아지는 것 같았다.
3.흉부 물리요법의 방법을 설명하고 실시하여 기침과 가래배출을 유도시킨다.
3.흉부 타진요법을 30분마다 한번씩 5분간 실시 후 기침, 가래를 유도시켰다.
3.기관지 벽의 분비물을 떨어뜨려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3.분비물이 떨어져 호흡음도 좋아졌으며 “잘 때 숨소리가 훨씬 좋아졌어요.”라고 보호자가 말씀하였다.
4.수분 섭취를 증가 시켜 분비물이 묽어지도록 한다.
4.수분을 800ml 이상 섭취하도록 하였다.
4.기관지 분비물을 묽게 하여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4.충분한 수분섭취로 가래와 기침의 양이 입원할 때 보다 많이 줄었고 복통도 없다 하였다.
<세번째 간호과정>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① “이것(side rail) 좀 내려주세요.”(BY엄마)
② “내리고 밥 먹자 아가야”(BY엄마)
객관적 자료
① 침대에 서서 놀고 있는 모습 관찰
② 침대가 대상자의 키에 비해 너무 높음
간호진단
낙상과 관련된 신체손상의 위험성
간호목표
단기목표
보호자는 낙상의 위험성에 대해 인지한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할 때까지 낙상하지 않는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1.보호자에게 낙상 위험성에 대해 교육한다.
1-①입원 시 보호자에게 side rail에 대해 설명을 하였으며, 낙상의 위험성에 대해 교육하였다.
1-②side rail작동방법에 대해 시범을 보이며 교육하였다.
1.보호자에게 교육을 함으로써 side rail의 중요성에 대해 인지할 수 있다.
1.보호자는 side rail중요성에 대해 인지하는 표정을 지었으며, 올렸다가 내리는 등 사용법을 익히는 모습을 보임.
2.보호자를 항상 대상자와 함께 있도록 한다.
2.보호자에게 아동과 항상 함께 있도록 교육하였으며, 특히 아동의 간호를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고 교육함.
2.아동 입원 시 가장 많이 발생되는 사고는 낙상이므로, 보호자와 함께 함으로써 낙상을 예방할 수 있다.
2.보호자는 낙상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고 함께 있겠다고 함.
<네번째 간호과정>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①“아기가 너무 주사를 무서워하는 것 같은데...”(BY엄마)
②“주사놓는 거 아니야 귀에 삐 하는거야“(BY엄마;체온잴때)
객관적 자료
① 간호사를 보면 무서워하거나 운다.
② 항상 엄마 옆에 붙어있거나 엄마가 자리를 비우면 울면서 엄마를 찾는다.
③ 약을 먹을때마다 얼굴을 찡그렸다.
간호진단
치료와 입원으로 인한 불안감
간호목표
단기목표
투약과 치료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장기목표
퇴원 시까지 간호행위에 대한 불안감이 완화된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1.안전하고 조용한 환경을 제공 한다.
1.조용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들어가고 나갈 때 마다 문을 살짝 닫아 주었다.
1.조용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불안감이 완화될 수 있다.
1.조용할 때 아동의 상태가 훨씬 안정되어 보였으며, 불안한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2.대상자와 함께 있어 주고, 침착하고 신뢰있는 태도를 유지한다.
2.아동의 말에도 주의 깊게 들어 주었고 맞장구를 쳐주었다.
2.아동의 말을 들어줌으로써 친근감있게 다가갈 수 있다.
2.아동의 말을 듣고 맞장구를 쳐주니, 아동이 더 많은 소리를 내려 하고 관심을 보였다.
3.긴장상태를 감소시키는 오락 활동을 수행한다.
3.대상자의 장난감을 같이 갖고 놀며 즐겁게 해주었다.(찰흙놀이, 핸드폰놀이)
3.아동의 장난감을 같이 가지고 놀면서 아동에게 친근감 있게 다가갈 수 있다.
3.같이 놀면서 거부감이 줄어들었고, 불안도 완화되었으며 아동과 더욱 친해진 느낌이 늘었다.
4.주사와 약의 두려움을 감소시켜 대상자를 편안하게 한다.
4.약을 줄때 “이거는 OO이의 기침을 멈춰주게 만들어주는 마법약이야”이라고 하면서 대상자에게 두려움을 감소시켜 주었다.
4.아동의 입장에서 투약할 약을 설명함으로써 더욱 더 쉽게 투약할 수 있다.
4.다른 약이라는 말을 하니 처음에는 거부하는 반응을 보였으나, 다른 때에 비해서는 약을 잘 먹고, 간호처치를 수행하기 수월했다.
