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Data, 정보, 지식과 노하우
2. 기술과 지식
3. 지식의 특성
2. 기술과 지식
3. 지식의 특성
본문내용
천연자
원은 사용하면 할수록 고갈되기 쉽고, 재생이 되는데 수백 년, 수천 년이
걸리는 자원을 '고갈될 수 있고 재생이 불가능한 자원(exhaustible and
non-renewable resources)'이라고 한다. '고갈될 수 있지만 관리만 잘하
면 계속 재생이 가능한 자원(exhaustible, but renewable resources)'
에는 어류, 나무 등을 예로 들 수 있는데, 별종위기에 처한 희소한 자원보
호와 환경보호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 것이다. 왜냐하
면 자원이 고갈되거나 환경이 일단 파괴되면 재생이 되는데 수십 년, 수백
년, 수천 년 또는 아예 재생불능일 경우도 있으며, 그렇게 되면 더 이상의
경제발전은 이룩할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지식과 같이 '아무리 사용해도
고갈되지 않고 계속 재생이 되는 자원(non-exhaustible and renewable
resources)은 최대로 활용함으로써 지속적인 경세발전 그리고 개인복지
(well-being)와 사회복지 (social welfare) 향상을 추구할 수 있다.
셋째, 지식자산을 공유 활용함으로써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즉, 지식의 공유/활용으로 감가상각이 되지 않고, 활용과정이 창조과정과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지식자산의 특성이다.
넷째, 재생산이 가능하며, 지식재생산의 경우 지식을 창조한 사람 또는
지식을 이전하는 사람으로부터 그 지식을 이전받는 사람의 두뇌에 재구축
되어 연쇄적으로 확대 재생산되는 특성을 지닌다.
다섯째, 한명이 지식을 이용하나 100명이 지식을 이용하나 원가가 같다
('positive network externality'). 즉, 지식을 창출하는 초기비용이 높을
수 있으나 사용에는 추가비용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외부성
(network externality)의 대표적인 예로 인터넷 사이트, TV와 video 시
청, 라디오 청취 등을 꼽을 수 있다.
한편, 지식은 그 특성에 따라 크게 일반적인 지식(general knowledge)
내지는 대중적인 지식(public knowledge)과 특유의 지식(specific
knowledge) 내지는 전문적인 지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인 지식은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지식으로 공공재(public goods)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전문적인 지식은 개인 또는 소수만이 알고 있는 특별한 지식으로
사적인 재화(private goods)의 성격을 갖고 있다. 따라서 공공재의 성격
을 지니는 일반적인 지식의 경우 무임승차문제(free-riding problem)를
초래할 수도 있으며, 개인이나 조직의 전문적인 지식은 그 개인이 갑자기
사망하거나 그 조직이 해체되면 특유의 지식 내지는 전문적인 지식 또는 핵심지식이 사라지고 마는 것이다. 더구나 특유의 지식 또는 핵심지식이 경쟁자에게 누출(leakage)이 되면 엄청난 거래비용(transaction costs)을 초
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시대에 지식경영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 것이다.
또한 Nonaka & Abernathy(1976)에 의하면, 지식을 형태나 특성에
따라 형식지 (explicit knowledge)와 암묵지 (tacit knowledge)로 나눠볼
수 있는데, 이는 가장 널리 활용되고 응용되는 지식의 특성과 분류로써 다
음 장에저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경험을 통해서 체득한 노하우
와 전문적인 지식, 창의적인 아이디어(암묵지) 등의 개인지식을 공유, 활용
및 확산 등 학습을 통한 조직지식으로의 효율적인 승화를 위해 지식경영과
그 시스템이 필요한 것이다.
