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판소리의 주제의식][판소리의 가창방식][판소리의 부흥운동][판소리의 해결과제]판소리의 의의, 판소리의 기원, 판소리의 주제의식, 판소리의 가창방식, 판소리의 부흥운동, 판소리의 해결 과제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판소리][판소리의 주제의식][판소리의 가창방식][판소리의 부흥운동][판소리의 해결과제]판소리의 의의, 판소리의 기원, 판소리의 주제의식, 판소리의 가창방식, 판소리의 부흥운동, 판소리의 해결 과제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판소리의 의의

Ⅲ. 판소리의 기원

Ⅳ. 판소리의 주제의식
1. 신분 상승의 욕구 표출
2. 새로운 상인 계급의 압박에 대한 비판
3. 유교적 덕목 의식

Ⅴ. 판소리의 가창방식
1. 추임새
1) 관중의 추임새
2) 고수의 추임새
2. 너름새
3. 단가

Ⅵ. 판소리의 부흥운동

Ⅶ. 판소리의 해결 과제
1. 판소리의 발생에 대한 논의
2. 판소리의 전성기에 이룩된 현상

참고문헌

본문내용

또한 ‘이야기’가 포함된다. 이야기를 장기로 삼는 예능인들, 곧 이야기꾼들이 있어 큰 활약을 했던 것이다. 그 이야기꾼들에 대한 정보를 우리는 일부 문헌자료를 통하여 엿볼 수 있다. 임형택이 정리하여 소개한 오물음(청구야담), 김중진(이향견문록), 김옹(초재집), 민옹(민옹전)과 열하일기 옥갑야화의 윤영 등이 그들이다. 이 이야기꾼의 능력에 대하여 문헌은 아래와 같은 기록을 남기고 있다.
(1) ‘이야기주머니’(說囊) 김옹은 이야기를 아주 잘 하여 듣는 사람들은 누구 없이 포복절도하였다. 그가 바야흐로 이야기의 실마리를 잡아 살을 붙이고 양념을 치며 착착 자유자재로 끌고 가는 재간은 참으로 귀신이 돕는 듯하였다.
(2) 익살과 이야기를 잘하여 인정물태를 묘사함에 당해서 곡진하고 섬세하기 이를 데 없었다.
(3) 그는 나에게 허생의 이야기와 염시도(廉時道), 배시황(裵是晃), 완흥군부인(完興君夫人) 등에 대한 이야기를 늘어놓되, 잇달아 몇 만언(萬言)으로써 며칠 밤을 걸쳐 끊이지 않았다. 그 이야기가 거짓스럽고 기이하고 괴상하고 휼황하기 짝이 없어서, 모두 들음직하였다.
현재 이들의 이야기를 직접 경험할 길은 없으나, 소개한 내용을 볼 때 이들이 뛰어난 이야기 능력으로 듣는 이들을 사로잡았음을 알 수 있다. 즉흥성이 가미된 뛰어난 재담 표현의 능력(김옹), 탁월한 묘사능력(김중진), 풍부하고 다양한 이야기 문서(윤영) 등이 확인된다. 윤영이 들려주었다는 허생 이야기나 염시도 이야기를 통해 볼 때 동시대적 삶의 문제가 정면으로 다루어졌다는 것도 짐작할 수 있다.
이처럼 문헌기록을 통해 과거 이야기꾼의 존재양상과 특성을 짐작해 볼 수 있으나, 그것은 그리 흡족치 못한 것이다. 기록에 남은 이야기꾼들은 주로 양반가 사랑을 드나들던 이들로서, 일반 시정공간(장터거리 등)에서 활동한 이야기꾼들의 실체가 제대로 확인되지 않는다. 그리고 당시 이야기꾼이 구연한 이야기 텍스트의 온전한 실체와 접할 수 없다는 점이 결정적인 문제점이다. 그래서인지, 임형택은 이야기꾼(강담사)의 예능이 소설 낭독꾼(강독사)이나 판소리꾼(강창사)에 비하여 비전문적이고 단조로운 편이었다고 추단하기도 하였다.
기록의 한계를 넘어서 당시 이야기꾼의 살아있는 모습에 다가서는 길이 없지 않다. 과거 이야기문화의 연속선상에서 활동하고 있는 현존 이야기꾼이 그 통로가 되어 줄 수 있다. 그러한 이야기꾼들이 실제로 조사 보고된 사례들이 있으니, 앞서 언급한 김한유봉원호씨와 심종구씨 등이 그들이다. 이들은 전문적인, 또는 전문적 수준의 이야기꾼들로서 과거 이야기판을 주름잡았던 이야기꾼들의 면모를 가히 짐작케 하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이들이 활동해온 이야기판이 대도시의 공원이라는 점이다. 그 중 탑골공원을 보면, 이곳은 매일 마다 천 명이 넘는 수많은 노인들이 모여들어 유동하는 전형적인 시정공간이다. 그 안에는 약을 늘어놓은 좌판, 음식 나누어주는 곳, 이발하는 곳, 침 놓는 곳 등이 있으며, 짝(?)을 물색하는 정체불명의 부인네들이 있다. 말하자면 이곳은 옛날 ‘장터거리’의 면모를 지니고 있다. 우리는 이 이야기판을 통해, 거기 활약하는 이야기꾼을 통해 과거 장터거리 이야기문화의 단면을 엿볼 수 있다.
그 이야기판의 성격과 관련하여 우리의 관심을 끄는 것은 자발적 청중의 숫자다. 탑골공원에는 정해진 이야기 장소가 있어 매일 마다 그곳에서 이야기판이 벌어지는데, 일단 이야기꾼이 구연에 나서면 보통 수십 명에서 백 명에 이르는 청중이 자발적으로 모여들어 이야기를 듣는다. 가장 인기 있는 이야기꾼인 김한유씨(금자탑) 같은 화자가 나서면 그 숫자는 더욱 늘어 금세 150명 내지 300명의 청중이 운집한다. 그들은 이야기 한마디 한마디에 귀를 기울이면서 재미있는 내용이 나올 때마다 기다렸다는 듯이 웃음을 터뜨린다. 이야기가 끝나면 박수를 보내면서 치사하는 것이 격식이다. 어디 그뿐이랴? 화자에게 음료수를 사서 바치는 사람들이 적지 않으며, 지폐를 꺼내서 주머니에 넣어 주는 사람도 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이야기를 통한 흥행의 문제다. 지금은 그만두었지만, 김한유씨는 이야기 구연이 끝나면 모자를 벗어서 사람들에게 이야기값을 받곤 하였었다. 짐짓 불쌍한 체하며 사람들의 동정을 이끌어내는데, 그 수법이 보통이 넘는다.
(4) 그런디, 여기 오먼 빵도 주구 라면도 줬대요. 예. 근디 오늘은 빵도 안 주구 라면도 안 주네요. 어제 일곱시 사십육분에 공항뻐스를 타고 종로3가에 가 내렸는데, 내가 놀던 공원이라고 와 보니 사람이 하나도

키워드

판소리,   서민,   소리꾼,   고수,   민속악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10.1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779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