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화, 신화, 전설, 민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설화, 신화, 전설, 민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설화 (장수진)
  1) 설화 참고
  2) 설화의 전반적인 특징
  3) 설화의 기능
 2. 신화 (하은지)
  1) 신화의 특징과 분류
 3. 전설 (이선민)
  1) 전설의 특징
  2) 전설의 분류
  3) 전설의 역사
 4. 민담 (이상준)
  1) 민담의 전반적 특성
  2) 민담의 분류
  3) 민담의 형식
  4) 민담에 나타난 민중 의식
 5. 신화 ․ 전설 ․ 민담의 차이 (장수진)
 6. 설화와 고전소설의 영향 관계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화, 수명 복록신 신화
- 한국인 모두가 신화로 인지하는 자료는 건국경위를 이야기한 국가 시조신화이다. 촌락의 시조 신화는 인지되어 있으며, 씨족 시조신화로 널리 알려진 10여 종의 자료는 국조신화적 성격을 가지며 이를 제외한 씨족 시조신화는 전설적 성격이 강한 자료들이다. 따라서 촌락 시조신화에 대해서는 논의를 생략하고 여기서는 국조신화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기로 한다.
국가 시조신화(국조신화)
*북방지역의 신화 : 고조선의 건국신화(단군신화) , 고구려 건국신화(주몽신화)
*남방지역의 신화 : 신라의 건국신화(박혁거세신화), 가락국 건국신화(수로왕신화)
-《삼국유사》《삼국사기》 《고려사(高麗史)》 《제왕운기(帝王韻紀)》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등 문헌에 기록되어있다.
북방지역의 신화
천신과 지신(또는 수신)의 혼례 -> 시조의 탄생 -> 건국의 순서로 전개된다.
두 신화의 공통된 지향의식은 하늘과 땅(또는 물)에 대한 신성관념이다. 즉 하늘의 상징인 남신과 땅의 상징인 여신이 지상에서 만나 혼례를 행하고 새로운 국가의 시조를 탄생시킨다는 것이다.
국가체제가 정비된 이후에 시조가 태어나서 이미 있었던 국가와는 다른 새로운 국가를 건국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단군 신화>
한민족 최초로 세운 조선의 개국과정을 이야기한 것으로 신화의 주역은 단군의 아버지인 환웅이지만 조선이라는 국가를 완비한 인물은 단군이고 조상제전에서 제향을 받은 존재 또한 단군이기 때문에 <단군신화>로 일컬어진다.
삼국유사에 수록되었다.
[줄거리].
옛날 환이라는 나라에 서자 환웅이 하늘 아래 인간 세계를 탐해서 구했다. 아버지는 아들의 의향을 알고 아래 세계를 내려다보니 태백산이 나라를 세울 만했다. 그래서 천신(天神)의 증표인 세가지 물건을 환웅에게 주시고 내려 보내어 다스리도록 했다. 환웅이 종자 삼천을 데리고 태백산 꼭대기 신단수 아래 하강해 신시(神市)를 처음 여니 이분이 곧 환웅천왕이다. 환웅은 바람, 비, 구름을 맡아 다스리는 신화를 거느리고 곡식, 수명, 질병, 형벌, 선악 등 인간의 360여 가지의 일을 주재했다.
그때 곰 한 마리와 범 한 마리가 같은 굴에 살면서 항상 환웅에게 사람이 되게 해 달라고 빌었다. 그래서 환웅은 신령스러운 쑥과 마늘을 그들에게 주고 말하건대, 너희들이 이것을 먹고 백일동안 햇빛을 보지 않으면 사람이 될 것이라고 했다. 곰과 호랑이가 금기를 지키다가 호랑이는 참지 못해 사람이 못 되고 곰은 금기를 지킨 지 스무하루 만에 사람의 형체를 얻어 여인이 되었다. 곰여인(웅녀)은 결혼할 상대가 없으므로 매일 단수 아래에서 잉태할 것을 기원했다. 그래서 환웅이 잠깐 신랑이 되어 웅녀와 혼인을 해 아들을 낳았는데 그 아들의 이름을 단군왕검이라 했다. 단군은 평양성에 도읍을 정하고 나라 이름을 처음으로 조선이라고 했다.(조동일외,2005.37,38)
+ 환웅이 신시를 개창하는 과정과 단군을 출생하는 과정으로 나누어진다.
