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본문내용
절
학습목표
-절 예절을 익힘으로써 종적으로는 공경과 자애심을, 횡적으로는 겸양과 평화가 정신적 근저를 이루어 뿌리 있는 세계인이 되게 한다.
-세계화 시대에 우리 것의 소중함을 일깨운다
-동방예의지국인 우리나라 예절의 전통과 역사적 변천을 이해한다.
학습내용
-세계화 시대의 전통예절
-동방예의지국
-우리 예절의 역사적 변천
세계화와 우리 것
박동진 우리 것은 소중한 것이여
우리 것을 이야기하면
(60년대에는)
-고루하다
-진취성이 없다
-골동품으로 틀어박혀 있어야 할
-바깥 세상을 모르는 무식한 사람
(그러나 지금은)
-해외에서의 한국산 브랜드의 기술력 인정
-한류 열풍
코스모폴리탄과 국제화
-국가를 초월한 시야가 넓은 사고와 외국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지닌 앞서가는 사람으로 인식
코스모폴리탄 - 1960년대
국제화 - 가장한국적인 것이 가장 국제적인 것이다
세계화 - 무한경쟁시대
선진국의 경우
-선진국은 자기문화를 보존하고 남의 무형 유형의 문화도 수용
-군사 경제 정보 산업 과학기술 지적소유권 등도 선점
-무한경쟁은 허약한 어린아이와 건강하고 힘센 어른이 싸우는 것과 마찬가지다
세계화 시대에 우리의 할 일
-줏대를 세우고 중심을 잡아 나가는 일
우리 것 +남의 것
->우리 것을 알아 그것이 기본이 되고 남의 것을 잘 이해 소화하여 우리 것과 남의 것이 하나가 되어야 함
초빙강사 정일순 선생님 소개 및 인사말
-전남대학교 경영대학원 수료
-광주유교대학 수료
-성균관 여성 유도회 예학원 수료
-성균관 여성 유도회 예사범 2급
-관주 전남 미술대전 서예 초대작가(심사 위원 역임)
-어류 서예 초대 작가전
-광주 향교 전례위원
강의목표
-예의생활/자기관리
-우리 예절의 변천
우리나라는 예절의 나라
-동방예의지국 :공자의 7대손 공빈이 동이열전에서 언급
-우리의 예절은 우리 고유의 문화유산
-중국 송나라 학자 주자가례를 받아들였지만 우리 문화와 다른 것은 수용하지 않음
주자가례와 우리가례의 차이
(혼례의 경우)
-주자가례 : 남자 집에서 여자를 데려와 예식을 올리고 부부가 된다.
-우리가례 : 여자 집에서 예식을 올리고 부부가 되며 남자가 장가간다 한다
우리 예절의 역사적 변천
-우리 문화유산의 소실(서기688년 고구려 멸망시 당나라 장군 이세훈에 의해 소각)
-중국문화의 유입
-오교
-오륜 (군신유의, 부자유친,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
우리예절의 역사적 변천
-586년(신아 진평왕 8년):예절을 관창하는 예부를 둠
-혼인윤리 : 1147년 5촌까지의 근친혼 금함
-1308년 성이 다르더라도 4촌 이내면 혼인 금지
-조선조에 들어와 동성동본 혼인 금지
-1475년(조선 성종 6년):나라의 예절을 정하는 국조 오례의를 펴냄
예학의 종장 사계 김장생 선생
-상례비요, 가례즙람
-기본예절의 응용방법을 다룬 사례편람
-우리 현실과 풍속에 맞도록 우리 예절을 고유문화로 규정
갑오경장 전후
-가정의례의 절차만을 간추린 사례편람 간행
-1894년 갑오경장 : 신분제도 철폐
-의상의 변화 : 도포
1910년 이후
-1910년 : 국권 상실과 일본의 생활문화 침투
-1945년 : 해방이후 서구 문화 범람으로 미풍양속의 예절이 흔들림
-1950년 한국전쟁
예절이란?