Ⅲ결 론
1. 느낀 점
아동간호학을 실습하면서 처음에 NUR을 다녀온 후 7AW을 갔는데, NUR에서는 너무 편하게 실습한것 같았다. 7A병동에 오니 아이들에게 V/S할때도 무작정 가서 들이대는 것이 아니라 하나하나 아이들의 입장에서 설명해주고 달래가며 차근차근히 해야 했다. 아이들을 달래본적이 없던터라 아이들을 대한다는 것이 너무 어색했지만, 실습을 하루하루 해나가면서 아이들과도 이야기도 하게 되고, 접근하는 방법도 배우게 되어 의미있었다.
IV를 할때 울어대는 아이들을 달래느라 힘도 많이 들었는데 나름대로 정든 아이들을 생각하면 그것 또한 좋은 경험이었다고 생각한다. 아동병동에서는 호흡기 질환 문제를 가진 환아 들이 많았는데 이러한 질환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다. 그리고 환아들은 주로, 어머니나 할머니들이 돌보고 있었는데 소아과에서는 간호사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보호자로서의 역할과 지식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도 깨달았다.
마지막으로 이번 케이스 스터디 주제인 소아 폐렴을 공부하면서 성인과는 또 다른 소아만의 특징이 있다는 점도 많이 배우게
② 천명음과 나음이 들린다.
③ 기침을 자주 한다.
④ 호흡 : 40 (5월 7일)
간호진단
분비물 배출의 어려움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목표
단기목표
호흡수가 정상범위를 유지한다.(정상범위: 20-35)
장기목표
퇴원 시까지 호흡음이 깨끗하고 일정하게 들린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1.T.P.R.체크, 특히 호흡수를 사정한다.
1.4시간 마다 호흡수를 사정하고 폐음을 청취하여 변화를 관찰하였다.
1.규칙적인 v/s을 함으로써 아동의 상태를 효율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1.다른 간호 처치를 함으로써 호흡수가 정상범위로 나타나는 상태를 알 수 있었다.
5월 7일
2시(AM)
42
6시(AM)
37
10시(AM)
35
2시(PM)
32
2.환기를 증진시키기 위해 반 좌위를 취해 준다.
2.침상머리를 30도 정도 올려주고 반 좌위를 하도록 하였다.
2.반좌위는 폐 확장을 도모한다.
2.반좌위를 취하니 훨씬 아동의 표정이 나아지는 것 같았다.
3.흉부 물리요법의 방법을 설명하고 실시하여 기침과 가래배출을 유도시킨다.
3.흉부 타진요법을 30분마다 한번씩 5분간 실시 후 기침, 가래를 유도시켰다.
3.기관지 벽의 분비물을 떨어뜨려 배출이 용이하도록 한다.
3.분비물이 떨어져 호흡음도 좋아졌으며 “잘 때 숨소리가 훨씬 좋아졌어요.”라고 보호자가 말씀하였다.
4.수분 섭취를 증가 시켜 분비물이 묽어지도록 한다.
4.수분을 800ml 이상 섭취하도록 하였다.
4.기관지 분비물을 묽게 하여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4.충분한 수분섭취로 가래와 기침의 양이 입원할 때 보다 많이 줄었고 복통도 없다 하였다.
<세번째 간호과정>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① “이것(side rail) 좀 내려주세요.”(BY엄마)
② “내리고 밥 먹자 아가야”(BY엄마)
객관적 자료
① 침대에 서서 놀고 있는 모습 관찰
② 침대가 대상자의 키에 비해 너무 높음
간호진단
낙상과 관련된 신체손상의 위험성
간호목표
단기목표
보호자는 낙상의 위험성에 대해 인지한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할 때까지 낙상하지 않는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1.보호자에게 낙상 위험성에 대해 교육한다.
1-①입원 시 보호자에게 side rail에 대해 설명을 하였으며, 낙상의 위험성에 대해 교육하였다.
1-②side rail작동방법에 대해 시범을 보이며 교육하였다.
1.보호자에게 교육을 함으로써 side rail의 중요성에 대해 인지할 수 있다.
1.보호자는 side rail중요성에 대해 인지하는 표정을 지었으며, 올렸다가 내리는 등 사용법을 익히는 모습을 보임.
2.보호자를 항상 대상자와 함께 있도록 한다.
2.보호자에게 아동과 항상 함께 있도록 교육하였으며, 특히 아동의 간호를 소홀히 해서는 안된다고 교육함.
2.아동 입원 시 가장 많이 발생되는 사고는 낙상이므로, 보호자와 함께 함으로써 낙상을 예방할 수 있다.