+ 역사학자들은 환웅 = 천신숭배 숭배하면서 이주한 집단.
웅녀 = 곰을 토템으로 숭배한 토착부족
환웅과 웅녀의 혼인 단군의 탄생 = 천신숭배 부족과 곰 토템 부족이 통함해 새로운 집단을 탄생했음을 말해준다는 것이다.
+ 민속학자들은 환웅 = 고대의 제사장이면서 부족장이었던 존재로 해석한다.
=천부인은 고대무속사제가 가진 신성징표로서 거울, 방울, 칼을 말한다.
=환웅이 거느린 풍백, 운사, 우사등은 기후를 조절하는 주술사로서 농경부족의 족장이 기후조절권능이 있음을 말해준다는 것이다.
+곡(穀)· 명(命)· 병(病)· 형(刑)· 선(善)· 악(惡) 등 무릇 인간 360여가지 일을 맡아서 세상을 다스렸다.
+ 인본주의 사상(홍익인간) - 환웅은 천신적인 존재였으나 인간세상을 그리워하고 곰과 호랑이는 동물이면서 사람이 되기를 원했다는 점에서 또한 후대에 숭앙된 존재는 신이었던 환웅이 아니라 인간으로 탄생한 단군이라는 점에서 인본주의 사상을 엿볼 수 있다.
<주몽신화>
- <광개토대왕비(廣開土大王碑)><모두루묘지명(牟頭婁墓誌銘)><천남산묘지명(泉男産墓誌銘)>등의 비문에서부터 《삼국사기》《삼국유사》 《제왕운기(帝王韻紀)》 《응제시주(應製詩註)》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동국통감(東國通鑑)》 《필원잡기(筆苑雜記)》 등의 한국문헌자료 그리고 《후한서(後漢書)》 《위서(緯書)》 《당서(唐書)》 《주서(周書)》 《수서(隋書)》《북사(北史)》등 중국문헌에 수록되었다.
+한국의 대표적인 영웅 신화로서 <해모수 신화><주뭉신화><유리신화>의 삼대 신화가 집성된 것이다.
[줄거리]
주몽은 하늘의 신(神)인 해모수를 아버지로, 물의 신인 하백의 딸을 어머니로 하여 알로 태어난다. 어머니를 돌보던 부여 왕조의 금와왕은 상서롭지 않다 하여 알을 없앨 수 없게 되자 도로 알을 돌려 준다. 얼마 후, 알에서 한 아이가 태어났는데 그 아기는 매우 출중하고, 특히 활을 잘 쏘아, \'주몽\'이라 불리게 되었다. 금와왕의 일곱 아들이 그의 재주를 시기 하여 죽이려 하자, 이를 안 주몽의 어머니는 계략을 써 주몽이 기르던 말 중 가장 좋은 말을 타고 도망가게 한다. 엄수에 이르러 그들의 추격이 급박해지자 주몽은 하늘을 향해 자신이 하늘과 강의 신(神)의 자손임을 말하며 도움을 청한다. 이에 자라와 고기가 무사히 달아나도록 돕는다. 드디어 주몽은 남쪽 졸본에 이르러 고구려를 세우게 되고 인접 비류국의 송양왕과 주종 관계를 두고 다투는데 활쏘기, 계략, 주술로 그를 굴복시켜 세력을 떨친다.
+이 서사 구조는 대체로 ‘고귀한 혈통을 가짐 → 비정상적인 출생 → 기아(棄兒) → 천부적인 탁월한 능력 → 시련 → 시련의 극복과 위대한 승리’ 등의 형식을 따른다. 주몽 역시 그러한 인물이며 이러한 서사 구조는 현세적 성취를 강조하는 낙관주의적 세계관과 관련이 있다. 또, 출생의 과정에서 겪는 고난, 금와왕의 왕자들로 인한 고난, 고구려 건국 과정에서의 어려움 등과 같은 모든 고난은 주몽의 영웅적 능력을 표현하기 위한 장치들이다.
+천신과 수신에 대한 신성의식을 담고 있어 한국민족이 고대부터 천신숭앙과 수신숭앙이 강했음을 알려준다.
+햇빛이 유화의 몸을

키워드

설화,   국문,   민담,   신화,   전설,   고전소설
  • 가격2,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1.10.13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79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