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우주로의초대족보 및 핵심요약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대]우주로의초대족보 및 핵심요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08-09년 기출문제

우주로의 초대 핵심요약

본문내용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이 목표는 1969년 아폴로 11호에 의해 달성되었다.
→ 아폴로 계획은 1970년대 초반까지 여섯 차례의 성공적인 달 착륙으로 이어졌다.
→ 2007년 현재 지구 저궤도 비행을 제외하고는 유인 우주 비행 실험은 실시되지 않고 있다.
→ 아폴로 13호는 장비의 고장으로, 달 궤도만을 선회하고는 간신히 지구로 귀환했다.
② NASA(미국 항공 우주국)
→ 1957년 10월 옛 소련의 인류 첫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 발사 성공에 자극을 받아 1958년 7월 29일에 창설되었다.
③ 아폴로 9호의 달착륙선
→ 10일간 우주에서 체류하고, 지구 궤도상에서 3대의 우주선을 조작해, 달 궤도상에서 행하는 것과 같이 사령선과 달 착륙선을 떼어내 재도킹시켰다. 아폴로 우주선에 의한 궤도상에서의 랑데부와 도킹이 가능한 것이 아폴로 9호로 증명되었다.
④ 아폴로 계획
→ 미국은 1966년까지 ‘제미니 4호’에 의한 우주유영과 ‘제미니 7호’에 의해 달에 가고 오는데 필요한 시간보다 많은 330시간의 우주체류기록을 세웠다.
→ 최초의 달 착륙 우주인이 될 암스트롱이 탑승한 ‘제미니 8호’가 세계 최초의 우주도킹에 성공함으로써 달에 가기 위한 모든 기술을 확보했다
→ 미국의 달로켓은 폰 브라운에 의해 개발된 새턴V 로켓이었다.
→ 아폴로 11호의 달착륙선인 ‘독수리’〔eagle〕가 ‘고요의 바다’에 착륙한 것은 1969년 7월 20일
→ 아폴로우주선은 우주정거장인 스카이랩계획으로 옮겨갔다.
⑤ 머큐리 계획에 의해 발사된 유인 우주선
→ 머큐리계획 : 미국 최초의 인간 우주 비행 계획. 소련의 인간 우주 비행을 앞지르고자 미국에서 시도하였다. 1962년에 프렌드십 7호로 인공위성 비행에 처음으로 성공하여, 이듬해 제미니 계획으로이어졌다.
3주차 3차시 무인탐사선 활약과 미래의 우주개발
① 무인 탐색선
→ 무인 우주선 또는 로봇 우주선은 인간의 탑승 없이 로봇 기술에 의해 원격에서 조종되는 우주선을 말한다. 특히 무인 우주선 가운데 우주에 대한 과학적인 관측과 실험을 위해 발사된 것은 우주 탐사기라고 한다.
② 무인 탐색선의 활약
→ 과학위성(Scientific Satellite)은 지구와 지구 주변의 환경을 관측하고 각종 우주과학 실험을 수행하는 인공위성을 말한다.
→ 세계 최초의 과학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에는 지구의 대기 밀도를 측정하기 위한 장비가 탑재되어 있었다.
→ 1990년에는 허블(Hubble) 우주망원경이 설치되어 우주탄생의 비밀을 파헤치는 데 큰 몫을 하고 있다. 90년대에는 무인자동화 기술과 컴퓨터의 발달로 과학 위성이 우주실험실로 이용되고 있다.
→ 특히 미국, 일본, 유럽이 함께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 국제우주정거장 ISS(International Space Station)는 거대한 구조물의 우주정거장이다. ISS는 과학 실험장 역할을 맡아 지구상에서는 수행할 수 없는 실험들을 수행하게 된다.
→ 군사위성(Military Satellite)은 첩보위성이라고도 불리며, 정찰, 통신, 경보, 항해 등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인공위성을 말한다. 냉전체제 당시 미국과 소련이라는 두 강대국에 의해 많이 발사됐다. 적의 상공에서 사진 촬영을 하고, 상대의 미사일 발사를 탐지해 알리기도 하며, 군사용 통신에 사용되기도 하고, 군사용 GPS(위성항법장치)를 위해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목적이 밝혀지지 않은 비밀 위성도 많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인공위성들이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됐다. 하지만 경쟁적인 군사위성의 발사는 인공위성을 비약적으로 발전시켰다고 볼 수 있다.
→ 원격탐사위성(Remote Sensing Satellite)은 지구 관측위성으로도 불리며, 지구표면과 대기의 관찰, 사진촬영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지구의 표면, 대기 등을 관찰할 때는 주로 항공기를 이용하지만 빠른 시간에 넓은 범위를 관측하기 위해서는 인공위성이 효율적이다. 주로 지도를 정교하게 만드는 데 사용되어 왔으며, 원격탐사위성으로 인해 전 세계가 하나로 연결된 세계전도가 등장하였다. 또한 해저지형도도 작성할 수 있게 되었으며, 현재는 감시자로서 각종 지구 환경에 관련된 많은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 항행위성(Navigation Satellites)은 위치정보를 담은 전파를 발사해 선박, 비행기, 심지어는 개인까지 현재의 정확한 위치를 알려주는 위성으로, 항해위성이라고도 한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GPS(위성항법장치) 역시 항행위성을 이용한 장비이다. GPS는 처음엔 군사적 목적으로 개발됐지만 현재는 일반인은 물론, 항공기 관제, 지진 감시, 구조 등에 활용되고 있다.
→ 통신위성(Telecommunication Satellite)은 실생활과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위성이다. 우주 전파중계소 역할을 하는 인공위성으로 TV 신호나 음성신호 등을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보낸다. 지상에서 수신탑을 이용하면 빌딩과 산 등의 장애물에 의해 간섭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위성은 우주에서 전파를 쏘아주기 때문에 난시청지역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통신위성을 통해서 지구 반대편에서 하는 축구를 깨끗한 화면에 실시간으로 볼 수 있다.
→ 기상위성(Meteorological Satellite)은 좁은 의미로 기상관측을 주목적으로 설계해 발사된 인공위성을 말한다.
→ 최근에는 세계 각국에서 마이크로(Micro) 위성(10~100kg)과 나노(Nano) 위성(1~10kg), 심지어는 1kg 이하의 피코(Pico) 위성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는 비용과 효용성 측면에서 종래의 대형 위성(1천kg 이상)들에 비해 절대적으로 우위에 있기 때문이다. 한 개의 대형 위성을 발사하려면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고, 발사에 실패할 경우 입는 손해가 극심하다. 하지만 그 비용으로 목적에 맞는 여러 개의 작은 인공위성들을 쏘게 될 경우 비용이나 위험성을 고려할 때 큰 이득이 있다. 이렇게 작은 인공위성의 개발은 MEMS(Micro Electro-Mechanical System)기술과 같은 나노기술의 발달로 가능하게 됐다.
③. 마젤란 : 미국NASA에 의해 1989년 5
  • 가격2,500
  • 페이지수70페이지
  • 등록일2011.10.08
  • 저작시기201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69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