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매체학 개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상매체학 개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영상론

2. 영상 커뮤니케이션(visual communication)의 원형구조

3. 영상메시지는 두뇌에서 어떻게 처리되는가

4. 영상 커뮤니케이션의 감각 이론과 지각 이론

5. 영상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정신적 요소들

본문내용

영상매체학 개론
영상 커뮤니케이션
1. 영상론
요하네스 구텐베르크가 인쇄기를 발명하여 유럽전체의 인구 80퍼센트가 읽을 수 있게 되었고. 루이스 다게르가 최초로 실질적인 사진 처리과정을 도입하여 70년 만에 거의 모든 사람이 스틸카메라의 소지와 신문의 사진을 보게 되었다.
구텐베르크 이후 문법이 문자를 위해 개발되었듯이 같은 방식으로 교육자들이 사진을 위해 영상 문법을 개발하지 못했다. 사람들은 문자를 읽는 방법에 대해 배우지만 영상을 읽는 방법에 대해서는 배우지 못한다. 새로운 영상 시대에서는 오직 글을 쓰는 방법만을 알거나 이미지를 만드는 방법만을 알아서는 안 된다. 영상 지각에 관심을 가지는 사람들은 모든 문자와 그림을 사용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
1)사물을 보는 과정은 눈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는가
인간의 두뇌는 모든 가능한 이미지를 의도적이고 작위적으로 분류해서 오랜 기간 기억에 남을 수 있는 것을 선택한다. 비쥬얼 커뮤니케이션은 반응을 하는 눈과 여기서 받아 들이는 모든 감각 정보를 이해하는 두뇌에 의존한다. 헉슬리(Aldous Huxley)에 의하면 정확히 본다는 것은 주로 명확한 사고의 결과로 이루어진다고 한다. 헉슬리는 다음의 공식으로 정확히 보는 방식을 요약했다.
감각 (sensing)+선택(selecting)+지각(perceiving)=보기(seeing)
헉슬리에 의하면 감각과 지각은 다르다고 한다.
눈과 신경 시스템은 감각을 하고 마음은 지각을 한다.
지각의 기능은 각 개인의 축적된 경험, 다시 말해 기억과 관계가 되어 있다.
정확히 본다는 것은 바른 감각과 지각의 산물이다.
지각력의 증진은 일반적인 감각과 보고 있는 대상의 감각 및 지각으로 이루어진다.
-정확하게 보기의 첫 단계는 감각하는 것이다.
보거나 감각하는 것은 주변의 대상을 즉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눈으로 충분한 빛이 들어가게 하는 것을 의미 한다. 또한 감각하는 것은 눈이 많은 부분이 얼마나 잘 작동하는가에 좌우된다. 이 단계에서는 이미지의 정신적 과정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시각의 범위 내에서 특정한 부분을 선택하는 것
선택한다는 것은 이러한 감각이 제공하는 거대한 가능성의 프레임 내에서 장면의 특정한 부분만을 분리하는 것이다. 이러한 분리는 고도의 두뇌기능으로 눈이 빛을 집약시키고 초점을 모으는 속성의 복합으로 이루어지는 결과이다. 선택한다는 것은 범위 내에서 눈에 가장 분명하게 보이는 대상을 분리하는 것이다. 즉 다른 모든 것과 분리된 하나의 작은 대상에 정신적 활동을 집중하는 것이다.
-인식하는 것
단순한 지각이나 선택보다 높은 수준의 인식으로 이미지를 처리한다는 것은 시계 안에 있는 대상에 대해 단순히 관찰의 행위로서가 아니라 의미를 찾을 목적으로 고도의 집중적인 정신적 행위를 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상메세지는 직접적이고 인식적인 과정을 통해서 장기간의 정신적인 기억이 된다. 마음의 눈은 실제로 감각적인 이미지가 아닌 것을 머릿속에서 영상으로 만든다.
2. 영상 커뮤니케이션(visual communication)의 원형구조
영상 커뮤니케이션은 많이 알수록 많이 감각하고 많이 감각할수록 더 많이 선택하게 된다.많이 선택할수록 많이 지각하게 되고 많이 지각 할수록 더 많이 기억 한다.
영상 메시지 제작자의 목표는 그것을 보는 사람이 그 의도를 알 수 있도록 강한 이미지를 만드는 게 있다 관람자의 마음이 그 이미지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아무 소용이 없다. 앞으로 이미지를 만들고 소비하는 사람으로서 다른 사람이 기억하는 이미지를 만들고 당신이 기억하고 싶은 이미지를 보기 원할 것이다.
1)빛과 색
가시적인 빛은 단순히 우리 두뇌에서 일어나는 하나의 화학적 반응이다. 눈의 뒷부분에 있는 빛 감각기관에 광자로부터 자극이 없다면 빛은 보이지 않을 것이다.
닐 보어(Niels Bohr)는 빛이 미립자와 파동이라는 것을 입증했다. 그는 광양자가 원자를 구성하는 전자와 반응하는 방식을 설명했는데, 원자가 일반적인 에너지량 이상을 흡수하는 경우 이것은 자극을 받게 된다. 이러한 최초의 에너지 증가 이후에 원자는 원래의 에너지로 돌아가기 위해서 에너지를 방출한다. 많은 원자들의 원자 에너지 레벨이 증가하고 감소하는 과정에서 마침내 작은 빛 에너지(광양자)가 만들어 진다. 열은 또한 광양자를 자극한다. 이때 광양자가 흥분되어서 필라멘트는 흰 빛을 방출한다.
2)키스할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9.16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23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