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퇴비화의 개념
Ⅲ. 퇴비화의 특징
1. 퇴비의 물리화학적 특성
2. 퇴비의 중금속함량
Ⅳ. 퇴비화의 공정
Ⅴ. 퇴비화의 숙성도
Ⅵ. 퇴비화의 장단점
1. 퇴비화의 장점
2. 퇴비화의 단점
Ⅶ. 퇴비화의 평가
Ⅷ. 퇴비화의 극복 과제
Ⅸ. 결론
참고문헌
Ⅱ. 퇴비화의 개념
Ⅲ. 퇴비화의 특징
1. 퇴비의 물리화학적 특성
2. 퇴비의 중금속함량
Ⅳ. 퇴비화의 공정
Ⅴ. 퇴비화의 숙성도
Ⅵ. 퇴비화의 장단점
1. 퇴비화의 장점
2. 퇴비화의 단점
Ⅶ. 퇴비화의 평가
Ⅷ. 퇴비화의 극복 과제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공시키기 위하여는 극복과제가 여러 가지 존재하며 시설의 운전특성 파악 및 개선방안 도출이라는 기술적 과제 이외에 다음과 같은 사회구조적 과제들도 있다.
(1) 생산된 퇴비의 수요처 개발
(2) 퇴비관련 법규 및 제도의 제정 및 개정
(3) 퇴비화에 대한 홍보 및 교육
도시쓰레기 퇴비화를 성공시키기 위하여 가장 필요한 조치는 생산되는 퇴비의 수요처(시장)를 개발하는 것이다. 수요처 개발은 모든 폐기물 자원화기술이 필요로 하는 조치이다. 폐수나 배기가스는 처리 후에 자연수계로 방류하거나 대기로 방출하면 된다. 자연수계나 대기는 움직이는 수용처(moving receiver)이다. 그러나 폐기물 자원화의 경우 처리(자원화) 후 반드시 수요처가 존재하여야 완전한 자원화가 이루어지며 이 때 수요처는 퇴비화의 경우 식물/토양계가 될 것이다. 식물/토양계는 고정된 수용처(fixed receiver)로서 처리의 정도가 더욱 완벽춤을 요구하며 그러하지 못 경우 식물에 피해를 주게 된다.
도시쓰레기퇴비화의 성공을 위하여 필요한 두 번째 조치는 관련법규의 제정이다. 외국의 경우 퇴비화 및 퇴비와 관련된 규정을 최근에 제정하기 시작하였으며 우리나라도 조만간에 유기성폐기물의 퇴비화가 촉진될 수 있는 방향으로 관련규정이 개정되어야 할 것이다.
Ⅸ. 결론
현시점에 있어서 음식물류 폐기물로 생산된 퇴비의 경우 퇴비간의 품질차이가 다양하며, 저급으로 생산된 퇴비 시용 시 발생하였던 문제가 마치 모든 음식물류 폐기물로 생산한 퇴비의 문제인 것처럼 인식되는 등의 영향으로 앞서 기술된 사료에서의 예처럼 지난 5년 간 음식물류 폐기물의 자원화 지원 및 육성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었던 자원화 정책에도 더 이상 수요처가 확대되지 않고 있는 한계상황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수요에 대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산물의 이용처나, 산물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농지에만 퇴비를 사용하고 있지만, 퇴비의 질에 따라 적절한 등급화를 통해 시비 대상지역을 구분을 한다거나 저급퇴비의 경우 비농업용으로 분류하여 임야나 매립지 복토재 등의 이용개발 등을 통해 수요처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음식물류 폐기물로 생산되는 퇴비의 등급화 뿐 아니라 정부차원의 등급별용도별 적정 사용기준 제시가 필요하며, 현시점에서는 관련된 연구의 수행 및 관련자들의 의견조율이 있어야 한다.
