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아.이]기말고사 최종정리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아.이]기말고사 최종정리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생기고 그속에는 소량의 장액이존재
-이 장액이 허파 표면을 윤활 작용
Intrapleural pressure -늑막간 압력
-허파내의 압력보다 허파 밖과 가슴 벽의 압력이 조금더 낮은데 이 러한 차이가진공으로 작용하여허파가 찌그러짐을 막음
Respiratory epithelium -호흡기는 전반적으로 점막막으로 구성되어 cillia가 점막에 머리카 락처럼 존재 빗자루처럼 쓸어내는 역할
-외부의 침입 물질을 허파에 도달하지 못하게 함.
*허파의 기능 :surfactant의 중요성
허파에는 3억 개의 허파꽈리(alveoli) 실핏줄이 거미줄처럼 얽혀 있음. 호흡하는 동안 꽈리는 산소를 얻기 위해 확장하고,co2를 내뿜으며 크기도 줄어듦
허파의 내부면적은 배드민턴 코트(13.4*6.1)만큼 넓음
=>따라서 호흡 전후에 꽈리의 급격한 팽창과 수축이 일어남
이때 엄청난 압력이 가해짐
=>surfactant 가 없다면 압력에의해 꽈리가 터질 수 있음
사람의 경우 인지질(90%)과 surfactant 단백질(10%)이 계면활성제로 작용
=>pulmonary surfactants surfactant의 도메인 조절에 콜레스테롤이 중요한 관여
*혈액과 허파에서의 가스 교환
혈액의 고농도 이산화탄소가 허파꽈리로 허파의 고농도 산소가 혈액으로
2.호흡기 질환의 일반적 증상
*호흡기 질환의 일반적 증상
불규칙 호흡 호흡곤란 잦은 호흡, 기침 가래 객혈, Cyanosis(산소부족으로 피부가 검푸르게
고열, 피로 안면부,목,가슴통증 콧물,근육 무기력, 목소리 변화
3.호흡기 상단 질환
*호흡부 상단 질환
감염 엘러지 비강 용종등 대부분 건강상태 면역 민감성 계절적인 원인
*감기
모든 이에게 감염 ,200종이상의 원인 바이러스로 면역 형성이 불가
치료법도 없음, 아스피린의 해열 등으로 경감
*sinusitis
미국인구의 1/7이 부비강염을 가지고 있음
비강의 바깥쪽에 좌우 4개씩 있는 부비강의 염증
*nasal polyps
-비강내의 양성 종양 증가 -정확한 원인은 모름
-알레르기성 체질인 사람에게 염증이나 감염으로 인한 자극이 비점막에 가해져 생기며 젊은 남성에게 많이 볼수있음
-중비도에 많이 발생하며 하나 또는 여러 개가 생김
-살짝 건드리기만 해도 쉽게 출혈하는 것도 있음
-수술로 적출하지만 재발하는 수가 많음
증상
-콧구멍이 막힘 -냄새를 잘 맡지 못함
-얼굴이 부은 것처럼 느껴짐. -코에서 분비물이 나옴
-얼굴에 통증이 생김 -두통
치료
-증상이 경미할 경우에는 acetaminophen(진통 해열제)을 사용할 수 있음
-aspirin은 출혈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사용하지 말것 !!!!!
-폴립을 수축시키기 위해 수술전에 단기간 동안 코티손 약물을 분무형태로 또는 경구형으로 투여 박을 수 있음
*코골이와 폐쇄성 무면 무호흡증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깊은 수면시 인두부위가 폐쇄되면서 숨을 쉬지 않는 증상을 반복하는 증상
-수면 중 숨을 쉬지 않거나 매우 얕은 숨을 쉬는 행동을 여러 번 반복함.
-숨을 쉬지 않는 동안에 혈중 산소농도가 감소하고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증가하게 됨
-이런상황에서 연수뇌의 호흡중추가 자극되고 잠결에 숨을 쉬려고 노력을 하게 되며 답답함을 느끼고 그러한 자극에 의하여 깜 놀라 잠에서 깨게됨
-만성적인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심장에 무리를 주어 부정맥,서맥(심장 박동이 느림), 심장수축저지 등이 생길 수도 있음.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저산소증은 체내 교감신경 계통을 자극하여 고혈압을 유발함.
폐성심(cor pulmonale)
-폐의 이상으로 인한 심장질환을 말하는 용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교감신경계가 활성화 되어 폐로 가는 혈액의 압력이 높아지고이것이 그대로 심장에 전달되어 심장이 비대해지고 심장수축력 등의 기능이 저하되는것
*코골이와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
-고도비만인의 15~40%정도가 폐쇄성 수면무호흡
-체질량지수가 35이상인 경우 위험군에 속하며 목둘레가 41cm이상 남성의 경우에 호발한다고 알려져 있음
-증상 및 위험군임을 고려하여 수면검사를 시행하며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게됨
-고도비만인에서 폐새성 수면 무호흡증은 비만수술로 완치됨.
-수술 후 일시적으로 CPAP이라는 양압환기 기계를 사용함
*Hay fever(계절성 알레르기 비염)
-화분병,건초열 이라고도함
-비점막의 충혈,부종,가려움증,콧물이 심하고 해마다 일정한 계절에는 재채기가 발작적으로 속발하는 동시에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일으켜서 눈이 충혈되며 가렵고 눈물이 계속 흐름
-기침 천식 호흡곤란을 수반하기도 함
-한국에서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지만 코감기라 하여 환절기에 발생하는 것이 있음
-미국 국민은 8~10%가 이 비염을 가지고 있는데, 치료방법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꽃가루를 피하는 수 밖에없음
-대종요법으로 항히스타민제 부신피질 호르몬을 투여하며 항원탈감작요법을 쓰기도함
*편도염,인후염,후두염
-세균 -바이러스 -기타병원제
*독감(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다양한 바이러스
-치료약은 없음 -휴식 수분섭취 아스피린으로 해열
-예방 백신 접종으로 예방
=>그러나 모든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은 불가능
4.호흡기 하단 질환
COPD(만성 폐쇄성 허파 질병,Chronic Obstructive Plumonary Disease)
-원인이 되는 폐질환이나 심장 질환이 없이 기도 폐쇄가 발생하며 기류의 속도가 감소하는 질환군을 말함
-임상적으로는 만성적으로 객담을 동반하는 기침을 하는 만성기관지염과 종말세기관지(terminal bronchiole)이하의 폐포들이 비정상적으로 늘어나고 폐포격벽이 파괴되는 폐기종이 혼합되어 양자간의 구분이 힘든 경우 이들을 총칭하여 COPD 이라고 함
-COPD은 천식과 비슷하게 호흡곤란 기침 가래등의 기도질환 증상을 나타내다가 폐 기능을 악화시켜 사망에 이르게함
-발병원인은 90% 이상이 흡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이외에 공해와 선천적 질환,호흡기 감염증 등이 있음
-COPD는 사망률 세계4위 국내 7위의 질병
*기관지염(bronchitis)
-원인은 세균 바이러스 진균등의 감염에 의한 것이 가장 많고 평소에 감염되지 않은 사람도 전신의 저항력이 약화되었을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62페이지
  • 등록일2011.10.17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087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