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7. 後期 中世國語
1절. 資 料
1 訓民正音 이전 資料
1) 朝鮮館譯語
- 會同館 편찬 ‘華夷譯語’의 13 館譯語 중 하나
- 15세기 초엽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
- 上段 중국어, 中段은 대당 국어 단어, 下段은 東音의 3단 표기. 총 590여 語項
2. 訓民正音 創製 이후 資料
1) 세종 ~ 단종
- 訓民正音
- 龍飛御天歌
- 釋譜詳節, 月印千江之曲
- 東國正韻
- 洪武正韻譯訓
- 四聲通巧 - 이후 최세진이 개수
2) 세조
- ‘月印釋譜’ - 현재 25권이 발견됨
- 불경 언해 류 - 楞嚴經(최초), 法華經, 金剛經, 禪宗永嘉集, 阿彌陀經, 永嘉集, 般若心經, 圓覺經, 牧牛子修心訣 諺解
- ‘救急方諺解’
- ‘五臺山 上院寺 重創 勸善文’ - 필사본
3) 성종
- 蒙山和尙法語略錄諺解
- 金剛經三家解, 永嘉大師證道歌南明泉禪師繼頌諺解, 佛項心經諺解, 靈驗略抄
- 內訓, 三綱行實圖
- 分類杜工部詩諺解(초간)
- 救急簡易方, 衿陽雜錄, 伊路波
4) 연산군
- 六祖法寶壇經諺解
- 施食勸供
5) 중종
- 續三綱行實圖, 二倫行實圖, 飜譯小學
- 呂氏鄕約諺解, 正俗諺解
- 簡易瘟方, 牛馬羊猪染疫治療方, 分門瘟疫易解方
- 飜譯老乞大, 飜譯朴通事, 老朴集覽
- 四聲通解, 訓蒙字會
6) 선조
- 七大萬法, 禪家龜鑑
- 光州간행 千字文, 石峰千字文
- 新增類合, 野雲自警, 發心修行章, 誡初心學人文
- 小學諺解, 飜譯小學(선조), 大學諺解, 中庸諺解, 論語諺解, 孟子諺解, 孝經諺解
2절. 訓民正音 體系
1. 初 聲
1) 중국 음운학의 자모 체계와 관련
- ‘牙舌脣齒喉半舌半齒音’, ‘全淸次淸全濁不淸不濁’의 술어 사용
- 기본자의 제자원리 : 발음 기관 상형 (예 - 牙音 ㄱ 象舌根閉喉之形)
- 기본자의 설정
① 全淸 : 아음 (ㄱ), 치음 (ㅅ)
② 不淸不濁 : 순음 (ㅁ), 설음 (ㄴ), 후음 (ㅎ)
- 기타 초성자의 제자 : 기본자에 가획 또는 이체 형성
2) ‘’
- 東國正韻식 한자음 표기
- 동명사 어미 표기 (예 - 것)
- 사이시옷 대용(용비어천가, 훈민정음언해)
3) ‘’ : 15세기에는 초성 표기. 16세기 초엽 이후 초성 소멸, 종성으로만 사용
4) 竝書
- 各字竝書(‘全濁’) : 전청(ㄲ, ㄸ, ㅃ, ㅉ), 차청(), 주로 한자음 표기
. 동명사어미 ‘-ㄹ’ 밑에 사용 : ‘수물 꿈기’(월석, 2:51), ‘볼띠니’(월석, 8:38)
. 순수 국어의 어두음 표기(ㅆ, ) : 쓰-(書), -(引)
. 어중음 표기(), ‘’ : ‘괴’(解例 合字解), ‘다니라’(訓民正音諺解)
. ‘圓覺經諺解’로부터 전면적으로 폐지(ㅆ, ) : 어두에서의 평음과 된소리의 대립 상실의 문제 발생
- ‘ㅆ’ 부활(16세기), ‘’ 소멸
- 合用竝書
. , , , , , , , (初聲二字三字合用竝書如諺語爲地 爲隻 爲隙之類 - 解例 合字解)
. ‘’ : ‘소리 갓나 소리’ (釋譜, 19:14)
. ‘’ : ‘닌시 出闊矢’ (龍飛, 7:23) ⇒ 여진어 표기
5) 連書
- 두 문자를 위아래로 결합하는 방법 : ‘ㅇ 連書脣音之下 則爲脣輕音’ (訓民正音)
ㅇ 連書脣音之下 則爲脣輕音者 以輕音脣乍合而喉聲多也
- , , , 등이 쓰였으나 이중 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洪武正韻譯訓 등에서 중국음의 표기에 활용됨
2. 中 聲
1) 중성 기본자의 상형 - 天(), 地(ㅡ), 人(ㅣ)의 三才
舌
聲
象形
縮
深
天
ㅡ
小縮
不深不淺
地
ㅣ
不縮
淺
人
2) 기타 중성자는 이들의 합성으로 만들어짐 - 음양의 대립( ㅗ : ㅜ, ㅏ : ㅓ)
. 당시의 국어학자들은 국어의 모음조화 체계를 제자에 반영
3. 終 聲
1) 終聲復用初聲(훈민정음 본문) : ㄱㄷㄴㅂㅁㅅㄹ 八字可足用也(훈민정음 終聲解)
如곶爲梨花 의갗爲狐皮 而ㅅ字可以通用 故只用ㅅ字 - 형태음소적 원리의 이해와 실용의 편리를 모두 고려
2) 종성 합용병서 - 終聲二字三字合用 如諺語爲土
