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철생산량의 발달
II. 철생산시설의 발전
III. 유색금속 생산 기술의 발달
1. 구리 생산량의 증가
2. 동생산기예
IV. 금속가공기예
1. 주조기예의 발달
ⅰ) 금속통화 주조
ii) 가마 주조
2. 유기수공업에서 종합가공기예
3. 온도 조절 기술
II. 철생산시설의 발전
III. 유색금속 생산 기술의 발달
1. 구리 생산량의 증가
2. 동생산기예
IV. 금속가공기예
1. 주조기예의 발달
ⅰ) 금속통화 주조
ii) 가마 주조
2. 유기수공업에서 종합가공기예
3. 온도 조절 기술
본문내용
이러한 철 생산량 증가는 다음과 같은 사실에서 알 수 있다. 다른 시기에 비해 조선 후기에는 철로 된 상품의 거래가 활발하였다. 철 뿐 아니라 쇠까지 생산과 상품화가 증가하였다.
철생산시설의 발전
조선 후기의 철 생산 시설 규모의 확충과 철 생산 기술의 발전은 조선 전반에 걸친 생산 시설들의 급속한 발전과 동떨어져 있다고 생각할 수 없다. 조선 후기의 철 원자재 및 제품의 생산 시설들이 확장 및 이만큼 발전한 점에 있어서는 한 마을에서 대략 서른 명 정도의 노동자들이 합심해서 일을 하는 철 생산 단위 조직의 발생으로 인한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하나의 철 생산 단위에서는 철이 다수 포함된 암석을 녹여 철로 된 제품인 화로, 가마솥, 작두, 가래 등을 만들었다. 이러한 제품의 생산량 증가에는 가마 크기의 증가도 큰 역할을 담당했다. 조선 전기나 중기의 가마의 수가 충분하지 않아 마을 단위의 철 제작이 불가능했던 것과 비교하여 조선 후기에는 큰 마을마다 가마가 들어서게 되면서 위에서 말했던 서른 명 정도의 철 생산 단위에서 철을 다량 생산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철 생산량의 증가에는 가마의 수 뿐 아니라 가마의 구조에도 큰 변화가 있었다. 철을 녹이기 위해서는 대단히 높은 온도가 필요하고 이러한 고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땔감과 동시에 많은 양의 산소가 필요하다. 기존의 가마에는 이러한 산소 공급 장치인 창문의 크기가 작아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았던 것과 비교하여, 조선 후기의 가마에는 충분한 양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통로와 충분한 통기량이 확보되었기 때문에 위에서 말했던 철의 생산이 용이하게 이루어졌던 것이다.
유색금속 생산 기술의 발달
조선 후기에는 유색 금속의 생산 및 제강 기술이 발달하였는데 특히 그중에서도 구리의 생산 기술이 발전하였다. 이 시기의 구리 생산 기술의 발전은 구리를 생산하는 가마 수의 증가와 그 당시의 생활을 엿볼 수 있는 구리 생산 과정 경로를 통해 알아 볼 수 있다.
1. 구리 생산량의 증가
조선 후기에 이르러 화폐가 유통되기 시작하면서 많은 구리 화폐가 생산되었다. 이러한 화폐는 점차 이용이 확대되며 많은 양이 생산되었고 또한 다양한 종류의 구리 제품들이 생산되었다.
2. 동생산기예
지금까지 널리 알려지고 진압되고있는 동광물은 다수에 달한다. 이 시기 등은 세 과정에 걸쳐 생산되었다. 첫 과정에서는 황을 태워버리고 두 번째 과정에서는 동광석을 녹여 황쇠를 만들며 세 번째 과정이서는 쇠안에 있는 황과 철을 산화시킨다(. 이때 얻어진 동은 순도가 높은 동이었다.
표기에 의하면 이 시기에는 세 과정에 따르는 용광로 첫 과정에 타당한 용광로, 두 번째 과정에 타당한 용광로, 세 번째 과정에 타당한 용광로가 있었으며 송풍설치로서 생산할 때 쓰는 연장들이 있었다.