-관행성, 사회계약적, 생활 규범
-의사소통의 수단
-공자 : 예와 인은 모두 사람 사이에서 일어나는 하나의 감정 표현
-예의 기본은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행동
<3주 2차시>
학습목표
배례의 기본과 남자의 절 동작을 이해한다
학습내용
공수법과 남자의 배례법을 익힌다
절 예절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인사법으로 상대방에 대한 공경을 나타내 보이는 기본적인 동장
-큰 절과 평절, 반절이 있으며 남자와 여자가 절을 하는 방법이 다름
-몸을 상대적으로 낮추는 수직형 인사
-절이라는 말 자체가 몸을 낮추기 위해 발을 절다에서 비롯됨
공수
-우리나라 사람의 공손한 자세에서 손의 모습(두 손을 앞으로 모아 맞잡는 것)
-의식행사에 참석하거나 전통배례를 할 때 또는 어른 앞에서 공손한 자세를 취할 때 공수한다
-남자와 여자가 다르고 평상시와 흉사시가 다름
공수의 기본 동작
-두 손의 손가락을 가지런히 붙여서 편 다음, 앞으로 모아 위로 가는 손바닥으로 아래 손의 등을 덮어서 포개 잡으며 두 엄지 손가락은 깍지 끼듯이 교차시킨다
-소매가 좁은 평상복을 입었을 때는 공수한 손의 엄지가 배꼽부위에 닿도록 자연스럽게 앞으로 내린다.
-공수하고 앉을 때는 공수한 손의 위치는 남자는 두 다리의 중앙에 얹고 여자는 오른 쪽 다리 위에 얹으며, 남녀 모두 한 쪽 무릎을 세우고 앉을 때는 세운 무릎 위에 얹는다
공수의 기본 동작
평상시 및 흉사시의 공수법
남자
여자
평상시 공수
왼손이 위로 가게
오른손이 위로 가게
흉사시 공수
오른손이 위로 가게
왼손이 위로 가게
남좌여우
-평상시 공수(남자 : 왼손, 여자 : 오른손)
-남녀가 나란히 서서 절할 때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 쪽에 섬
-음향오행에 따라 남자는 하늘 ,여자는 땅
‘남좌여우’ 는 ‘남동여서’ : 자기 자신을 기준으로 했을 때 남자는 양이므로 해뜨는 쪽,
즉 동쪽의 방위가 자신이 되고 여자는 음이므로 해지는 쪽 서쪽의 방위가 자신이 되는데 이를 ‘남동여서’ 라 한다.
예절 방향
-자연방향 : 동서남북
-예절방향 : 상석을 북쪽으로 간주(예 : 임금님, 결혼 주례 등)
-상석의 좌가 동, 우가 서
-상석의 앞이 남, 뒤가 북
-따라서 예절의 좌우란 상석 어른의 좌우이다.
실내(방, 거실)에서의 상석은?
- 출입문을 피한다.
- 번거롭지 않는 장소
- 아랫목에서 바깥 경치가 잘 내다보이는 곳
-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곳
- 여유있는 공간
- 상석의 맞은 편이 주인석이다.
(돌발퀴즈) 다음 중 남좌여우의 예절방향과 같은 것은?
1.남서여동 2.남북여남 3.남동여서 4.남남북녀
남자의 전통 배례
-기본 동작
1) 공수한 자세로 선다
2) 허리를 굽혀 공수한 손으로 바닥을 짚는다(손을 벌리지 않는다)
3) 왼쪽 무릎을 먼저 꿇는다
4) 오른쪽 무릎을 왼쪽과 가지런히 꿇는다
5) 왼발이 앞(아래)이 되게 발등을 포개며 뒤꿈치를 벌리고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6) 팔꿈치를 바닥에
학습목표
-절 예절을 익힘으로써 종적으로는 공경과 자애심을, 횡적으로는 겸양과 평화가 정신적 근저를 이루어 뿌리 있는 세계인이 되게 한다.
-세계화 시대에 우리 것의 소중함을 일깨운다
-동방예의지국인 우리나라 예절의 전통과 역사적 변천을 이해한다.
