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퇴비화의 개념
Ⅲ. 퇴비화의 목적
Ⅳ. 퇴비화의 특성
Ⅴ. 퇴비화의 과정
Ⅵ. 퇴비화의 조건
Ⅶ. 퇴비화의 기술
1. 호기성 퇴비화
2. 혐기성 소화
3. 하수병합
4. 지렁이 퇴비화
Ⅷ. 퇴비화의 숙성도
1. 물리적 퇴비숙성도 평가지표
2. 화학적 퇴비숙성도 평가지표
1) C/N비
2) E4/E6
3) 양이온교환능력(Cation Exchange Capacity, CEC)
4) 무기질소(NH3+, NO3-)
참고문헌
Ⅱ. 퇴비화의 개념
Ⅲ. 퇴비화의 목적
Ⅳ. 퇴비화의 특성
Ⅴ. 퇴비화의 과정
Ⅵ. 퇴비화의 조건
Ⅶ. 퇴비화의 기술
1. 호기성 퇴비화
2. 혐기성 소화
3. 하수병합
4. 지렁이 퇴비화
Ⅷ. 퇴비화의 숙성도
1. 물리적 퇴비숙성도 평가지표
2. 화학적 퇴비숙성도 평가지표
1) C/N비
2) E4/E6
3) 양이온교환능력(Cation Exchange Capacity, CEC)
4) 무기질소(NH3+, NO3-)
참고문헌
본문내용
i 등, 1987]. ΔlogK는 이들 파장에서의 흡광도차이에 log값을 취한 것이다. 이 지표들은 토양의 부식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종종 이용된다[Daygamie 등, 1991]. 일반적으로 퇴비화가 진행될수록 시료의 흡광도값이 커지므로 E4/E6나 ΔlogK 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퇴비가 숙성되어감에 따라 낮은 파장에서의 흡광도값 증가폭이 높은 파장에서의 것보다 크기 때문이다. 흡광도 값의 증가는 퇴비의 특징으로서 방향족 및 불포화 전자의 증가에 기인한 것이다[More 등, 1987].
3) 양이온교환능력(Cation Exchange Capacity, CEC)
양이온교환능력이란 퇴비가 가지고 있는 치환성 양이온의 총량을 당량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퇴비가 가지고 있는 음전하의 양과 같다. 일반적으로 CEC값은 고형물전체를 기준으로 표현되지만 유기물이 주로 CEC를 좌우하기 때문에 요즈음은 유기물을 기준으로 수치를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Jacas 등, 1987; Estrada 등, 1987; Harada 등, 1980, 1981].
Harada 등[1980]은 유기물을 기준으로 한 CEC값이 고형물 전체 기준치보다 급격한 증가경향을 보인다고 발표하였으며 C/N비와의 상관관계도 고형물 기준치 보다 높음을 밝혀내었다.
CEC값은 퇴비가 숙성되어가면서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리그닌 등의 음전하를 띠고 있는 물질의 축적뿐만 아니라 퇴비 내에 있는 카르복실기와 phenolic hydroxyl group이 증가했기 때문이다[Harada 등, 1980; Kakezawa 등, 1990]. Kakezawa 등[1990]은 humic fraction과 CEC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매우 상관성이 높음을 밝힌 바 있다. 이것은 CEC의 증가가 퇴비화기간 동안의 humic fraction의 증가에 기인한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CEC값은 각 측정방법이나 원재료의 성상에 따라 매우 다른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어느 한 수치로 퇴비숙성도를 언급할 수는 없다. CEC로 퇴비숙성도 기준을 제시하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측정법 및 원재료의 성상을 언급하여야 한다[Jacas 등, 1987; Estrada 등, 1987].
4) 무기질소(NH3+, NO3-)
암모니아성 질소는 식물에 독성영향을 미치므로 원칙적으로는 숙성퇴비 내에 존재하지 말아야 하지만 일반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수치는 0.04%(dw)이하이다[Zucconi 등, 1987; Garcia 등, 1991]. 암모니아성 질소의 과량존재는 퇴비가 아직 덜 숙성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퇴비화기간 동안 암모니아성 질소는 단백질의 가수분해에 의하여 급격하게 증가할 수 있으며 나중에는 다시 퇴비미생물에 의하여 소모되어 감소하게 된다[Maurice 등, 1987].
Garcia 등[1991]은 하수슬러지 퇴비의 물용출액 연구에서 다른 형태의 질소(Norg, NO3-)와는 달리 암모니아성 질소는 퇴비화기간 동안은 매우 변화가 심하였지만 최종퇴비에서는 약 0.02%이하로 수렴하여 이를 퇴비숙성도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NO3-는 초기 원재료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다가 퇴비화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암모니아성 질소와 거의 반대경향이다[Garcia 등, 1992]. 몇몇 연구자들은[Garcia 등, 1992; Stentiford 등, 1985; Daygamie 등, 1991] NO3-가 퇴비숙성도 판단지표로 이용될 수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그러나 Garcia 등[1991]은 NO3-가 퇴비화기간 동안 급격한 증가를 보이고 있지만 원재료의 성상에 따라 최종퇴비의 값에 차이를 보이므로 숙성도평가 지표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 김정근(2004),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시 하수 슬러지의 최적 혼합 비율에 관한 연구, 상주대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기주, 호기성 퇴비화 공정을 중심으로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숙성퇴비의 적정성
○ 농업기술연구소(1988), 토양화학분석법, 농촌진흥청
○ 정대연(2002), 환경사회학, 아카넷
○ 폐기물 유기성 물질 자원화기술(2008)
○ M.J.Mitchell, S.G.Hornor·B.I.Abrams(1980), Decomposition of Sewage Sludge in Drying Beds and Potential Role of the Earthworm, Eisenia foeida, J.Environ, Qual., Vol. 9, No. 3
3) 양이온교환능력(Cation Exchange Capacity, CEC)
양이온교환능력이란 퇴비가 가지고 있는 치환성 양이온의 총량을 당량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퇴비가 가지고 있는 음전하의 양과 같다. 일반적으로 CEC값은 고형물전체를 기준으로 표현되지만 유기물이 주로 CEC를 좌우하기 때문에 요즈음은 유기물을 기준으로 수치를 제시하는 경우가 많다[Jacas 등, 1987; Estrada 등, 1987; Harada 등, 1980, 1981].