용융경로에 동광석은 환원되고 연과 아연 포합물은 환원 또한 승화되며 철과 버럭구성성분들은 슬라크로 된다. 이때 비중차별에 의하여 로밑에, 찌끼는 그우에 있게 되며 찌끼는 로에 뚫어놓은 구멍을 통하여 밖으로 나온다. 이와 같은 공정이
철생산시설의 발전
조선 후기의 철 생산 시설 규모의 확충과 철 생산 기술의 발전은 조선 전반에 걸친 생산 시설들의 급속한 발전과 동떨어져 있다고 생각할 수 없다. 조선 후기의 철 원자재 및 제품의 생산 시설들이 확장 및 이만큼 발전한 점에 있어서는 한 마을에서 대략 서른 명 정도의 노동자들이 합심해서 일을 하는 철 생산 단위 조직의 발생으로 인한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러한 하나의 철 생산 단위에서는 철이 다수 포함된 암석을 녹여 철로 된 제품인 화로, 가마솥, 작두, 가래 등을 만들었다. 이러한 제품의 생산량 증가에는 가마 크기의 증가도 큰 역할을 담당했다. 조선 전기나 중기의 가마의 수가 충분하지 않아 마을 단위의 철 제작이 불가능했던 것과 비교하여 조선 후기에는 큰 마을마다 가마가 들어서게 되면서 위에서 말했던 서른 명 정도의 철 생산 단위에서 철을 다량 생산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철 생산량의 증가에는 가마의 수 뿐 아니라 가마의 구조에도 큰 변화가 있었다. 철을 녹이기 위해서는 대단히 높은 온도가 필요하고 이러한 고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땔감과 동시에 많은 양의 산소가 필요하다. 기존의 가마에는 이러한 산소 공급 장치인 창문의 크기가 작아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았던 것과 비교하여, 조선 후기의 가마에는 충분한 양의 산소를 공급할 수 있는 통로와 충분한 통기량이 확보되었기 때문에 위에서 말했던 철의 생산이 용이하게 이루어졌던 것이다.
유색금속 생산 기술의 발달
조선 후기에는 유색 금속의 생산 및 제강 기술이 발달하였는데 특히 그중에서도 구리의 생산 기술이 발전하였다. 이 시기의 구리 생산 기술의 발전은 구리를 생산하는 가마 수의 증가와 그 당시의 생활을 엿볼 수 있는 구리 생산 과정 경로를 통해 알아 볼 수 있다.
1. 구리 생산량의 증가
조선 후기에 이르러 화폐가 유통되기 시작하면서 많은 구리 화폐가 생산되었다. 이러한 화폐는 점차 이용이 확대되며 많은 양이 생산되었고 또한 다양한 종류의 구리 제품들이 생산되었다.
2. 동생산기예
지금까지 널리 알려지고 진압되고있는 동광물은 다수에 달한다. 이 시기 등은 세 과정에 걸쳐 생산되었다. 첫 과정에서는 황을 태워버리고 두 번째 과정에서는 동광석을 녹여 황쇠를 만들며 세 번째 과정이서는 쇠안에 있는 황과 철을 산화시킨다(. 이때 얻어진 동은 순도가 높은 동이었다.
표기에 의하면 이 시기에는 세 과정에 따르는 용광로 첫 과정에 타당한 용광로, 두 번째 과정에 타당한 용광로, 세 번째 과정에 타당한 용광로가 있었으며 송풍설치로서 생산할 때 쓰는 연장들이 있었다.
용융경로에 동광석은 환원되고 연과 아연 포합물은 환원 또한 승화되며 철과 버럭구성성분들은 슬라크로 된다. 이때 비중차별에 의하여 로밑에, 찌끼는 그우에 있게 되며 찌끼는 로에 뚫어놓은 구멍을 통하여 밖으로 나온다. 이와 같은 공정이
키워드
추천자료
조선후기 실학파의 교육철학
조선후기 사회상에 비추본 <흥보전>의 의의
조선후기 어업에 대한 연구
조선후기 풍속화의 발생과 근대성
[조선후기 사상계의 변화와 실학]
규합총서를 통해 본 조선후기 민간의료
[조선성리학]실학자 정약용과 성리학의 사상
[성리학][고려][조선]성리학의 기본이념, 성리학적 인간 이해, 고려말 성리학과 조선초의 성...
조선의 상인
조선후기의 국학연구
조선 후기 문화 매거진
조동일 한국문학통사(제4판) 3권 9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기 문학 : 제1기 조선후기)
실학(實學) 사상(思想)의 개괄(槪括) (주자학, 조선말의 사회적 배경, 실학 사상의 발생, 실...
중국 ‘조선족’의 역사는 무엇인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