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간호과정
A. 자료수집
1. 간호정보 조사지(아동)
2. 신체검진
3. 발달 사정( Denver Ⅱ 검사지 사용 )
4. 연령별 성장발달 업무
5. 치료계획
6. 진단적 검사
7. 간호과정
8. 실습후 소감
9. 참고문헌
10. 폐렴
A. 자료수집
1. 간호정보 조사지(아동)
2. 신체검진
3. 발달 사정( Denver Ⅱ 검사지 사용 )
4. 연령별 성장발달 업무
5. 치료계획
6. 진단적 검사
7. 간호과정
8. 실습후 소감
9. 참고문헌
10. 폐렴
본문내용
약물을 투여함으로써 수면에 방해가 되는 객담을 제거한다.
투여된 약물의 부작용은 오히려 호흡부전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
2. 흉부타진법으로 인해 기관지에 붙어있는 이물질이 기관내로 떨어진다.
3. 적당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줌으로써 수면을 유도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흡곤란을 줄일 수 있다.
4. 과도한 낮잠은 밤 수면량에 영향을 미쳐 더욱 수면장애를 악화시킨다.
5. 반좌위가 호흡곤란시 용이한 자세이다.
6. 수분의 섭취를 증가시킴으로써 객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수행
1. Nebulizer 시행하였다.
2. 흉부타진법을 실시해 객담배출을 격려하였다.
3. 병실의 조명의 밝기를 낮춰주고 가습기를 해주었다.
4. 낮에는 재우지 않도록 교육하였고, 잠들 경우 깨워야 할 것을 교육하였다.
5. 침상의 머리를 높여주어 호흡을 편하게 해주었다.
6. 물을 자주 마시는 것을 설명하였고, 충분한 수분을 먹이도록 강조하였다.
평가
대상자는 밤에 기침하는 횟수가 줄어들고 조금씩 낮잠을 줄일 수 있게
되었으며, 밤에 잠을 잘 잔다고 말하였다.
8. 실습후 소감
→ 시험 끝나고 일주일동안 집에서 푹 쉬다 병원실습을 가다보니 며칠동안 많이 신체적으로 많이 힘들었었다. 하지만 이내 적응이 되었고 다른 파트와 달리 아이들의 웃음소리, 울음소리로 매우 활기차고 생동감 넘치는 병동실습이었다. 고사리 같은 손에 정맥주사를 맞으며 우는 아이들과 그 아이들의 부모의 눈물이 안타까웠다. 쌍둥이 두명모두 함께 기관지염으로 같은 병실에 입원한 것도 기억에 남는다. 하지만 병원에서도 밝은 아이들의 모습이 보기 좋았고, 크리스마스 이브날에 퇴원한다고 좋아했던 아이들을 진심으로 축하해 주었다. infusion pump의 작동법과 inject의 용량계산법도 확실하게 배울 수 있어서 너무 좋은 실습이었다.
무엇보다 부족한 점도 많았고, 실수도 많았던 나를 잘 지도해 주신 선생님들께 머리숙여 감사드린다는 말을 올린다.
9. 참고문헌
http://bestdoctor.naver.com/ency/ency_diseaseinfo_sub.jsp?idx=361
http://www.kmle.co.kr/
http://www.hidoc.co.kr/diz/rightmenu/dictionary/dictionaryOK.jsp
김영혜 외 .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김옥녀. 임상약리학 (제4판), 수문사
서울대학교병원.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10. 폐렴
1) 소아의 폐렴
폐에 염증이 생긴 상태를 폐렴이라고 하는데, 1폐엽 이상에 병변이 생긴 것을 대엽성폐렴, 1폐엽 이하인 것을 소엽성 폐렴 또는 기관지폐렴이라 한다. 대엽성 폐렴은 소아에게는 드물고, 소아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폐렴은 소엽성으로 기관지로부터 염증이 퍼진 기관지폐렴이다.