Harada 등[1980]은 유기물을 기준으로 한 CEC값이 고형물 전체 기준치보다 급격한 증가경향을 보인다고 발표하였으며 C/N비와의 상관관계도 고형물 기준치 보다 높음을 밝혀내었다.
CEC값은 퇴비가 숙성되어가면서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리그닌 등의 음전하를 띠고 있는 물질의 축적뿐만 아니라 퇴비 내에 있는 카르복실기와 phenolic hydroxyl group이 증가했기 때문이다[Harada 등, 1980; Kakezawa 등, 1990]. Kakezawa 등[1990]은 humic fraction과 CEC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매우 상관성이 높음을 밝힌 바 있다. 이것은 CEC의 증가가 퇴비화기간 동안의 humic fraction의 증가에 기인한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CEC값은 각 측정방법이나 원재료의 성상에 따라 매우 다른 결과를 나타내고 있으므로 어느 한 수치로 퇴비숙성도를 언급할 수는 없다. CEC로 퇴비숙성도 기준을 제시하고자 할 때에는 반드시 측정법 및 원재료의 성상을 언급하여야 한다[Jacas 등, 1987; Estrada 등, 1987].
4) 무기질소(NH3+, NO3-)
암모니아성 질소는 식물에 독성영향을 미치므로 원칙적으로는 숙성퇴비 내에 존재하지 말아야 하지만 일반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수치는 0.04%(dw)이하이다[Zucconi 등, 1987; Garcia 등, 1991]. 암모니아성 질소의 과량존재는 퇴비가 아직 덜 숙성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퇴비화기간 동안 암모니아성 질소는 단백질의 가수분해에 의하여 급격하게 증가할 수 있으며 나중에는 다시 퇴비미생물에 의하여 소모되어 감소하게 된다[Maurice 등, 1987].
Garcia 등[1991]은 하수슬러지 퇴비의 물용출액 연구에서 다른 형태의 질소(Norg, NO3-)와는 달리 암모니아성 질소는 퇴비화기간 동안은 매우 변화가 심하였지만 최종퇴비에서는 약 0.02%이하로 수렴하여 이를 퇴비숙성도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
NO3-는 초기 원재료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다가 퇴비화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암모니아성 질소와 거의 반대경향이다[Garcia 등, 1992]. 몇몇 연구자들은[Garcia 등, 1992; Stentiford 등, 1985; Daygamie 등, 1991] NO3-가 퇴비숙성도 판단지표로 이용될 수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 그러나 Garcia 등[1991]은 NO3-가 퇴비화기간 동안 급격한 증가를 보이고 있지만 원재료의 성상에 따라 최종퇴비의 값에 차이를 보이므로 숙성도평가 지표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 김정근(2004), 음식물 쓰레기의 퇴비화시 하수 슬러지의 최적 혼합 비율에 관한 연구, 상주대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 김기주, 호기성 퇴비화 공정을 중심으로 음식물쓰레기에 대한 숙성퇴비의 적정성
○ 농업기술연구소(1988), 토양화학분석법, 농촌진흥청
○ 정대연(2002), 환경사회학, 아카넷
○ 폐기물 유기성 물질 자원화기술(2008)
○ M.J.Mitchell, S.G.Hornor·B.I.Abrams(1980), Decomposition of Sewage Sludge in Drying Beds and Potential Role of the Earthworm, Eisenia foeida, J.Environ, Qual., Vol. 9, No. 3
추천자료
- [폐기물 처리공학]퇴비화의 단계별 변화와 퇴비화 방법 및 퇴비화시설 운영의 문제점
- [퇴비화][퇴비화의 영향인자][퇴비화의 기술][퇴비화의 공정][퇴비화의 평가][퇴비화의 증진...
- [퇴비화][퇴비화 공정][퇴비화 숙성도][퇴비화 장단점][퇴비화 평가][퇴비화 극복과제]퇴비화...
- [퇴비화][퇴비화시설][퇴비화의 공법][퇴비화시설의 운영기준][퇴비화시설의 콤포스트화]퇴비...
- [퇴비][퇴비화][퇴비의 정의][퇴비의 필요성][퇴비의 부숙도평가][퇴비의 품질고급화 방안]퇴...
- [퇴비화][퇴비화 목적][퇴비화 중요요인][퇴비화 공법][퇴비화 단점][퇴비화 극복과제]퇴비화...
- [퇴비화][퇴비화 특징][퇴비화 대상폐기물][퇴비화 장단점][퇴비화 개선 방안][폐기물]퇴비화...
- [퇴비화시설][호기성퇴비화시설][퇴비화시설 관련 제언]퇴비화시설의 특성, 퇴비화시설의 설...
- [퇴비화][음식물쓰레기 퇴비화]퇴비화의 의미, 퇴비화의 공정, 음식물쓰레기 퇴비화의 특징,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