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호흡음, 리듬, 깊이..)
3.병실내의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시킨다.
4.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5.병실 공기를 자주 환기시킨다.
6.Nebulizer요법을 시행하게 한다.
7.흉부물리요법을 교육한다.(체위배액, 타진법, 진동법)
1.염증으로 인해 분비물이 발생하고 그것을 배출하기 위해 기침이 난다고 설명함.
R
06:00
24
10:00
24
14:00
26
2.4시간마다 활력징후 특히 호흡양상을 사정하였다.
<5/10>
호흡수가 조금씩 안정되었으며, 호흡음에서도 그르렁 거리는 소리가 줄고, 쌕쌕거리는 소리도 감소하였다.
3.가습기를 이용하여 실내습도가 60%정도를 유지하도록 하라고 교육 함.
4.수액유지중이며, 물을 자주 마시라 고 함.
5.사정시마다 잠시동안 창문을 열어주었다.
6.처방에 따라 기관지확장제인 Ventolin 2cc와 Pulmicort 2cc을 mix하여 하루에 4번 Nebulizer로 흡 입해 주고, 부모 및 환아에게 시행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7.보호자에게 흉부물리요법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진동법과 타진법에 대해 교육자료를 제공하고 시범을 보여주었다.)
#2.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사정
계획
수행
목표
계획
S <5/10>
1."우리 애가 식은땀을 흘리는게 간간히 열이 나는거 같아요.”
2.‘입원하기 전에 몇 일 동안 열이 내렸다 올랐다 햇었어요.“
O
1.진단명 : Pneumonia
asthma
검사 시간
T
05/16 16:26
38.1
05/16 20:35
38.0
05/17 05:42
38.4
05/17 14:48
38.4
2. V/S (05/16~17)
3.WBC수치 증가검사치
정상치
12.7
4-11
(05/10)
→이것은 감염의 징후로 발열이 동반될 수 있다.
4.환아의 얼굴이 홍조를 띄고 있다.
대상자는 일주일후 정상 체온을 유지한다.
1.열이 나는 이유를 설명함.
2.2시간마다 체온을 측정한다.
3.고열로 인한 증상을 관찰한다.(갈증,피부건조)
4.옷을 얇게 입힌다.
5.방안 공기를 시원하게 한다.
6.37.5℃ 이상인 경우 수건을 미온수에 적셔서 환아의 몸을 닦아주고 보호자에게 교육
7.38℃ 이상인 경우 선생님께 보고하여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 받을수 있게 한다.
8.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9.땀으로 인해 환아의 의복이 젖은경우 바로 갈아입힌다.
10.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1.염증반응으로 인하여 열이 발생한다고 설명하고, 치료에 대하여 설명함.
2.2시간마다 V/S을 측정하였다.
(고막체온계:35.8~37.9)
시간
T
06:00
37.0
08:00
37.0
10:00
37.1
<05/18>
3.대상자의 구강점막이 말라있었으며, 땀으로 인해 피부가 축축하였다.
4.환아의 상의를 탈의 시키길 권장.
5.창문을 조금 열어주어 병실 안 공기를 시원하게 하였다.
6.열이 37.5℃ 이상으로 지속되면 수건을 미온수에 적셔서 말단부위 부터 닦으라고 보호자에게 교육 하였다.
(특히 겨드랑이, 목, 사타구니와 같이 땀이 차기 쉬운 부위를 중점적으로 닦아 주었다.)
7.38℃ 이상일 때 처방에 따라 간호사가 Maxibufen syr 5cc를 경구로 투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8.N/S과 크라목신을 IV MIX하여 투여하는것을 관찰하였다.
9.환아가 땀으로 인해 의복이 젖어서 바로 갈아입혀 주었다.
10.물을 마시라고 주기적으로 말해 주었다.
# 3. 잦은 기침으로 인한 수면장애
사정
계획
수행
목표
계획
S <5/13>
1.“밤에 자다가 기침을 해서 자주 깨고 잠들기도 힘들어요. ”
O
1.진단명 : Pneumonia
asthma
2.하품하는 모습 자주 보임.
3.낮잠을 자는 모습이 자주 보임.
기침이 완화되고 밤에 편안히 잠을 잔다.
1.야간의 기침횟수를 확인하고 심할 경우 분무요법을 시행하도록 설명.
2.수면양상을 사정한다.
3.조용하고 어두운 환경을 조성해준다.
4.보호자에게 충분한percussion 시행하도록 격려한다.
5.주기적인 호흡기치료의 중요성 교육 및 시행.
6.편안한 환경을 만들어 준다
1.취침전 nebulizer요법을 시행 하도록 함.
