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고딕건축양식의 특성
Ⅲ. 고딕건축양식의 발전
1. 전파 경로
2. 고딕 건축 일반
3. 고딕건축과 건축주
4. 플라잉 버트레스(Frying buttress)지붕이나 볼트의 횡방향 추력을 아치형태의 조적을 통해 기둥이나, 부축벽에 전달하는 조적구조체 높은 네이브(Nave)위에 설치한 볼트의 횡압을 간단하게 해결
5. 리브 볼트(Lib-vault)
Ⅳ. 고딕건축양식의 형성조건
1. 인문적 조건
2. 기술적 조건
3. 고딕건축의 역사성 중요성
4. 고딕건축의 요소들
Ⅴ. 고딕건축양식의 요소
Ⅵ. 고딕성당의 의미
Ⅶ. 고딕성당의 형태
Ⅷ. 고딕성당의 빛의 배치
참고문헌
Ⅱ. 고딕건축양식의 특성
Ⅲ. 고딕건축양식의 발전
1. 전파 경로
2. 고딕 건축 일반
3. 고딕건축과 건축주
4. 플라잉 버트레스(Frying buttress)지붕이나 볼트의 횡방향 추력을 아치형태의 조적을 통해 기둥이나, 부축벽에 전달하는 조적구조체 높은 네이브(Nave)위에 설치한 볼트의 횡압을 간단하게 해결
5. 리브 볼트(Lib-vault)
Ⅳ. 고딕건축양식의 형성조건
1. 인문적 조건
2. 기술적 조건
3. 고딕건축의 역사성 중요성
4. 고딕건축의 요소들
Ⅴ. 고딕건축양식의 요소
Ⅵ. 고딕성당의 의미
Ⅶ. 고딕성당의 형태
Ⅷ. 고딕성당의 빛의 배치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나의 요인은 그것이 르네상스 이후의 자연 채광과 달리 채색된 빛이요 인위적인 빛이라는 점이다. 벽을 지우려는 듯이 확장된 창문은 모두 채색창(stained glass)으로 메워지고, 그에 따라 성당 내부로 들어오는 모든 빛은 채색창을 통과하면서 그 빛으로 채색된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채광창이 늘어선 네이브의 상부는 마치 프라이(D. Frey) 말을 빌면 스스로 빛나는 벽(selbstleutenede Mauer)처럼 보인다. 고딕 성당의 이 비자연적인 빛은 건축물의 감격적인 힘과의 연관 속에서 초자연적인 빛으로 체험된다. 이 색채적인 빛은 건축적 골격의 강력한 조형적 성격을 상당 정도 순화시킨다. 또한 그것은 신의 나라의 색조와 형상을 그리는 형상세계의 담지자기도 하다. 로마네스크 성당의 방벽으로 둘러싸인 어둠은 그 벽만큼이나 무거운 중세의 신학적 사유와 종교적 삶을 담고 있는 것이었다. 생 드니의 쉬제 신부가 수행한 역할은 이 무거운 어둠을 걷어내고 신의 손길이 창조해 낸 아름다운 세계의 모습을 밝은 빛 속에서 드러나게 하는 것이었다. 그는 플로티누스(Plotinus)와 프로클루스(Proclus)의 신플라톤주의와 기독교 신앙을 결합하여 그 돌파구를 찾아내는데, 여기서 결정적인 것은 일자와 신을 빛으로 등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등치의 근거를 성경에서 찾아내는 것은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신이 곧 빛이라면 신은 정말 빛을 통해 가시화될 수 있는 것이 된다. 신을 인지할 수 있는 이지적인(intelligible) 빛은 물질적 빛을 따라 비취이게 되고, 이를 통해 신은 가시적 형태(forme visible)를 취할 수 있다. 나아가 신의 빛은 그가 창조한 사물들의 질료 안에까지 스며들고, 물질적 신체 내지 매스 안에 용해되어 있다. 이는 세속적인 때와 죄악에 찌들어 있지만, 그 오염된 것을 정화함으로써 다시 신의 빛으로 승화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그러한 오염으로부터 순수로, 다자성에서 단일한 통일성으로 상승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감각적인 지각을 통해 행해지는 조공(朝貢)이나 상징적 의미에 대한 상상을 통해 조공하길 꺼릴 이유가 없다는 것이 바로 쉬제 신부의 논리였다. 이로써 빛을 통해 신의 나라를 세우려는 생 드니 수도원의 구상은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게 되었고, 성당은 빛을 끌어들일 수 있게 되었다. 빛은 이 고귀한 활동이며, 나아가 고귀하게 빛나리라. 그 빛은 영혼들이 날 수 있도록 그 영혼들을 비추일지니(illuminera), 이는 진정한 빛의 은총이로다. 이로써 그리스도가 진정 그 문을 이루고 있는 진리의 빛(La Vraie Lumi?e)을 향해 나아가리라. 어떤 식으로든 그것은 이 세상에 내재하는 바, 황금의 문은 그것이 이렇게 정의하시도다. : 어리석은 영혼은 물질적인 것 덕분에 진리에 이를 수 있으리라. 빛은 이제 두 가지로 나누어 개념화된다. 건축적인 조명(illumination)과 진리의 빛, lux continua(연속적인 빛)와 lux mirabilis(경이로운 빛), 물질적인 빛과 이지적인 빛. 하지만 이 양자의 대립보다는 양자의 의존성이 강조된다. 물질적인 빛을 통해서만 이지적인 빛, 진리의 빛에 이르리라는 생각은, 이성과 지성을 통해서 믿음에 이르리라는 스콜라주의적 관념과 동형적이기도 하다. 