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호흡기 감염의 일반적인 특성
1.호흡기 감염의 원인과 특징
(1)감염원
(2)연령
(3)기도의 크기
(4)저항력
(5)계절적인 변이
2.호흡기 감염의 임상증상
3.호흡기 감염의 간호방법
(1)원활한 호흡
(2)휴식증진
(3)안위증진
(4)감염 전파의 예방
(5)체온의 하강
(6)영양 공급
(7)가족지지와 가정간호
(8)수화증진
(8)호흡기계의 사정방법 및 사정요소와 주의 사항
Ⅱ.간호
1.간호계획 #1
(1)간호진단
(2)간호목표
(3)간호중재
(4)기대되는 결과
2.간호계획 #2
(1)간호진단
(2)간호목표
(3)간호중재
(4)기대되는 결과
3.간호계획 #3
(1)간호진단
(2)간호목표
(3)간호중재
(4)기대되는 결과
1.호흡기 감염의 원인과 특징
(1)감염원
(2)연령
(3)기도의 크기
(4)저항력
(5)계절적인 변이
2.호흡기 감염의 임상증상
3.호흡기 감염의 간호방법
(1)원활한 호흡
(2)휴식증진
(3)안위증진
(4)감염 전파의 예방
(5)체온의 하강
(6)영양 공급
(7)가족지지와 가정간호
(8)수화증진
(8)호흡기계의 사정방법 및 사정요소와 주의 사항
Ⅱ.간호
1.간호계획 #1
(1)간호진단
(2)간호목표
(3)간호중재
(4)기대되는 결과
2.간호계획 #2
(1)간호진단
(2)간호목표
(3)간호중재
(4)기대되는 결과
3.간호계획 #3
(1)간호진단
(2)간호목표
(3)간호중재
(4)기대되는 결과
본문내용
식욕이 없는 아동에게 음식을 강요하는 것은 오심과 구토를 유발하거나 회복기나 기 이후로도 지속될수 있는 음식에 대한 혐오를 초래할 수 있다.
(7)가족지지와 가정간호
-호흡기 감염이 있는 어린 아동은 민감하고 편안해지기 어려워 가족은 지지, 격려, 안위 방법과 투약에 대한 실제적인 제안을 필요로 한다.
-해열제와 비점적제, 항생제가 필요할 수 있으며 경구용 항생제의 처방을 받은 아동의 부모는 아동이 아픈 것처럼 보이든 그렇지 않든 상관없이 규칙적인 투약과 처방된 시간에 지속적으로 약물을 투약해야하는 중요성을 이해해야 한다.
(8)수화증진
-아동이 열이 있거나 식욕부진, 구토나 설사가 있을 시 탈수의 증상으로 위험하다. 선호하는 음료로 부드럽게 설득하는 것이 성공적이며, 콜라, 과일주스, 콘시럽을 섞은 부드러운 단맛을 내는 음료같은 고칼로리 액체는 이화작용과 탈수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설사를 할 경우에는 피해야 한다.
(8)호흡기계의 사정방법 및 사정요소와 주의 사항
관찰사항
주의사항 및 사정방법
호흡
횟수-아동에 따라 빨라지거나, 정상이거나 혹은 느리다.
깊이-정상이거나, 너무 얕거나, 너무 깊거나를 사정한다.
힘든호흡-지속적이며, 간헐적이거나 계속 악화되며 휴식이나 운동시 갑작스럽게 시작되면 천명이나 그렁거림, 통증과 관련이 있다.
리듬-호흡 횟수와 깊이의 변화
기타관찰 사항
감염의 증거-체온의 상승, 경부림프선의 확대, 점막의 염증, 코, 귀, 폐의 점성 분비물
기침-현재 기침을 하고 있다면 기침의 특징을 관찰한다.
천명-흡기나 호기시 고음, 음악소리 같거나, 지속적이며, 점진적이거나 갑작스럽고, 힘든 호흡과의 관련성을 확인한다.
청색증-분포, 정도, 기간, 활동과의 관련에 대해 관찰한다.
흉통-나이든 아동의 주호소로, 위치와 상황에 주목한다. 구소적이거나 전신적이며, 목의 아래나 복부와 관련성, 둔하거나 날카롭거나, 깊거나 얕거나, 빠르고 얕은 호흡이거나 그렁거림과의 관련성을 확인한다.
