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절. 자료 연구
2절. 훈민정음 체계
3절. 15세기 정서법의 원리
4절 한자음 표기법
2절. 훈민정음 체계
3절. 15세기 정서법의 원리
4절 한자음 표기법
본문내용
중 기본자는 그것이 나타내는 음소를 調音(조음)하는데 관여하는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떴다고 한다.
- 2 ; 解例 用字例(해례 용자례)에서 제외.
東國正韻(동국정운)의 한자음 표기를 위하여 마련된것이기 때문.
한자음 이외의 표기에 사용된 ‘3’의 예는 세종, 세조대 문헌에 다음 두 경우에 국한
(4 것, 건너5 제 등)
-6 ; 15세기 중엽 문헌들에서 초성으로 자주 쓰였음. → 16세기 초엽 몇 예가 보이다 소멸
→ 7은 종성에만 쓰이는 문자가 됨.
-書(병서) ; 둘 또는 세 문자를 결합하는 방법
각자병서 = 동일 문자 결합( 주로 한자음 표기에 사용)
- ‘ㅆ 10 ’ ; 국어 단어의 어두음 표기에 사용.
- ‘ 11 ’ ; 어중음 표기에 사용. → 원각경 언해로부터 전면적 표기 폐지.
** 예 ) ‘쓰 → 스 쏘 → 소’ 로 표기.
→ 16세기 어두음 표기의 ‘ㅆ’ 는 다시 부활. (12 는 그렇지 못했음)
합용병서 = 서로 다른 문자 결합.
- 初聲 合用書(초성합용병서)에 대해서는 解例合字解(해례합자해)에 “初聲二字三字合用 書如諺語13爲地 14爲 15爲之類” 라.
- 연서 ; 두 문자를 위아래로 결합하는 방법
훈민정음 본문에 “16連書?音之下 則爲?輕音”이라 하였꼬 해례 제자해에서 이것을 설명하여 “16連書?音之下 則爲?輕音者 以輕音?作合 而喉聲多也” 라 하였다.
2. 中聲
훈민정음의 중성은 중국 음운학에 그 對當(대당)이 없는 것이어서 독자적으로 만들어짐.
- 해례 중성해의 첫머리에 “中聲者 居字韻之中 合初終而成音” 라 .
- 해례 제자해에 의하면 중성의 세 기본자는 天(천), 地(지), 人(인) 三才(삼재)의 모양을 본 떴다 함.
“ 19舌縮而聲深 天開於子也 形之園 象乎天也 一舌小縮而聲不深不천 之?於丑也 形之平 象平地也 ㅣ 舌不縮而聲천 人生於인也 形之立 象乎人也”
- 여타의 중성자들은 이 기본자들의 합성으로 이루어 졌다. (교재 132: 6~11한자)
- 이 합성에 있어 ‘ㅗ’와 ‘ㅜ’, ‘ㅏ’와 ‘ㅓ’등의 자형상의 대립이 주목되는데 이것은 ‘ㅗ’와
‘ㅏ’는 陽(양) 이고 ‘ㅜ’와 ‘ㅓ’는 陰(음)이기 때문. (교재 132 ; 13 ~14 한자)
3. 終聲
- 해례 종성해에서 8자 체계로 규정.
“ ㄱ 20 ㄷ ㄴ ㅂ ㅁ ㅅ ㄹ 八字可足用지” 라. 하여 이 밖의 초성은 종성으로 쓸 필요가 없음을 지적.
- 종성 합용병서에 대해서는 해례 합자해에 “終聲二字三字合用 如諺語21爲土
- 2 ; 解例 用字例(해례 용자례)에서 제외.
東國正韻(동국정운)의 한자음 표기를 위하여 마련된것이기 때문.
한자음 이외의 표기에 사용된 ‘3’의 예는 세종, 세조대 문헌에 다음 두 경우에 국한
(4 것, 건너5 제 등)
-6 ; 15세기 중엽 문헌들에서 초성으로 자주 쓰였음. → 16세기 초엽 몇 예가 보이다 소멸
→ 7은 종성에만 쓰이는 문자가 됨.