1절. 資 料
1 訓民正音 이전 資料
1) 朝鮮館譯語
- 會同館 편찬 ‘華夷譯語’의 13 館譯語 중 하나
- 15세기 초엽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
- 上段 중국어, 中段은 대당 국어 단어, 下段은 東音의 3단 표기. 총 590여 語項
2. 訓民正音 創製 이후 資料
1) 세종 ~ 단종
- 訓民正音
- 龍飛御天歌
- 釋譜詳節, 月印千江之曲
- 東國正韻
- 洪武正韻譯訓
- 四聲通巧 - 이후 최세진이 개수
2) 세조
- ‘月印釋譜’ - 현재 25권이 발견됨
- 불경 언해 류 - 楞嚴經(최초), 法華經, 金剛經, 禪宗永嘉集, 阿彌陀經, 永嘉集, 般若心經, 圓覺經, 牧牛子修心訣 諺解
- ‘救急方諺解’
- ‘五臺山 上院寺 重創 勸善文’ - 필사본
3) 성종
- 蒙山和尙法語略錄諺解
- 金剛經三家解, 永嘉大師證道歌南明泉禪師繼頌諺解, 佛項心經諺解, 靈驗略抄
- 內訓, 三綱行實圖
- 分類杜工部詩諺解(초간)
- 救急簡易方, 衿陽雜錄, 伊路波
4) 연산군
- 六祖法寶壇經諺解
- 施食勸供
5) 중종
- 續三綱行實圖, 二倫行實圖, 飜譯小學
- 呂氏鄕約諺解, 正俗諺解
- 簡易瘟方, 牛馬羊猪染疫治療方, 分門瘟疫易解方
- 飜譯老乞大, 飜譯朴通事, 老朴集覽
- 四聲通解, 訓蒙字會
6) 선조
- 七大萬法, 禪家龜鑑
- 光州간행 千字文, 石峰千字文
- 新增類合, 野雲自警, 發心修行章, 誡初心學人文
- 小學諺解, 飜譯小學(선조), 大學諺解, 中庸諺解, 論語諺解, 孟子諺解, 孝經諺解
2절. 訓民正音 體系
1. 初 聲
1) 중국 음운학의 자모 체계와 관련
- ‘牙舌脣齒喉半舌半齒音’, ‘全淸次淸全濁不淸不濁’의 술어 사용
- 기본자의 제자원리 : 발음 기관 상형 (예 - 牙音 ㄱ 象舌根閉喉之形)
- 기본자의 설정
① 全淸 : 아음 (ㄱ), 치음 (ㅅ)
② 不淸不濁 : 순음 (ㅁ), 설음 (ㄴ), 후음 (ㅎ)
- 기타 초성자의 제자 : 기본자에 가획 또는 이체 형성
2) ‘’
- 東國正韻식 한자음 표기
- 동명사 어미 표기 (예 - 것)
- 사이시옷 대용(용비어천가, 훈민정음언해)
3) ‘’ : 15세기에는 초성 표기. 16세기 초엽 이후 초성 소멸, 종성으로만 사용
4) 竝書
- 各字竝書(‘全濁’) : 전청(ㄲ, ㄸ, ㅃ, ㅉ), 차청(), 주로 한자음 표기
. 동명사어미 ‘-ㄹ’ 밑에 사용 : ‘수물 꿈기’(월석, 2:51), ‘볼띠니’(월석, 8:38)
. 순수 국어의 어두음 표기(ㅆ, ) : 쓰-(書), -(引)
. 어중음 표기(), ‘’ : ‘괴’(解例 合字解), ‘다니라’(訓民正音諺解)
. ‘圓覺經諺解’로부터 전면적으로 폐지(ㅆ, ) : 어두에서의 평음과 된소리의 대립 상실의 문제 발생
- ‘ㅆ’ 부활(16세기), ‘’ 소멸
- 合用竝書
. , , , , , , , (初聲二字三字合用竝書如諺語爲地 爲隻 爲隙之類 - 解例 合字解)
. ‘’ : ‘소리 갓나 소리’ (釋譜, 19:14)
. ‘’ : ‘닌시 出闊矢’ (龍飛, 7:23) ⇒ 여진어 표기
5) 連書
- 두 문자를 위아래로 결합하는 방법 : ‘ㅇ 連書脣音之下 則爲脣輕音’ (訓民正音)
ㅇ 連書脣音之下 則爲脣輕音者 以輕音脣乍合而喉聲多也
- , , , 등이 쓰였으나 이중 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洪武正韻譯訓 등에서 중국음의 표기에 활용됨
2. 中 聲
1) 중성 기본자의 상형 - 天(), 地(ㅡ), 人(ㅣ)의 三才
舌
聲
象形
縮
深
天
ㅡ
小縮
不深不淺
地
ㅣ
不縮
淺
人
2) 기타 중성자는 이들의 합성으로 만들어짐 - 음양의 대립( ㅗ : ㅜ, ㅏ : ㅓ)
. 당시의 국어학자들은 국어의 모음조화 체계를 제자에 반영
3. 終 聲
1) 終聲復用初聲(훈민정음 본문) : ㄱㄷㄴㅂㅁㅅㄹ 八字可足用也(훈민정음 終聲解)
如곶爲梨花 의갗爲狐皮 而ㅅ字可以通用 故只用ㅅ字 - 형태음소적 원리의 이해와 실용의 편리를 모두 고려
2) 종성 합용병서 - 終聲二字三字合用 如諺語爲土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