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딕건축(고딕건축양식)의 의의와 특성, 고딕건축(고딕건축양식)의 흐름, 고딕건축(고딕건축양식)의 인문적 상황, 고딕건축(고딕건축양식) 형성조건, 고딕건축(고딕건축양식) 요소, 고딕건축(고딕건축양식) 공간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딕건축(고딕건축양식)의 의의와 특성, 고딕건축(고딕건축양식)의 흐름, 고딕건축(고딕건축양식)의 인문적 상황, 고딕건축(고딕건축양식) 형성조건, 고딕건축(고딕건축양식) 요소, 고딕건축(고딕건축양식) 공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고딕건축(고딕건축양식)의 의의

Ⅲ. 고딕건축(고딕건축양식)의 특성

Ⅳ. 고딕건축(고딕건축양식)의 흐름
1. 초기 고딕 건축, 1140~1200년경
1) 성 드니 성당의 콰이어부분, 파리 근교, 1140~1144년경
2) 라옹 성당, 파리 북동부, 1160~1205년경
3) 노트르담 성당, 파리, 1163~1250년경
2. 성기 고딕 건축, 1200~1250년경
1) 샤르트르 성당, 프랑스, 1134~1220년경
2) 랭스 성당, 프랑스, 1211년 착공, 쟝 도르베
3) 아미앙 성당, 프랑스, 1220~1236년경, 로베드 드 뤼짜르쉐
3. 후기 고딕 건축, 1250~1450
1) 솔즈베리 성당, 영국, 1220년경 착공
2) 밀라노 성당, 이탈리아, 1386년경 착공

Ⅴ. 고딕건축(고딕건축양식)의 인문적 상황
1. 역사적 상황
2. 지리적 상황
3. 사회적 상황
4. 도시의 상황
5. 문학적 상황
6. 종교적 상황
7. 교육적 상황
8. 철학적 상황
9. 예술적 상황
10. 군사적 상황
11. 문화적 상황