원은 사용하면 할수록 고갈되기 쉽고, 재생이 되는데 수백 년, 수천 년이
걸리는 자원을 '고갈될 수 있고 재생이 불가능한 자원(exhaustible and
non-renewable resources)'이라고 한다. '고갈될 수 있지만 관리만 잘하
면 계속 재생이 가능한 자원(exhaustible, but renewable resources)'
에는 어류, 나무 등을 예로 들 수 있는데, 별종위기에 처한 희소한 자원보
호와 환경보호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 것이다. 왜냐하
면 자원이 고갈되거나 환경이 일단 파괴되면 재생이 되는데 수십 년, 수백
년, 수천 년 또는 아예 재생불능일 경우도 있으며, 그렇게 되면 더 이상의
경제발전은 이룩할 수 없는 것이다. 그리고 지식과 같이 '아무리 사용해도
고갈되지 않고 계속 재생이 되는 자원(non-exhaustible and renewable
resources)은 최대로 활용함으로써 지속적인 경세발전 그리고 개인복지
(well-being)와 사회복지 (social welfare) 향상을 추구할 수 있다.
셋째, 지식자산을 공유 활용함으로써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즉, 지식의 공유/활용으로 감가상각이 되지 않고, 활용과정이 창조과정과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지식자산의 특성이다.
넷째, 재생산이 가능하며, 지식재생산의 경우 지식을 창조한 사람 또는
지식을 이전하는 사람으로부터 그 지식을 이전받는 사람의 두뇌에 재구축
되어 연쇄적으로 확대 재생산되는 특성을 지닌다.
다섯째, 한명이 지식을 이용하나 100명이 지식을 이용하나 원가가 같다
('positive network externality'). 즉, 지식을 창출하는 초기비용이 높을
수 있으나 사용에는 추가비용이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네트워크 외부성
(network externality)의 대표적인 예로 인터넷 사이트, TV와 video 시
청, 라디오 청취 등을 꼽을 수 있다.
한편, 지식은 그 특성에 따라 크게 일반적인 지식(general knowledge)
내지는 대중적인 지식(public knowledge)과 특유의 지식(specific
knowledge) 내지는 전문적인 지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인 지식은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지식으로 공공재(public goods)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전문적인 지식은 개인 또는 소수만이 알고 있는 특별한 지식으로
사적인 재화(private goods)의 성격을 갖고 있다. 따라서 공공재의 성격
을 지니는 일반적인 지식의 경우 무임승차문제(free-riding problem)를
초래할 수도 있으며, 개인이나 조직의 전문적인 지식은 그 개인이 갑자기
사망하거나 그 조직이 해체되면 특유의 지식 내지는 전문적인 지식 또는 핵심지식이 사라지고 마는 것이다. 더구나 특유의 지식 또는 핵심지식이 경쟁자에게 누출(leakage)이 되면 엄청난 거래비용(transaction costs)을 초
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디지털시대에 지식경영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 것이다.
또한 Nonaka & Abernathy(1976)에 의하면, 지식을 형태나 특성에
따라 형식지 (explicit knowledge)와 암묵지 (tacit knowledge)로 나눠볼
수 있는데, 이는 가장 널리 활용되고 응용되는 지식의 특성과 분류로써 다
음 장에저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경험을 통해서 체득한 노하우
와 전문적인 지식, 창의적인 아이디어(암묵지) 등의 개인지식을 공유, 활용
및 확산 등 학습을 통한 조직지식으로의 효율적인 승화를 위해 지식경영과
그 시스템이 필요한 것이다.
추천자료
윤리경영의 개념과 활성화방안, 사례
[글로벌 경영] 전략수립과정
고객중심경영의 의의와 원칙, 실천단계
글로벌화 제 요인) 글로벌화의 시장적, 비용적, 경쟁적 요인
[벤치마킹] 벤치마킹의 정의와 유형, 절차, 원리, 역사
리엔지니어링의 의의와 대두배경, 리엔지니어링 성과와 해결방안
블루오션전략의 이념과 원칙, 경쟁전략과 블루오션 전략과의 관계
우량기업의 경영패러다임
전자상거래) 전자상거래의 개념과 문제점, 영향
외국(해외)의 사회적기업의 사례 분석
프랑스의 사회적 기업
기업문화의 구성요소
경영이론(과학적 관리법, 포드시스템, 고전적 조직이론, 관료제모형, 인간관계론, 행동과학이...
글로벌 마케팅 믹스전략) 마케팅 믹스의 요소, 글로벌 제품전략과 글로벌 가격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