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공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력공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전력(송배전)계통, 그 설비의 종류
2. 직류송전방식과 교류송전방식의 설명 및 각각의 장단점 우리 나라의 직류송전방식
3. 우리나라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압
4. 가공 전선로와 지중 전선로 설명. 각각의 장단점
5. 전선의 종류 구조 및 재질에 의해 분류 ACSR전선, 전선의 허용 전류
6. 이도란?
7. 가공 송전선로의 진동현상
8. 애자의 기능, 역할 구비조건 초호환, 초호각.
9. 가공 전선로용 지지물, 선정 시 고려할 사항
10. 철탑 분류 및 전선로의 긍장
11. 전력 케이블의 구비조건(도체, 절연재료)
12. 초전도 케이블 및 가스절연 송전선로용

본문내용

전 전압이 많이 쓰이고 있다.
[154kV]: 과거 우리나라의 기간 송전 계통을 이룬 송전 전압으로서 60년대 초반의 방사상 계통에서 60년대 후반부터는 루프상의 계통으로 확장 되었다. 또한 1968년 이후 유 효접지 방식으로 전환 운전 중 이며 거의 모든 선로가 2회선으로 구성되고 있으나 송전 용량은 회선당 100[MW]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345kV]: 현재 우리나라의 송전 계통의 골격을 이루고 있는 기간 송전 전압이다. 지난 1976 년부터 운전되기 시작해서 대규모 발전소의 송전과 지역간 연계를 위한 전력 계통 으로서의 기능을 다하고 있다. 접지 방식은 역시 유효 접지 방식을 채택하고 2회선 구성을 표준으로하고 있으며 회선당 송전 용량도 600[MW]에 이르고 있으며 계속 확장 중에 있다.
[765kV]: 초고압 시대가 열리며 최근 계통 규모가 6000만[kW]를 넘었고, 전원 입지상 한 곳 에서 수백만[kW]가 넘는 대용령 발전소가 집중적으로 개발되고 있기 때문에 이제 까지의 345[kV] 송전으로는 다수의 회선수가 요구되기 때문에, 다시 이 송전 전압 을 격상 시키지 않으면 안 되게 되었다. 이를 위해서 현재 우리 나라의 최고 송전 전압으로서 765[kV] 송전 전압이 채택되어 서해안의 대용량 화력단지와 영동의 원 자력단지를 경인 지구에 연결하는 765[kV] 송전선이 2000년대 초에 준공되어 운전 중에 있다. 765[kV]송전 전압은 아시아에서도 제일 높은 송전전압으로 되고 있다.
4. 가공 전선로와 지중 전선로 설명. 각각의 장단점
가공 전선로: 전선을 목주, 철주, 콘크리트 주 또는 철탑 등에 애자로 지지하는 방식이며, 지 중 설비에 비해 저렴하고 기간이 건설 기간이 짧으며, 고장점의 발견과 복구가 용이하지만 도일 루트에 4회선 이상 쓰기 어렵기에 전력 공급에 한계가 있고 도심 환경 저해 요인이기도 하며 유도장해가 있다.
지중 전선로: 도체에 특수한 절연을 입힌 전력 케이블을 지하에 매설해서 송배전을 하도록 한 방식이며, 다수의 회선을 같은 루트에 시설이 가능하며 지하에 매설 되었기 에 환경적인 조화가 용이 하며 기상 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아 설비의 안정성이 높으나 건설비가 비싸고 고장이 났을 경우 수리하기 어려우며 가공 전선로에 비해 같은 굵기의 도체 송전 용량이 적다.
5. 전선의 종류 구조 및 재질에 의해 분류 ACSR전선, 전선의 허용 전류
구조에 의한 분류
단선 : 단면이 원형(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11.06
  • 저작시기20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23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