Ⅵ. 고딕건축(고딕건축양식)의 형성조건
1. 인문적 조건
2. 기술적 조건
3. 고딕건축의 역사성 중요성
4. 고딕건축의 요소들

Ⅶ. 고딕건축(고딕건축양식)의 요소

Ⅷ. 고딕건축(고딕건축양식)의 공간

참고문헌

본문내용

해 앞의 내딛는 발걸음 하나 하나가 무겁기 그지없다. 시선은 정점을 향해 그 수직선을 타고 오른다. 하지만 동선은 결코 그것을 따라 오르지 못한다. 반대로 시선 끄트머리가 상승하는 만큼 그것과 시점과의 거리는 멀어진다. 그리고 시점과 시선 끝 사이의 그 거리가 멀어지는 만큼 시점은 하강한다. 하강으로서의 수직선은 상승으로서의 수직선의 이면이다. 정점과 그것을 보는 시점은 그런 방식으로 관계 지어진다. 정점과 시점의 대응. 보는 자의 위치는 그 관계 속에서 하나의 대응점이 된다. 그리고 저 아득한 정점과의 축소될 수 없는 거리(distance)! 그것은 아마도 신과 인간 간의 결코 축소될 수 없는 거리일 것이다. 그리고 시선과 동선의 간격을 무한히 늘리는 수직성의 운동. 이를 고딕적인 거리화라는 말로 개념화할 수 있지 않을까? 고딕적인 거리화는 간단하게는 시점과 동선의 관계를 통해 정의되지만, 그것은 정확하게는 이미 고딕 공간의 배치를 형성하는 기계적 요소들과 시선 및 동선의 관계를 응축한다. 위압적인 장대한 스케일, 장축적인 평면과 장축성을 강화하는 분절구조, 공간형태의 수직주의, 시선을 재영토화하는 고딕적인 가시성의 정점화된 배치, 그리고 이러한 배치 상에서 시선과 동선의 관계가 그것이다. 이런 점에서 우리는 정점형 배치와 고딕적 거리화라는 개념을 통해 고딕의 공간적 배치를 특징지을 수 있을 것이다. 고딕의 정점화된 배치 안에서 작동하는 이러한 거리화는 고딕적 공간 안에서 특정한 형태의 행위를 반복적으로 생산한다. 예를 들면, 앞서 보았듯이 고딕의 정점화된 가시성의 배치는 있으되 보지 못하는 눈을, 다만 신의 나라에서 영토화되고 코드화된 빛으로 채워지는 눈을 생산한다. 그것은 신이 보게 하는 것을 본다. 그것이 심지어 거기서 벗어나려 할 때조차 정점으로, 빛의 발원점으로 다시 끌어들인다. 이는 계시를 듣고 받아들이는 귀, 그리고 그것을 전하는, 따라서 있되 말하지 못하는 입과 짝을 이룬다. 눈이나 귀가 비로소 보고, 듣고자 할 때조차 그것은 규명(manife-sto) 내지 해명(clarification)을 통해 신앙으로 재영토화된 이성에 의해 포획되고 코드화된다. 믿기 위해 이해하라! 또한 시선과 동선의 간격을 확장하는 방식으로 작동하는 거리화는 고유한 주체-효과를 갖는다. 예를 들면 장대한 스케일은 들던 고개를 숙이게 하고, 수직선의 거대한 무게는 멈추어 무릎꿇게 하며, 그의 얼굴에서 가책(呵責)의 안면성(visag?t?을 새긴다. 내 탓이오, 내 탓이오, 내 탓이로소이다! 시선은 상승하지만, 그것은 정점을 향한 무한의 운동 속에서 정점을 우러르는 한계 안에서만 작동한다. 조용히 모은 손. 주여 우리를 불쌍히 여기소서!--중세에 인간이 되는 법, 혹은 고딕적인 주체의 생산을 이러한 배치의 효과로써 설명한다면 지나친 단순화일까? 신과 인간, 정점과 시점 사이의 관계를 이처럼 고딕적 거리화라는 개념으로 파악한다면, 그 정점을 중심으로 한 시점들 간의 상호관계 역시 이러한 거리화의 메커니즘 안에서 정의될 수 있다. 즉 분산되어 있는 시점들 간의 관계는 정점과 시점의 대응관계를 통해서 형성된다. 정점과 시점 사이의 이중의 거리가 그 관계에 끼어든다. 마찬가지로 신과 사람의 정점형 대응 관계 사이에서 사람들이 서로 관계지워지려면 그 정점을 통과하고 내포해야 한다. 여기에도 신과 사람간의 이중의 거리가 그 관계 사이에 끼어든다. 그러나 정점과 시점, 신과 사람 사이에 존재하는 무한의 경직된, 결코 축소되지 않을 거리는 그러한 관계를 무한의 심연으로 갈라 놓는다. 신과 인간간의 관계야 어차피 그런 무한의 거리를 사이에 두고 있다지만, 이처럼 사람간의 관계가 무한의 심연으로 갈라져 있다면 그 관계가 사실은 불가능해진다는 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두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는 이 무한한 이중의 심연을 유한한 어떤 거리로 치환하는 것이다. 이는 거리를 제한해 일상 속으로 삽입하는 방법이다. 신의 뜻을 대행하는 대행자 내지 중간자로서 성직자가 사람들 사이에 끼어든다. 신은 이제 이 대행자인 사제를 통해서 사람들이 서로 관계지워지도록 한다. 예컨대 출생에서 결혼, 죽음에 이르기까지 사람들의 현세적인 관계는 이 사제의 대행을 통해서 신의 이름으로 승인된다. 이는 사람들간의 관계가 신과 인간간 관계로부터 구분, 분리됨을 뜻한다. 무한의 거리가 끼어든 관계와 유한한 거리로 대행되는 관계. 성과 속, 종교 생활과 일상 생활의 분리. 이는 믿음과 이해, 신앙과 이성, 신학과 철학의 구분과도 상응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분은 종종 극단화되어 이성을 신앙에서, 이해를 믿음에서 절대적으로 분리하는 신비주의로 나타난다. 유명론자로 유명한 옥캄의 윌리엄 수도사는 이러한 생각을 잘 보여준다.
다른 또 하나의 방법은 이 무한의 거리를 내재화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신을 인간의 내부로 끌어들였던 루터의 방법이 그렇다. 프로테스트(protest)란 단지 면죄부를 팔아 성당을 짓는 교황청에 대한 저항일 뿐만 아니라, 오히려 근본적으로는 신과의 거리를 유한화하는 데 대한 이들의 항의였다. 이는 무한의 거리를 아예 모든 일상과 세속적 세계 안으로 끌어들이는 것이다. 이제 인간은 일상 속에서도 그 무한과 직접적으로 대면하게 되지만, 이는 사람들 간의 관계를 신과의 관계로 환원해버리는 것이었다. 프로테스탄트들이 감내해야 했던 무한의 고독이 어쩌면 바로 여기서 연원하는 것은 아니었을까? 그러나 이러한 방법이 사람들 간의 현세적 관계를 매개하기 위한 또 다른 매개를 수반해야 했다는 점에서, 지극히 불완전한 방법이었던 셈이다.
참고문헌
신현숙(2004), 근현대 건축에 나타나는 고딕건축의 영향에 관한 연구 : 교회 건축을 중심으로, 동의대대학원 석사
사카이 다케시 저, 이경덕 역(2009), 고딕 불멸의 아름다움(국판), 다른세상
서현 저(2009), 건축을 묻다(서현의 인문적 건축론, 예술, 건축을 의심하고 건축, 예술을 의심하다), 효형출판
윤정근 외(2005), 서양건축사, 기문당
조나단 글랜시, 건축의 세계, 21세기북스
Carol Strickland(2003), 클릭, 서양건축사 - 스톤헨지에서 해체주의까지
  • 가격6,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10.0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54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