증세는 처음에 감기증세를 보이다가 급속도로 호흡곤란, 신음, 치아노제, 불안상태를 나타낸다. 소아에게 폐렴은 치명적인 병이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하고, 더욱이 저항력이 약한 미숙아/신생아/유유아(乳幼兒)의 폐렴에 대해서는 전문의의 진료에 따른다. 항생물질, 거담제, 진해제를 사용할 때에는 각별히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소아의 폐 감염은 청소년기나 성인에 비해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이유는 해부학적으로 기도가 작고 부드러우며 쉽게 짜부라져 공기 포착(air tapping)이 잘 되기 때문이다. 소아기에는 Staphylococcus에 의한 폐렴이 빠른 경과를 보이고, 수 시간내에 늑막액을 유발시키며, 농흉, 기관지늑막루(bronchopleural fistula), 농기흉(pyopneumathorax), 폐 농양 등의 합병증을 잘 일으킨다는 면에서 중요하다. 폐렴은 대개 큰 아이들 보다 미숙아, 신생아, 영아에서 더 많이 발생하고, 비위생적인 환경이나 과밀 환경 속에서 생활 할 때 홍역등이 전염성 질환이 더 돌고 있을 때, 영양 상태가 나쁜 어린이, 호흡기 기형이나 신장 질환이 있을 때 잘 생긴다.
2) 폐렴의 해부학적 위치
호흡기는 공기가 통하는 통로로서 제일 먼저 코를 비롯하여 순서적으로 인두, 후두, 기관지,모세기관지, 폐포와 폐실질 등 숨쉬는데 관여하는 기관을 말한다. 여기에 염증이 생겨서 병에 걸리는 경우 호흡기 질환이라 하며 코에 염증이 집중되면 비염, 인두에 염증이 집중되면 인두염이라 하는데 이 두군데의 염증 질환을 보통 감기라고 한다. 모세기관지인 경우 모세 기관지염이라 하며 폐에 염증이 집중되면 폐렴이라 한다. 따라서 호흡기 중 가장 아래 부위의 염증을 말하며 호흡기 질환 중에서도 심한편에 속한다.
병리 해부학적으로 폐의 대엽전부에 염증이 퍼진 대엽성 폐렴과, 소엽 단위에 한정된 소엽성 폐렴으로 나뉘며, 대엽성 폐렴은 크루프성 폐렴이라고도 하며, 원인은 대부분이 폐렴구균이다. 때로는 폐렴간균, 포도상구균, 연쇄구균에 의하는 것도 있다. 폐는 다섯 개의 폐엽으로 되어 있는데 폐엽이 1개 또는 2개 이상 침범당한 것을 말하며 폐엽은 많은 소엽으로 되어 있는데, 소엽 단위로 일어나는 소엽성폐렴(기관지폐렴)에 대하여 폐엽 단위로 일어나는 폐렴이다.
3) 원인
폐렴은 심한 감기나 기관지염 등의 합병증으로 생기는 중증의 호흡기 감염증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사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원인은 세균과 바이러스 등 급성의 감염성 병원균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 외 곰팡이, 기생충 등에 발병하는 경우도 있다. 기타 알레르기가 폐렴의 원인이 되는 수도 있고, 가루약 등을 잘 못 복용하여 흡인성 폐렴이 생기기도 한다. 경로는 대개 환자와 직접 접촉하거나 기침할 때 튀어나오는 침방울에 의해 전파되어 발병한다. 대부분의 경우 폐렴구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포도상 구균, 연쇄상구균, 크레브시앨라균 등 많은 종류의 감염으로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신체의 방어능력에 따라 소량의 균이 침입했을 때는 이겨내어 발병을 않고 있다가 대량의 균이 침입하면 몸의 방어 능력이 약화 됐을 때 발병한다. 어린아이와 노인은 폐의 방어력이 떨어져 있어 폐렴에 잘 걸리지만 건강한 젊은 사람이 폐렴에 걸리는 일은 그리 흔하지는 않다.
기관지성 폐렴은 유아나 노인에게 잘 일어나는
투여된 약물의 부작용은 오히려 호흡부전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
2. 흉부타진법으로 인해 기관지에 붙어있는 이물질이 기관내로 떨어진다.
3. 적당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줌으로써 수면을 유도할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흡곤란을 줄일 수 있다.