참고문헌
시정개발연구원 : 음식물쓰레기 퇴비화시설 타당성 연구, 1993
정준교 : 음식쓰레기 퇴비의 숙성도 평가,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최의소 : 폐기물처리와 자원화, 청문각, 1992
최주섭 외 : 환경과학개론, 동화기술교역, 1998
한국유기성폐자원학회 : 폐기물자원화실무, 동화기술, 2002
Camp, Dresser and Mckee : Engineering Assessment of Vermicomposting Municipal Wastewater Sludges, EPA 600/2-81-075 U.S.EPA Cincinnati, Ohio, 1981
(1) 생산된 퇴비의 수요처 개발
(2) 퇴비관련 법규 및 제도의 제정 및 개정
(3) 퇴비화에 대한 홍보 및 교육
도시쓰레기 퇴비화를 성공시키기 위하여 가장 필요한 조치는 생산되는 퇴비의 수요처(시장)를 개발하는 것이다. 수요처 개발은 모든 폐기물 자원화기술이 필요로 하는 조치이다. 폐수나 배기가스는 처리 후에 자연수계로 방류하거나 대기로 방출하면 된다. 자연수계나 대기는 움직이는 수용처(moving receiver)이다. 그러나 폐기물 자원화의 경우 처리(자원화) 후 반드시 수요처가 존재하여야 완전한 자원화가 이루어지며 이 때 수요처는 퇴비화의 경우 식물/토양계가 될 것이다. 식물/토양계는 고정된 수용처(fixed receiver)로서 처리의 정도가 더욱 완벽춤을 요구하며 그러하지 못 경우 식물에 피해를 주게 된다.
도시쓰레기퇴비화의 성공을 위하여 필요한 두 번째 조치는 관련법규의 제정이다. 외국의 경우 퇴비화 및 퇴비와 관련된 규정을 최근에 제정하기 시작하였으며 우리나라도 조만간에 유기성폐기물의 퇴비화가 촉진될 수 있는 방향으로 관련규정이 개정되어야 할 것이다.
Ⅸ. 결론
현시점에 있어서 음식물류 폐기물로 생산된 퇴비의 경우 퇴비간의 품질차이가 다양하며, 저급으로 생산된 퇴비 시용 시 발생하였던 문제가 마치 모든 음식물류 폐기물로 생산한 퇴비의 문제인 것처럼 인식되는 등의 영향으로 앞서 기술된 사료에서의 예처럼 지난 5년 간 음식물류 폐기물의 자원화 지원 및 육성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었던 자원화 정책에도 더 이상 수요처가 확대되지 않고 있는 한계상황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수요에 대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산물의 이용처나, 산물의 질을 체계적으로 관리해야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현재 농지에만 퇴비를 사용하고 있지만, 퇴비의 질에 따라 적절한 등급화를 통해 시비 대상지역을 구분을 한다거나 저급퇴비의 경우 비농업용으로 분류하여 임야나 매립지 복토재 등의 이용개발 등을 통해 수요처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음식물류 폐기물로 생산되는 퇴비의 등급화 뿐 아니라 정부차원의 등급별용도별 적정 사용기준 제시가 필요하며, 현시점에서는 관련된 연구의 수행 및 관련자들의 의견조율이 있어야 한다.
참고문헌
시정개발연구원 : 음식물쓰레기 퇴비화시설 타당성 연구, 1993
정준교 : 음식쓰레기 퇴비의 숙성도 평가,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5
최의소 : 폐기물처리와 자원화, 청문각, 1992
최주섭 외 : 환경과학개론, 동화기술교역, 1998
한국유기성폐자원학회 : 폐기물자원화실무, 동화기술, 2002
Camp, Dresser and Mckee : Engineering Assessment of Vermicomposting Municipal Wastewater Sludges, EPA 600/2-81-075 U.S.EPA Cincinnati, Ohio, 1981
추천자료
퇴비화 공법
폐기물의 퇴비화 이해
폐기물의 퇴비화 공정프로세서 및 퇴비화처리기술
[퇴비화][퇴비화의 영향인자][퇴비화의 기술][퇴비화의 공정][퇴비화의 평가][퇴비화의 증진...
[퇴비화][퇴비화시설][퇴비화의 공법][퇴비화시설의 운영기준][퇴비화시설의 콤포스트화]퇴비...
[퇴비화][퇴비][퇴비화 목적][퇴비화 특성][퇴비화 과정][퇴비화 조건][퇴비화 기술][퇴비화 ...
[퇴비화][퇴비화 목적][퇴비화 중요요인][퇴비화 공법][퇴비화 단점][퇴비화 극복과제]퇴비화...
[퇴비화][퇴비화 특징][퇴비화 대상폐기물][퇴비화 장단점][퇴비화 개선 방안][폐기물]퇴비화...
[퇴비화시설][호기성퇴비화시설][퇴비화시설 관련 제언]퇴비화시설의 특성, 퇴비화시설의 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