2.보호자는 낙상에 대한 중요성을 깨닫고 함께 있겠다고 함.
<네번째 간호과정>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①“아기가 너무 주사를 무서워하는 것 같은데...”(BY엄마)
②“주사놓는 거 아니야 귀에 삐 하는거야“(BY엄마;체온잴때)
객관적 자료
① 간호사를 보면 무서워하거나 운다.
② 항상 엄마 옆에 붙어있거나 엄마가 자리를 비우면 울면서 엄마를 찾는다.
③ 약을 먹을때마다 얼굴을 찡그렸다.
간호진단
치료와 입원으로 인한 불안감
간호목표
단기목표
투약과 치료행위를 수행할 수 있다.
장기목표
퇴원 시까지 간호행위에 대한 불안감이 완화된다.
간호계획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1.안전하고 조용한 환경을 제공 한다.
1.조용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들어가고 나갈 때 마다 문을 살짝 닫아 주었다.
1.조용한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불안감이 완화될 수 있다.
1.조용할 때 아동의 상태가 훨씬 안정되어 보였으며, 불안한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2.대상자와 함께 있어 주고, 침착하고 신뢰있는 태도를 유지한다.
2.아동의 말에도 주의 깊게 들어 주었고 맞장구를 쳐주었다.
2.아동의 말을 들어줌으로써 친근감있게 다가갈 수 있다.
2.아동의 말을 듣고 맞장구를 쳐주니, 아동이 더 많은 소리를 내려 하고 관심을 보였다.
3.긴장상태를 감소시키는 오락 활동을 수행한다.
3.대상자의 장난감을 같이 갖고 놀며 즐겁게 해주었다.(찰흙놀이, 핸드폰놀이)
3.아동의 장난감을 같이 가지고 놀면서 아동에게 친근감 있게 다가갈 수 있다.
3.같이 놀면서 거부감이 줄어들었고, 불안도 완화되었으며 아동과 더욱 친해진 느낌이 늘었다.
4.주사와 약의 두려움을 감소시켜 대상자를 편안하게 한다.
4.약을 줄때 “이거는 OO이의 기침을 멈춰주게 만들어주는 마법약이야”이라고 하면서 대상자에게 두려움을 감소시켜 주었다.
4.아동의 입장에서 투약할 약을 설명함으로써 더욱 더 쉽게 투약할 수 있다.
4.다른 약이라는 말을 하니 처음에는 거부하는 반응을 보였으나, 다른 때에 비해서는 약을 잘 먹고, 간호처치를 수행하기 수월했다.
Ⅲ결 론
1. 느낀 점
아동간호학을 실습하면서 처음에 NUR을 다녀온 후 7AW을 갔는데, NUR에서는 너무 편하게 실습한것 같았다. 7A병동에 오니 아이들에게 V/S할때도 무작정 가서 들이대는 것이 아니라 하나하나 아이들의 입장에서 설명해주고 달래가며 차근차근히 해야 했다. 아이들을 달래본적이 없던터라 아이들을 대한다는 것이 너무 어색했지만, 실습을 하루하루 해나가면서 아이들과도 이야기도 하게 되고, 접근하는 방법도 배우게 되어 의미있었다.
IV를 할때 울어대는 아이들을 달래느라 힘도 많이 들었는데 나름대로 정든 아이들을 생각하면 그것 또한 좋은 경험이었다고 생각한다. 아동병동에서는 호흡기 질환 문제를 가진 환아 들이 많았는데 이러한 질환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배울 수 있었다. 그리고 환아들은 주로, 어머니나 할머니들이 돌보고 있었는데 소아과에서는 간호사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보호자로서의 역할과 지식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도 깨달았다.
마지막으로 이번 케이스 스터디 주제인 소아 폐렴을 공부하면서 성인과는 또 다른 소아만의 특징이 있다는 점도 많이 배우게
추천자료
산전 관리의 목적 중요성
아동케이스-폐렴환아
아동의 폐렴(pneumonia)
Pneumonia Case Study(소아과 폐렴 사례보고서)
소아과 폐렴(pneumonia) case study
간호과 병동 실습 중 소아과 컨퍼런스 폐렴
아동간호학 소아병동 Pneumonia case
[간호학 case study]부인과OBGY 난소의 양성종양(난소절제술)
소아과 폐렴 케이스 스터디 (pneumonia)
Simulation_scenario(모성1)
모성간호(생식기감염 및 종양)
PEDcase - 소아과 폐렴 케이스 스터디
Ramona Mercer - 모성역할획득이론(Maternal Role Attainment Theory)
아동 Pneumonia case study 1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