4. 과도한 낮잠은 밤 수면량에 영향을 미쳐 더욱 수면장애를 악화시킨다.
5. 반좌위가 호흡곤란시 용이한 자세이다.
6. 수분의 섭취를 증가시킴으로써 객담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수행
1. Nebulizer 시행하였다.
2. 흉부타진법을 실시해 객담배출을 격려하였다.
3. 병실의 조명의 밝기를 낮춰주고 가습기를 해주었다.
4. 낮에는 재우지 않도록 교육하였고, 잠들 경우 깨워야 할 것을 교육하였다.
5. 침상의 머리를 높여주어 호흡을 편하게 해주었다.
6. 물을 자주 마시는 것을 설명하였고, 충분한 수분을 먹이도록 강조하였다.
평가
대상자는 밤에 기침하는 횟수가 줄어들고 조금씩 낮잠을 줄일 수 있게
되었으며, 밤에 잠을 잘 잔다고 말하였다.
8. 실습후 소감
→ 시험 끝나고 일주일동안 집에서 푹 쉬다 병원실습을 가다보니 며칠동안 많이 신체적으로 많이 힘들었었다. 하지만 이내 적응이 되었고 다른 파트와 달리 아이들의 웃음소리, 울음소리로 매우 활기차고 생동감 넘치는 병동실습이었다. 고사리 같은 손에 정맥주사를 맞으며 우는 아이들과 그 아이들의 부모의 눈물이 안타까웠다. 쌍둥이 두명모두 함께 기관지염으로 같은 병실에 입원한 것도 기억에 남는다. 하지만 병원에서도 밝은 아이들의 모습이 보기 좋았고, 크리스마스 이브날에 퇴원한다고 좋아했던 아이들을 진심으로 축하해 주었다. infusion pump의 작동법과 inject의 용량계산법도 확실하게 배울 수 있어서 너무 좋은 실습이었다.
무엇보다 부족한 점도 많았고, 실수도 많았던 나를 잘 지도해 주신 선생님들께 머리숙여 감사드린다는 말을 올린다.
9. 참고문헌
http://bestdoctor.naver.com/ency/ency_diseaseinfo_sub.jsp?idx=361
http://www.kmle.co.kr/
http://www.hidoc.co.kr/diz/rightmenu/dictionary/dictionaryOK.jsp
김영혜 외 . 아동간호학 총론, 현문사
김옥녀. 임상약리학 (제4판), 수문사
서울대학교병원.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 출판부
10. 폐렴
1) 소아의 폐렴
폐에 염증이 생긴 상태를 폐렴이라고 하는데, 1폐엽 이상에 병변이 생긴 것을 대엽성폐렴, 1폐엽 이하인 것을 소엽성 폐렴 또는 기관지폐렴이라 한다. 대엽성 폐렴은 소아에게는 드물고, 소아에게서 흔히 볼 수 있는 폐렴은 소엽성으로 기관지로부터 염증이 퍼진 기관지폐렴이다.
증세는 처음에 감기증세를 보이다가 급속도로 호흡곤란, 신음, 치아노제, 불안상태를 나타낸다. 소아에게 폐렴은 치명적인 병이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하고, 더욱이 저항력이 약한 미숙아/신생아/유유아(乳幼兒)의 폐렴에 대해서는 전문의의 진료에 따른다. 항생물질, 거담제, 진해제를 사용할 때에는 각별히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소아의 폐 감염은 청소년기나 성인에 비해 다른 양상을 보이는데, 이유는 해부학적으로 기도가 작고 부드러우며 쉽게 짜부라져 공기 포착(air tapping)이 잘 되기 때문이다. 소아기에는 Staphylococcus에 의한 폐렴이 빠른 경과를 보이고, 수 시간내에 늑막액을 유발시키며, 농흉, 기관지늑막루(bronchopleural fistula), 농기흉(pyopneumathorax), 폐 농양 등의 합병증을 잘 일으킨다는 면에서 중요하다. 폐렴은 대개 큰 아이들 보다 미숙아, 신생아, 영아에서 더 많이 발생하고, 비위생적인 환경이나 과밀 환경 속에서 생활 할 때 홍역등이 전염성 질환이 더 돌고 있을 때, 영양 상태가 나쁜 어린이, 호흡기 기형이나 신장 질환이 있을 때 잘 생긴다.
