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생리학(건강의 적색신호 고지혈증 동맥경화 관상동맥질환 중성지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운동생리학(건강의 적색신호 고지혈증 동맥경화 관상동맥질환 중성지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고지혈증.
<정의>
<증상>
<진단>
<유병기간>
<예방법>
<치료>
▶식이
▶약물치료

동맥경화증
<원인>
<동맥경화증의 진단>
<동맥경화증의 예방과 치료>

관상동맥 질환
<정의>
<증상>
<진단>
<유병기간>
<예방법>
<치료>

본문내용

이트(fibrate)의 경우, 중성지방이 높은 사람에게서 일차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에제티미브(ezetimibe, 상품명: 제티아)는 장에 작용을 하여 음식물로부터 콜레스테롤의 흡수를 감소시킵니다.
칼슘통로차단체 ― 지속성 니페디핀(nifedipine, 상품명: 아달라트, 프로카디아), 베라파밀(varapamil, 상품명: 칼란, 이솝틴), 딜티아젬(diltiazem, 상품명: 카디젬) ― 이 약들은 협심증이 있는 사람에서 가슴통증의 빈도를 줄이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만약 안정협심증이 있는 환자가 가슴통증 때문에 신체적으로 제한을 받는다면 의사는 환자의 관상동맥이 심각하게 막혀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관상동맥조영술(심장도관술)의 시행을 권할 것입니다. 심장전문의는 또한 다른 검사에서 결과가 나오지 않았을 때, 심장발작으로 인한 응급상황일 때, 울혈심부전증(congestive heart failure)이 새로 진단됐을 때 관상동맥질환을 진단하기 위해 이 검사를 시행할 수 있습니다.
하나 이상의 심각한 관상동맥 차단이 발견되면 심장전문의는 그것을 풍선혈관성형술 또는 경피적 경관 관상동맥성형술(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PTCA)이라고 부르는 시술로 넓힐 수 있을 지 결정하게 됩니다. 풍선혈관성형술에서는 샅고랑 부위 또는 손목에 존재하는 동맥을 통해 도관을 삽입하며, 막혀있는 관상동맥까지 도달하게 됩니다. 일단 관상동맥 안으로 들어가게 되면 좁아진 혈관을 벌리기 위해 도관 끝에 위치한 작은 풍선이 일시적으로 부풀려집니다. 대개 풍선을 부풀린 뒤에 풍선과 함께 확장되는 그물(망사)모양의 스텐트를 설치합니다. 그물 모양의 스텐트는 동맥이 지속적으로 열려 있도록 혈관안 쪽에 남아있게 됩니다. 풍선이 수축된 후에 도관이 제거됩니다.
풍선혈관성형술의 적응증이 되지 않는 경우, 심장전문의는 관상동맥우회로수술(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CABG)을 권할 것입니다. 관상동맥우회로수술은 좁아지거나 막혀 있는 부위를 우회하도록, 하나 이상의 혈관을 관상동맥에 이식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식에 사용할 혈관은 환자 본인 가슴 안쪽의 동맥, 팔의 동맥, 다리의 긴 정맥으로부터 구할 수 있습니다.
심장발작이나 갑작스러운 협심증의 악화에 대한 치료의 목표는 혈류 공급을 받지 못하는 심장 근육 부위에 빠르게 혈류를 회복시키는 것입니다. 환자는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해 즉시 약물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또한 심박수를 느리게 하고 심장의 작업부하를 줄이기 위해 베타차단제를, 혈전을 녹이거나 혈전이 발생의 예방을 위해 다른 약물과 병합하여 아스피린을 투여 받을 것입니다. 가능하다면 심각한 관상동맥 차단에 대한 혈관조영술과 풍성혈관성형술을 곧바로 시행할 수 있도록 환자를 심장도관 검사실이 있는 병원으로 보낼 수 있습니다. 몇몇 환자의 경우 또 다른 증상이나 합병증을 치료하기 위한 추가 요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심장부정맥(비정상적인 심장 리듬), 낮은 혈압, 심장부전을 치료하기 위해 약물이 필요한 경우입니다
중성지방이란?
중성지방은 콜레스테롤이 아닌 지방의 한 종류이며, 간에서 합성된다. 흔히 지방질을 많이 먹으면 중성지방질이 증가할 것으로 생각하지만, 사실은 당분과 쌀 같은 탄수화물을 많이 먹으면 중성지방이 증가한다. 그리고 비만과 과음이 고중성지방증의 중요한 원인이다.
중성지방이 증가하면 심장병과 중풍을 증가시킨다.

<그림1>은 심장병이 없는 사람을 8년 간 추적한 결과를 보여준다. 중성지방이 낮은 사람(150mg%)에 비해 중성지방이 166mg% 이상인 사람에게서 관상동맥질환이 2.6배로 증가하였는데, 심장질환은 LDL과 HDL 콜레스테롤과 무관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중성지방이 200mg% 이상이며 LDL과 HDL 비율이 5배 이상이면 위험률이 6배로 증가하였다.
중성지방이 증가할수록 관상동맥질환이 증가한다. 특히, 중성지방과 악성(LDL) 콜레스테롤이 증가하고 HDL이 감소하는 가족형 이상지질혈증에서 위험률이 높다. 이런 환자는 LDL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증가 모두를 치료해야 한다.
■ 중성지방을 낮추는 방법
1) 비만(BMI 25kg/m2 이상)도 중성지방을 증가시킨다. 이런 사람은 식이요법과 운동으로 체중을 줄여야 한다. 그리고 섬유질이 많은 곡물(현미·콩·보리·좁쌀 등)과 과일·야채를 많이 먹어야 한다.
2) 과음(1일 음주량 5잔 이상)은 중성지방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중성지방이 200mg% 이상이면 술을 끊거나 1일 1~2잔으로 제한해야 한다.
3) 갑상선 저하증도 중성지방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혈액검사로 갑상선 기능검사를 해야 한다.
4) 오메가 지방산은 중성지방을 감소시킨다. 등푸른 생선을 거의 매일 먹거나 오메가-3 지방산(EPA·DHA) 같은 건강식품을 먹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5) 이상의 방법으로도 중성지방 수치가 250mg/dL 이상일 때에는 약물치료를 할 수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나이아신(niacin)과 피브레이트(fibrate)는 중성지방을 10~30% 정도 감소시킬 수 있다.
6) 중성지방과 LDL 콜레스테롤이 같이 증가되어 있으면 가족형 또는 복합성 고지혈증일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심혈관질환의 발생률을 심하게 증가시킨다. 이런 사람은 우선 스타틴을 사용하여 LDL 콜레스테롤을 내려야 한다. 스타틴으로 중성지방이 좋아지지 않으면, 나이아신 또는 피브레이트를 같이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그러나 이런 약 대신 오메가 지방산도 중성지방을 개선할 수 있으며, 오메가-3 지방산을 많이 섭취할수록 중성지방이 많이 감소한다
「건강을 위한 이상적 지방질 수치」
- 총 콜레스테롤 220mg% 이하
- 악성(LDL) 콜레스테롤 130mg% 이하
- 심근경색증·협심증·당뇨가 있으면 LDL 콜레스테롤 100mg%에서 70mg% 이하
- 양성(HDL) 콜레스테롤 40mg% 이상
- 중성지방 150mg% 이하
미국의 보건부는 심장병이 있거나 당뇨가 있는 고위험군에서는 LDL 콜레스테롤을 70mg 이하로 유지할 것을 추천하고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9.07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06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