-書(병서) ; 둘 또는 세 문자를 결합하는 방법
각자병서 = 동일 문자 결합( 주로 한자음 표기에 사용)
- ‘ㅆ 10 ’ ; 국어 단어의 어두음 표기에 사용.
- ‘ 11 ’ ; 어중음 표기에 사용. → 원각경 언해로부터 전면적 표기 폐지.
** 예 ) ‘쓰 → 스 쏘 → 소’ 로 표기.
→ 16세기 어두음 표기의 ‘ㅆ’ 는 다시 부활. (12 는 그렇지 못했음)
합용병서 = 서로 다른 문자 결합.
- 初聲 合用書(초성합용병서)에 대해서는 解例合字解(해례합자해)에 “初聲二字三字合用 書如諺語13爲地 14爲 15爲之類” 라.
- 연서 ; 두 문자를 위아래로 결합하는 방법
훈민정음 본문에 “16連書?音之下 則爲?輕音”이라 하였꼬 해례 제자해에서 이것을 설명하여 “16連書?音之下 則爲?輕音者 以輕音?作合 而喉聲多也” 라 하였다.
2. 中聲
훈민정음의 중성은 중국 음운학에 그 對當(대당)이 없는 것이어서 독자적으로 만들어짐.
- 해례 중성해의 첫머리에 “中聲者 居字韻之中 合初終而成音” 라 .
- 해례 제자해에 의하면 중성의 세 기본자는 天(천), 地(지), 人(인) 三才(삼재)의 모양을 본 떴다 함.
“ 19舌縮而聲深 天開於子也 形之園 象乎天也 一舌小縮而聲不深不천 之?於丑也 形之平 象平地也 ㅣ 舌不縮而聲천 人生於인也 形之立 象乎人也”
- 여타의 중성자들은 이 기본자들의 합성으로 이루어 졌다. (교재 132: 6~11한자)
- 이 합성에 있어 ‘ㅗ’와 ‘ㅜ’, ‘ㅏ’와 ‘ㅓ’등의 자형상의 대립이 주목되는데 이것은 ‘ㅗ’와
‘ㅏ’는 陽(양) 이고 ‘ㅜ’와 ‘ㅓ’는 陰(음)이기 때문. (교재 132 ; 13 ~14 한자)
3. 終聲
- 해례 종성해에서 8자 체계로 규정.
“ ㄱ 20 ㄷ ㄴ ㅂ ㅁ ㅅ ㄹ 八字可足用지” 라. 하여 이 밖의 초성은 종성으로 쓸 필요가 없음을 지적.
- 종성 합용병서에 대해서는 해례 합자해에 “終聲二字三字合用 如諺語21爲土
추천자료
국어지식 교육과 학교문법의 역사 및 현황, 문제점
국어하.고등국어.학습지도안(1.국어가 걸어온 길)
국어의 형성과정
[한국근대 국어 표기법][한국근대 국어 파생형용사][한국근대 희곡][한국근대 시][한국근대 ...
국어사-<용비어천가>의 문헌적 특징과 국어사 자료로서의 특징
[음절][국어][음절화][운율음운론][고대국어][영어 음절화]국어 음절의 구성, 국어 음절의 제...
[존대]국어 존대(존대법, 경어, 높임말) 주체존대법과 구동사구문, 국어 존대(존대법, 경어, ...
고대국어 자음체계
고대국어 자음체계
국어 부사의 성립
근대국어의 파생어
제5장 국어의 어휘 김광해『국어 어휘론 개설』(국어 지식탐구 요약)
국어교과서 수록 현대소설 교육의 실제 박완서 옥상의 민들레꽃을 중심으로
[음절구조, 최적성이론, 고대국어,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불어, 프랑스어]음절구조와 최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