2) 폐렴의 해부학적 위치
호흡기는 공기가 통하는 통로로서 제일 먼저 코를 비롯하여 순서적으로 인두, 후두, 기관지,모세기관지, 폐포와 폐실질 등 숨쉬는데 관여하는 기관을 말한다. 여기에 염증이 생겨서 병에 걸리는 경우 호흡기 질환이라 하며 코에 염증이 집중되면 비염, 인두에 염증이 집중되면 인두염이라 하는데 이 두군데의 염증 질환을 보통 감기라고 한다. 모세기관지인 경우 모세 기관지염이라 하며 폐에 염증이 집중되면 폐렴이라 한다. 따라서 호흡기 중 가장 아래 부위의 염증을 말하며 호흡기 질환 중에서도 심한편에 속한다.
병리 해부학적으로 폐의 대엽전부에 염증이 퍼진 대엽성 폐렴과, 소엽 단위에 한정된 소엽성 폐렴으로 나뉘며, 대엽성 폐렴은 크루프성 폐렴이라고도 하며, 원인은 대부분이 폐렴구균이다. 때로는 폐렴간균, 포도상구균, 연쇄구균에 의하는 것도 있다. 폐는 다섯 개의 폐엽으로 되어 있는데 폐엽이 1개 또는 2개 이상 침범당한 것을 말하며 폐엽은 많은 소엽으로 되어 있는데, 소엽 단위로 일어나는 소엽성폐렴(기관지폐렴)에 대하여 폐엽 단위로 일어나는 폐렴이다.
3) 원인
폐렴은 심한 감기나 기관지염 등의 합병증으로 생기는 중증의 호흡기 감염증으로 경우에 따라서는 사망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 있다. 원인은 세균과 바이러스 등 급성의 감염성 병원균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 외 곰팡이, 기생충 등에 발병하는 경우도 있다. 기타 알레르기가 폐렴의 원인이 되는 수도 있고, 가루약 등을 잘 못 복용하여 흡인성 폐렴이 생기기도 한다. 경로는 대개 환자와 직접 접촉하거나 기침할 때 튀어나오는 침방울에 의해 전파되어 발병한다. 대부분의 경우 폐렴구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포도상 구균, 연쇄상구균, 크레브시앨라균 등 많은 종류의 감염으로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신체의 방어능력에 따라 소량의 균이 침입했을 때는 이겨내어 발병을 않고 있다가 대량의 균이 침입하면 몸의 방어 능력이 약화 됐을 때 발병한다. 어린아이와 노인은 폐의 방어력이 떨어져 있어 폐렴에 잘 걸리지만 건강한 젊은 사람이 폐렴에 걸리는 일은 그리 흔하지는 않다.
기관지성 폐렴은 유아나 노인에게 잘 일어나는
추천자료
케이스 매니지먼트
수술실케이스(만성부비동염)
고빌리루빈혈증-신생아실케이스
폐렴케이스스터디
파킨슨케이스스터디
[간경변증환자][위암수술환자][만성신부전환자][정상분만환자][천식환자]간경변증환자 케이스...
ICH케이스(두개뇌출혈) 케이스 스터디
[아동간호실습] 신생아실 케이스 신생아 TTN 일과성빈호흡 -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Transien...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 케이스, NIDDM 케이스
골관절염 케이스, 정형외과 케이스 스터디, 골관절염 케이스 스터디, 골관절염 case study, ...
자궁근종 케이스 스터디, 자궁근종 사례연구, 모성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뇌줄중케이스,중환자실실습,중환자실케이스스터디,간호과정,간호진단
백내장(Cataract) 케이스 스터디 A+ - (백내장 케이스 스터디, 백내장 간호과정, 백내장 간호...
성인 당뇨 케이스, 당뇨 족부병증, 당뇨발, 절단 케이스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