2.보호자에게 환아가 밤에는 몇 시간정도 자고 낮에는 몇 시간정도 자는지 물어봤다.(밤:9~10시간 낮:3~4시간)
3.수면을 취하는데 방해가 되는 요소(TV, 소음,밝은 빛 등)들을 최소한으로 하게 하여 숙면을 취하게 하고, 동생과 함께 2인실로 변경함(5/12)
4.percussion을 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직접 시범을 보였다.
5.nebulizer의 올바른 사용법을 설명하고 직접 시범을 보인다.
6.평소 장난감을 옆에두고 자는 습관이 있기 때문에, 취침시 옆에 자동차 장난감을 두게 하였다
8) 결 론 / 소 감
Asthma, Pneumonia를 진단받은 34m의 본 환아는 내원 당시 fever, sputum, rhinorrhea, coughing가 있었습니다. 장난기도 많고 활발한 성격 덕분에 본인가 대화하기가 쉬웠습니다.
저는 첫 실습이라 대상자를 정하였고, 라포를 형성해야 했지만 처음 3일간은 적극적으로 다가가지 못하였었습니다. 하지만 오히려 대상자가 저에게 다가왔다고 볼수도 있고, 저도 대상자와 편하게 지낼수 있었던것 같습니다.
실습을 해보지 못 했던 저로써는 첫 실습이 처음에는 부담감으로 느껴졌고 실습 첫 주에는 병원에 적응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하루하루 지나면서 병동 생활에 익숙해졌고 보호자를 비롯한 환아들과 대화도 나누며 잘 적응 하였습니다. 다만 힘들었던 점이 있다면 소아는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 한 것입니다. 선생님들은 다양한 방법을 써서 이 어려움을 대처하고 원활한 간호/치료를 위해 소아의 눈높이에 맞출려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남자간호사와 소아병동과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아직 좀 어색한 관계라고 생각할 것 입니다.
그러나 이번 실습을 해보면서 오히려 남자간호학생에게 더 많은 관심을 가져 주시고 환아들이 더 잘 따라주는걸 보고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걸 알았습니다. 소아병동만의 큰 매력을 느끼고 실습을 마칠 수 있어 좋았고 한 번 더 기회가 있다면 이번 보다는 더 능숙하고 즐겁게 실습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상입니다.
3.병실내의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시킨다.
4.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5.병실 공기를 자주 환기시킨다.
6.Nebulizer요법을 시행하게 한다.
7.흉부물리요법을 교육한다.(체위배액, 타진법, 진동법)
1.염증으로 인해 분비물이 발생하고 그것을 배출하기 위해 기침이 난다고 설명함.
R
06:00
24
10:00
24
14:00
26
2.4시간마다 활력징후 특히 호흡양상을 사정하였다.
<5/10>
호흡수가 조금씩 안정되었으며, 호흡음에서도 그르렁 거리는 소리가 줄고, 쌕쌕거리는 소리도 감소하였다.
3.가습기를 이용하여 실내습도가 60%정도를 유지하도록 하라고 교육 함.
4.수액유지중이며, 물을 자주 마시라 고 함.
5.사정시마다 잠시동안 창문을 열어주었다.
6.처방에 따라 기관지확장제인 Ventolin 2cc와 Pulmicort 2cc을 mix하여 하루에 4번 Nebulizer로 흡 입해 주고, 부모 및 환아에게 시행하는 방법을 설명하였다.
7.보호자에게 흉부물리요법의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진동법과 타진법에 대해 교육자료를 제공하고 시범을 보여주었다.)
#2. 질병과 관련된 고체온
사정
계획
수행
목표
계획
S <5/10>
1."우리 애가 식은땀을 흘리는게 간간히 열이 나는거 같아요.”
2.‘입원하기 전에 몇 일 동안 열이 내렸다 올랐다 햇었어요.“
O
1.진단명 : Pneumonia
asthma
검사 시간
T
05/16 16:26
38.1
05/16 20:35
38.0
05/17 05:42
38.4
05/17 14:48
38.4
2. V/S (05/16~17)
3.WBC수치 증가검사치
정상치
12.7
4-11
(05/10)
→이것은 감염의 징후로 발열이 동반될 수 있다.
4.환아의 얼굴이 홍조를 띄고 있다.
대상자는 일주일후 정상 체온을 유지한다.
1.열이 나는 이유를 설명함.
2.2시간마다 체온을 측정한다.
3.고열로 인한 증상을 관찰한다.(갈증,피부건조)
4.옷을 얇게 입힌다.
5.방안 공기를 시원하게 한다.
6.37.5℃ 이상인 경우 수건을 미온수에 적셔서 환아의 몸을 닦아주고 보호자에게 교육
7.38℃ 이상인 경우 선생님께 보고하여 처방된 해열제를 투여 받을수 있게 한다.