객담-나이든 아동은 기침 시 객담표본을 채취할 수 있고, 어린 아동은 표본을 채취하기 위해 bulb 흡입이 필요하다.
나쁜 호흡-몇몇 폐감염과 관련된다.
Ⅱ.간호
1.간호계획 #1
(1)간호진단
-염증 과정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2)간호목표
-정상적 호흡기능을 나타낼 것이다
(3)간호중재
-최대 환기를 위한 자세를 취한단.
-편안한 자세를 취한다.
-아픈 아동의 횡경막이 눌리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옆으로
(7)가족지지와 가정간호
-호흡기 감염이 있는 어린 아동은 민감하고 편안해지기 어려워 가족은 지지, 격려, 안위 방법과 투약에 대한 실제적인 제안을 필요로 한다.
-해열제와 비점적제, 항생제가 필요할 수 있으며 경구용 항생제의 처방을 받은 아동의 부모는 아동이 아픈 것처럼 보이든 그렇지 않든 상관없이 규칙적인 투약과 처방된 시간에 지속적으로 약물을 투약해야하는 중요성을 이해해야 한다.
(8)수화증진
-아동이 열이 있거나 식욕부진, 구토나 설사가 있을 시 탈수의 증상으로 위험하다. 선호하는 음료로 부드럽게 설득하는 것이 성공적이며, 콜라, 과일주스, 콘시럽을 섞은 부드러운 단맛을 내는 음료같은 고칼로리 액체는 이화작용과 탈수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설사를 할 경우에는 피해야 한다.
(8)호흡기계의 사정방법 및 사정요소와 주의 사항
관찰사항
주의사항 및 사정방법
호흡
횟수-아동에 따라 빨라지거나, 정상이거나 혹은 느리다.
깊이-정상이거나, 너무 얕거나, 너무 깊거나를 사정한다.
힘든호흡-지속적이며, 간헐적이거나 계속 악화되며 휴식이나 운동시 갑작스럽게 시작되면 천명이나 그렁거림, 통증과 관련이 있다.
리듬-호흡 횟수와 깊이의 변화
기타관찰 사항
감염의 증거-체온의 상승, 경부림프선의 확대, 점막의 염증, 코, 귀, 폐의 점성 분비물
기침-현재 기침을 하고 있다면 기침의 특징을 관찰한다.
천명-흡기나 호기시 고음, 음악소리 같거나, 지속적이며, 점진적이거나 갑작스럽고, 힘든 호흡과의 관련성을 확인한다.
청색증-분포, 정도, 기간, 활동과의 관련에 대해 관찰한다.
흉통-나이든 아동의 주호소로, 위치와 상황에 주목한다. 구소적이거나 전신적이며, 목의 아래나 복부와 관련성, 둔하거나 날카롭거나, 깊거나 얕거나, 빠르고 얕은 호흡이거나 그렁거림과의 관련성을 확인한다.
객담-나이든 아동은 기침 시 객담표본을 채취할 수 있고, 어린 아동은 표본을 채취하기 위해 bulb 흡입이 필요하다.
나쁜 호흡-몇몇 폐감염과 관련된다.
Ⅱ.간호
1.간호계획 #1
(1)간호진단
-염증 과정과 관련된 비효율적인 호흡양상
(2)간호목표
-정상적 호흡기능을 나타낼 것이다
(3)간호중재
-최대 환기를 위한 자세를 취한단.
-편안한 자세를 취한다.
-아픈 아동의 횡경막이 눌리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옆으로
키워드
추천자료
[인문과학] 아동 case study
어린이 심장병 이야기
만성폐쇄성 폐질환 케이스
COPD케이스스터디
무기폐, 흉곽천자, 폐기능검사, 폐섬유증, 진폐증
[간호][환자간호][환자][간호 사례][환자 간호 사례]심근경색환자 간호, 심도자술환자 간호, ...
천식의 병태생리와 간호과정에 따른 간호중재
폐렴, 천식 케이스
소아과 case study (진단명: croup)
위식도염 간호중재 (Gastroenteritis)
기관지 천식 (Asthmatic bronchiolitis) 간호중재
[의약학] [성인간호학][만성폐쇄성폐질환][COPD]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소아과 사전학습
요로감염 문헌고찰 (UTI, urinary tract infectio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