건축적 조명이라는 물질적인 빛의 차원을 넘어서기 위해서, 혹은 그것을 진리의 빛으로 변환하기 위해서 자연적 빛을 색채적 빛으로 변환한다. 따라서 채색창은 신의 이름으로 빛을 끌어들이는 고딕 공간에서 필수적인 구성요소라고 할 것이다.그러나 고딕적인 빛의 배치가 단순히 빛의 양과 채색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훨씬 더 깊은 구조적 변화를 수반한다. 얀첸은 이를 투명한 구조(Diaphane Struktur)라고 부르는데, 이는 앞서 살펴본 벽체의 제거와 긴밀하게 결부되어 있다. 즉 벽체를 제거하고 기둥과 부벽으로 대체하며, 그 부벽 사이를 창문으로 가득 비움으로써, 유입되는 빛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 창문은 모두 채색창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리로 유입되는 빛은 모두 인위적인 빛으로 변환된다. 하지만 얀첸은 단지 이것만으로 벽체의 투명성 내지 투명한 구조를 정의할 수는 없다고 한다. 즉 투명성의 문제는 단순히 벽에 뚫린 구멍의 크기라는 양적인 차이의 문제가 아니다. 그것은 창문과 벽간의 관계에서 일정한 변화를 전제한다. 그것은 우선 창문이 더 이상 벽에 뚫린 구멍이기를 멈출 것을, 그리하여 벽체가 단순한 매스(mass)의 연속체이길 멈출 것을 요구한다. 로마네스크 건축에서 벽은 내부와 외부의 경계며, 창문은 그 연속적 벽체에 뚫어놓은 구멍일 뿐이었다. 그러나 고딕에 이르면 창문의 테두리에 쇠시리가 얹혀지고, 이로써 벽체는 매스 연속체기를 중단하며, 창문은 단순한 구멍이 아니라 조형적 성격을 갖는 독자적 요소가 된다. 더불어 화려한 채색창과 트레이서리(tracery)는 벽체의 구멍과는 전혀 다른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다른 차원에서 창문의 조형적 독자성을 확실히 한다. 네이브 벽 역시 트리포리움(triforium)과 갤러리(gallery), 몰딩(molding)과 샤프트 등으로 조형적인 성격을 띤다.
얀첸은 투명성의 문제를 조형적으로 형태화된 벽과 그 조형물 뒤에 배경으로 놓이는 공허부(Raumteilen) 사이의 광학적 관계의 문제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채색창과 트레이서리 등으로 조형화된 창문에 대해 벽체는 마치 스크린을 둘러싼 검은 공허부처럼 채색창을 돋보이게 하는 배경면(Folie)으로 작용한다. 또한 형태적인 측면에서도 벽을 가득 채우고 있는 조형물이 마치 벽체를 배경으로 두고 있는 듯한 양상을 취한다. 이런 점에서 고딕의 벽체는 조형물과 공허부, 채색창(문)과 공허부라는 이중 피막을 형성하고 있는 셈이다.
참고문헌
데이비드 맥컬레이, 하유진 옮김, 고딕성당, 소년한길
비난트 클라센 저, 심우갑, 서양 건축사, 대우 출판사
조경수(2002), 교회건축의 변천과정과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대학원 박사
카린 자그너 저, 안상원 역(2007), 고딕, 미술문화
패트릭 넛갠스, 윤길순 역(2001), 건축 이야기, 동녘
얀첸은 투명성의 문제를 조형적으로 형태화된 벽과 그 조형물 뒤에 배경으로 놓이는 공허부(Raumteilen) 사이의 광학적 관계의 문제로 정의한다. 예를 들어, 채색창과 트레이서리 등으로 조형화된 창문에 대해 벽체는 마치 스크린을 둘러싼 검은 공허부처럼 채색창을 돋보이게 하는 배경면(Folie)으로 작용한다. 또한 형태적인 측면에서도 벽을 가득 채우고 있는 조형물이 마치 벽체를 배경으로 두고 있는 듯한 양상을 취한다. 이런 점에서 고딕의 벽체는 조형물과 공허부, 채색창(문)과 공허부라는 이중 피막을 형성하고 있는 셈이다.
참고문헌
데이비드 맥컬레이, 하유진 옮김, 고딕성당, 소년한길
비난트 클라센 저, 심우갑, 서양 건축사, 대우 출판사
조경수(2002), 교회건축의 변천과정과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대학원 박사
카린 자그너 저, 안상원 역(2007), 고딕, 미술문화
패트릭 넛갠스, 윤길순 역(2001), 건축 이야기, 동녘
추천자료
궁륭(穹隆) 건축용어
유럽 건축사 정리
신고전주의 (Neo-Classicism)
로마네스크 건축
로마시대의 건축 양식
[생활과 디자인] 건축 디자인에 관한 발표자료 (PPT)
건축의 발달과정및 각 건축의 특징
[로마네스크건축][로마네스크건축 개요][로마네스크건축 의의][로마네스크건축 특성][로마네...
아르데코 - 고전에의 회고적 사선 < 크라이슬러 빌딩 >
(요약본)한국건축문화유산의 보존과 역사
슈테판 대성당
[교회건축][교회건축의 역사][교회건축의 특징][예술공예운동][롱샹교회][교회건축의 사례]교...
[건축학] 안토니 가우디에 대해
[서양][아테네][사상][르네상스][복식문화][건축][대학][테이블식사예절]서양의 아테네, 서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