학습내용
-세계화 시대의 전통예절
-동방예의지국
-우리 예절의 역사적 변천
세계화와 우리 것
박동진 우리 것은 소중한 것이여
우리 것을 이야기하면
(60년대에는)
-고루하다
-진취성이 없다
-골동품으로 틀어박혀 있어야 할
-바깥 세상을 모르는 무식한 사람
(그러나 지금은)
-해외에서의 한국산 브랜드의 기술력 인정
-한류 열풍
코스모폴리탄과 국제화
-국가를 초월한 시야가 넓은 사고와 외국에 대한 폭넓은 지식을 지닌 앞서가는 사람으로 인식
코스모폴리탄 - 1960년대
국제화 - 가장한국적인 것이 가장 국제적인 것이다
세계화 - 무한경쟁시대
선진국의 경우
-선진국은 자기문화를 보존하고 남의 무형 유형의 문화도 수용
-군사 경제 정보 산업 과학기술 지적소유권 등도 선점
-무한경쟁은 허약한 어린아이와 건강하고 힘센 어른이 싸우는 것과 마찬가지다
세계화 시대에 우리의 할 일
-줏대를 세우고 중심을 잡아 나가는 일
우리 것 +남의 것
->우리 것을 알아 그것이 기본이 되고 남의 것을 잘 이해 소화하여 우리 것과 남의 것이 하나가 되어야 함
초빙강사 정일순 선생님 소개 및 인사말
-전남대학교 경영대학원 수료
-광주유교대학 수료
-성균관 여성 유도회 예학원 수료
-성균관 여성 유도회 예사범 2급
-관주 전남 미술대전 서예 초대작가(심사 위원 역임)
-어류 서예 초대 작가전
-광주 향교 전례위원
강의목표
-예의생활/자기관리
-우리 예절의 변천
우리나라는 예절의 나라
-동방예의지국 :공자의 7대손 공빈이 동이열전에서 언급
-우리의 예절은 우리 고유의 문화유산
-중국 송나라 학자 주자가례를 받아들였지만 우리 문화와 다른 것은 수용하지 않음
주자가례와 우리가례의 차이
(혼례의 경우)
-주자가례 : 남자 집에서 여자를 데려와 예식을 올리고 부부가 된다.
-우리가례 : 여자 집에서 예식을 올리고 부부가 되며 남자가 장가간다 한다
우리 예절의 역사적 변천
-우리 문화유산의 소실(서기688년 고구려 멸망시 당나라 장군 이세훈에 의해 소각)
-중국문화의 유입
-오교
-오륜 (군신유의, 부자유친, 부부유별, 장유유서, 붕우유신)
우리예절의 역사적 변천
-586년(신아 진평왕 8년):예절을 관창하는 예부를 둠
-혼인윤리 : 1147년 5촌까지의 근친혼 금함
-1308년 성이 다르더라도 4촌 이내면 혼인 금지
-조선조에 들어와 동성동본 혼인 금지
-1475년(조선 성종 6년):나라의 예절을 정하는 국조 오례의를 펴냄
예학의 종장 사계 김장생 선생
-상례비요, 가례즙람
-기본예절의 응용방법을 다룬 사례편람
-우리 현실과 풍속에 맞도록 우리 예절을 고유문화로 규정
갑오경장 전후
-가정의례의 절차만을 간추린 사례편람 간행
-1894년 갑오경장 : 신분제도 철폐
-의상의 변화 : 도포
1910년 이후
-1910년 : 국권 상실과 일본의 생활문화 침투
-1945년 : 해방이후 서구 문화 범람으로 미풍양속의 예절이 흔들림
-1950년 한국전쟁
예절이란?