8.처방된 항생제를 투여한다.
9.땀으로 인해 환아의 의복이 젖은경우 바로 갈아입힌다.
10.수분 섭취를 권장한다.
1.염증반응으로 인하여 열이 발생한다고 설명하고, 치료에 대하여 설명함.
2.2시간마다 V/S을 측정하였다.
(고막체온계:35.8~37.9)
시간
T
06:00
37.0
08:00
37.0
10:00
37.1
<05/18>
3.대상자의 구강점막이 말라있었으며, 땀으로 인해 피부가 축축하였다.
4.환아의 상의를 탈의 시키길 권장.
5.창문을 조금 열어주어 병실 안 공기를 시원하게 하였다.
6.열이 37.5℃ 이상으로 지속되면 수건을 미온수에 적셔서 말단부위 부터 닦으라고 보호자에게 교육 하였다.
(특히 겨드랑이, 목, 사타구니와 같이 땀이 차기 쉬운 부위를 중점적으로 닦아 주었다.)
7.38℃ 이상일 때 처방에 따라 간호사가 Maxibufen syr 5cc를 경구로 투여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8.N/S과 크라목신을 IV MIX하여 투여하는것을 관찰하였다.
9.환아가 땀으로 인해 의복이 젖어서 바로 갈아입혀 주었다.
10.물을 마시라고 주기적으로 말해 주었다.
# 3. 잦은 기침으로 인한 수면장애
사정
계획
수행
목표
계획
S <5/13>
1.“밤에 자다가 기침을 해서 자주 깨고 잠들기도 힘들어요. ”
O
1.진단명 : Pneumonia
asthma
2.하품하는 모습 자주 보임.
3.낮잠을 자는 모습이 자주 보임.
기침이 완화되고 밤에 편안히 잠을 잔다.
1.야간의 기침횟수를 확인하고 심할 경우 분무요법을 시행하도록 설명.
2.수면양상을 사정한다.
3.조용하고 어두운 환경을 조성해준다.
4.보호자에게 충분한percussion 시행하도록 격려한다.
5.주기적인 호흡기치료의 중요성 교육 및 시행.
6.편안한 환경을 만들어 준다
1.취침전 nebulizer요법을 시행 하도록 함.
2.보호자에게 환아가 밤에는 몇 시간정도 자고 낮에는 몇 시간정도 자는지 물어봤다.(밤:9~10시간 낮:3~4시간)
3.수면을 취하는데 방해가 되는 요소(TV, 소음,밝은 빛 등)들을 최소한으로 하게 하여 숙면을 취하게 하고, 동생과 함께 2인실로 변경함(5/12)
4.percussion을 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직접 시범을 보였다.
5.nebulizer의 올바른 사용법을 설명하고 직접 시범을 보인다.
6.평소 장난감을 옆에두고 자는 습관이 있기 때문에, 취침시 옆에 자동차 장난감을 두게 하였다
8) 결 론 / 소 감
Asthma, Pneumonia를 진단받은 34m의 본 환아는 내원 당시 fever, sputum, rhinorrhea, coughing가 있었습니다. 장난기도 많고 활발한 성격 덕분에 본인가 대화하기가 쉬웠습니다.
저는 첫 실습이라 대상자를 정하였고, 라포를 형성해야 했지만 처음 3일간은 적극적으로 다가가지 못하였었습니다. 하지만 오히려 대상자가 저에게 다가왔다고 볼수도 있고, 저도 대상자와 편하게 지낼수 있었던것 같습니다.
실습을 해보지 못 했던 저로써는 첫 실습이 처음에는 부담감으로 느껴졌고 실습 첫 주에는 병원에 적응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하루하루 지나면서 병동 생활에 익숙해졌고 보호자를 비롯한 환아들과 대화도 나누며 잘 적응 하였습니다. 다만 힘들었던 점이 있다면 소아는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 한 것입니다. 선생님들은 다양한 방법을 써서 이 어려움을 대처하고 원활한 간호/치료를 위해 소아의 눈높이에 맞출려는 모습이 인상적이었습니다.
남자간호사와 소아병동과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아직 좀 어색한 관계라고 생각할 것 입니다.
그러나 이번 실습을 해보면서 오히려 남자간호학생에게 더 많은 관심을 가져 주시고 환아들이 더 잘 따라주는걸 보고 꼭 그렇지만은 않다는 걸 알았습니다. 소아병동만의 큰 매력을 느끼고 실습을 마칠 수 있어 좋았고 한 번 더 기회가 있다면 이번 보다는 더 능숙하고 즐겁게 실습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상입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