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인도 수학의 발전 과정
2. 0(Sunya)의 발견
3. 인도 아라비아 숫자의 전파
4. 인도의 대수학(代數學)
5. 음수의 유래
III. 결론
<참고 자료>
II. 본론
1. 인도 수학의 발전 과정
2. 0(Sunya)의 발견
3. 인도 아라비아 숫자의 전파
4. 인도의 대수학(代數學)
5. 음수의 유래
III. 결론
<참고 자료>
본문내용
도입되었다.
5. 음수의 유래
음수의 의미를 처음으로 설명한 사람은 인도의 승려 브라마굽타 (Brahmagupta;598~ ?)인데 그는 이미 7세기경에 양수를 자산으로, 음수를 부채로 설명하였다. 인도에서는 이후로도 꾸준히 음수의 곱셈·나눗셈에 관한계산 법칙 등을 발전시켜 오다가 마침내 16세기경에 이르러야 음수의 이같은 개념이 유럽에 소개되었다. 유럽에서는 왜 이토록 오랫동안 음수를 인정하지 않았던 것일까. 세기경의 유명한 대수학자 디오판토스조차도 음수를 방정식의 해로 인정하지 않았고, 인도의 수학자 바스카라(Bhaskra;1145~1185)역시 마찬가지였다. 이것은 아마도 음수는 눈에 보이는 수가 아닌 상상의 수라는 관념 때문이었을 것이다. 정확성을 중시하는 수학에서 이런 허황된 수를 다룰 수 없다는 생각이었던 듯하다.
III. 결론
고대 인도의 수학은 천문학자에 의해서 발전되었기 때문에, 그리스와는 반대로 기하학의 발달은 별로 없었고, 대수학(산술이나 방정식 등)이 왕성하게 발달했다. 6세기의 아리아바타는 이차방정식을 풀었으며,12세기의 바스카라는 처음으로 이차방정식에서 음의 근과 무리수의 근을 인정하였다. 그러나 인도 수학의 가장 큰 공적은 0과 음수의 발견, 자릿수 기수법에 의한 수의 사용인데, 이것은 현대 수학의 토대가 되었다.
<참고 자료>
편집부, 수학의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1
데이비드 벌린스키, 김하락 역, 수학의 역사, 을유문화사, 2007
나까다 노리오, 오희옥 역, 수학 역사기행, 경문사, 2003
찰스 밴 도렌, 박중서 역, 지식의 역사, 갈라파고스, 2010
5. 음수의 유래
음수의 의미를 처음으로 설명한 사람은 인도의 승려 브라마굽타 (Brahmagupta;598~ ?)인데 그는 이미 7세기경에 양수를 자산으로, 음수를 부채로 설명하였다. 인도에서는 이후로도 꾸준히 음수의 곱셈·나눗셈에 관한계산 법칙 등을 발전시켜 오다가 마침내 16세기경에 이르러야 음수의 이같은 개념이 유럽에 소개되었다. 유럽에서는 왜 이토록 오랫동안 음수를 인정하지 않았던 것일까. 세기경의 유명한 대수학자 디오판토스조차도 음수를 방정식의 해로 인정하지 않았고, 인도의 수학자 바스카라(Bhaskra;1145~1185)역시 마찬가지였다. 이것은 아마도 음수는 눈에 보이는 수가 아닌 상상의 수라는 관념 때문이었을 것이다. 정확성을 중시하는 수학에서 이런 허황된 수를 다룰 수 없다는 생각이었던 듯하다.
III. 결론
고대 인도의 수학은 천문학자에 의해서 발전되었기 때문에, 그리스와는 반대로 기하학의 발달은 별로 없었고, 대수학(산술이나 방정식 등)이 왕성하게 발달했다. 6세기의 아리아바타는 이차방정식을 풀었으며,12세기의 바스카라는 처음으로 이차방정식에서 음의 근과 무리수의 근을 인정하였다. 그러나 인도 수학의 가장 큰 공적은 0과 음수의 발견, 자릿수 기수법에 의한 수의 사용인데, 이것은 현대 수학의 토대가 되었다.
<참고 자료>
편집부, 수학의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1
데이비드 벌린스키, 김하락 역, 수학의 역사, 을유문화사, 2007
나까다 노리오, 오희옥 역, 수학 역사기행, 경문사, 2003
찰스 밴 도렌, 박중서 역, 지식의 역사, 갈라파고스, 2010
추천자료
- 교육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정약용
- 『북간도』작품 분석과 이해
- 탈북청소년의 사회적응과 부적응에 관한 총체적 이해
- 코메니우스 교육사상에 대한 해석과 고찰
-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를 읽고나서(1, 2, 3)
- 코메니우스 조별발표와 우리들의 생각
- 우리교육과정의 이해와 개발
- [몬테소리학습이론]몬테소리교육의 언어학습, 몬테소리교육의 우주학습, 몬테소리교육의 지리...
- 현장교육연구의 개념, 현장교육연구의 특성, 현장교육연구의 중요성, 현장교육연구의 추진과...
- 중2-연구수업지도안(초세안)
- <질적연구 방법론> 근거이론방법, 현상학적 연구, 문화기술지 (정의와 특성 및 연구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