-관행성, 사회계약적, 생활 규범
-의사소통의 수단
-공자 : 예와 인은 모두 사람 사이에서 일어나는 하나의 감정 표현
-예의 기본은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행동
<3주 2차시>
학습목표
배례의 기본과 남자의 절 동작을 이해한다
학습내용
공수법과 남자의 배례법을 익힌다
절 예절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인사법으로 상대방에 대한 공경을 나타내 보이는 기본적인 동장
-큰 절과 평절, 반절이 있으며 남자와 여자가 절을 하는 방법이 다름
-몸을 상대적으로 낮추는 수직형 인사
-절이라는 말 자체가 몸을 낮추기 위해 발을 절다에서 비롯됨
공수
-우리나라 사람의 공손한 자세에서 손의 모습(두 손을 앞으로 모아 맞잡는 것)
-의식행사에 참석하거나 전통배례를 할 때 또는 어른 앞에서 공손한 자세를 취할 때 공수한다
-남자와 여자가 다르고 평상시와 흉사시가 다름
공수의 기본 동작
-두 손의 손가락을 가지런히 붙여서 편 다음, 앞으로 모아 위로 가는 손바닥으로 아래 손의 등을 덮어서 포개 잡으며 두 엄지 손가락은 깍지 끼듯이 교차시킨다
-소매가 좁은 평상복을 입었을 때는 공수한 손의 엄지가 배꼽부위에 닿도록 자연스럽게 앞으로 내린다.
-공수하고 앉을 때는 공수한 손의 위치는 남자는 두 다리의 중앙에 얹고 여자는 오른 쪽 다리 위에 얹으며, 남녀 모두 한 쪽 무릎을 세우고 앉을 때는 세운 무릎 위에 얹는다
공수의 기본 동작
평상시 및 흉사시의 공수법
남자
여자
평상시 공수
왼손이 위로 가게
오른손이 위로 가게
흉사시 공수
오른손이 위로 가게
왼손이 위로 가게
남좌여우
-평상시 공수(남자 : 왼손, 여자 : 오른손)
-남녀가 나란히 서서 절할 때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 쪽에 섬
-음향오행에 따라 남자는 하늘 ,여자는 땅
‘남좌여우’ 는 ‘남동여서’ : 자기 자신을 기준으로 했을 때 남자는 양이므로 해뜨는 쪽,
즉 동쪽의 방위가 자신이 되고 여자는 음이므로 해지는 쪽 서쪽의 방위가 자신이 되는데 이를 ‘남동여서’ 라 한다.
예절 방향
-자연방향 : 동서남북
-예절방향 : 상석을 북쪽으로 간주(예 : 임금님, 결혼 주례 등)
-상석의 좌가 동, 우가 서
-상석의 앞이 남, 뒤가 북
-따라서 예절의 좌우란 상석 어른의 좌우이다.
실내(방, 거실)에서의 상석은?
- 출입문을 피한다.
- 번거롭지 않는 장소
- 아랫목에서 바깥 경치가 잘 내다보이는 곳
-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곳
- 여유있는 공간
- 상석의 맞은 편이 주인석이다.
(돌발퀴즈) 다음 중 남좌여우의 예절방향과 같은 것은?
1.남서여동 2.남북여남 3.남동여서 4.남남북녀
남자의 전통 배례
-기본 동작
1) 공수한 자세로 선다
2) 허리를 굽혀 공수한 손으로 바닥을 짚는다(손을 벌리지 않는다)
3) 왼쪽 무릎을 먼저 꿇는다
4) 오른쪽 무릎을 왼쪽과 가지런히 꿇는다
5) 왼발이 앞(아래)이 되게 발등을 포개며 뒤꿈치를 벌리고 엉덩이를 내려 깊이 앉는다
6) 팔꿈치를 바닥에
추천자료
사교댄스
테이블 매너
중학교 가정 의파트
배구의 기술과 규칙 및 배구의 특성과 효과
영화 타이타닉에서의 매너사례
태평광기 19 馬周마주 이림보 곽자의 한황
[배드민턴기술] 배드민턴 완벽정리(배드민턴의 역사와 특징 및 배드민턴 기술과 배드민턴 효과)
고등학생(고등학교 청소년)의 준법의식과 노인부양의식, 고등학생(고등학교 청소년)의 사이버...
[현대인과 국제매너] 에티켓을 먹고 매너를 입어라 - 오리지널 테이블 매너 완전정복
1학년) <체육 학습지도안 (2차시)> 배구 : 언더핸드토스
인샬라 레포트
보육실습일지(어린이집 9월 4주간, 주간보육계획안, 실습생소감, 실습평가보고서)
인간관계의 이미지메이킹은 보육교사에게 어떠한 가치를 주는지 논하시오.
(포크 댄스 학습지도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