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작품 분석
2. 작품 특징
2. 작품 특징
본문내용
자어내여 무안한 김에 뭇득 나아오는 소리로,/ ‘곰압소.’ / 한 마듸 대답하엿스니, 허운의 곰압다는 말은 엇진 인지 저술자도 몰으겠는대,”(419)
위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서술자는 ‘저술자’라는 이름으로 액자 안에서 자신의 존재를 드러낸다. 그리고 액자 밖에서도 “화담 선생의 이야기가 그 밖에도 많지마는 이웃 친구에게 들은 바는 이뿐이기에 그만 그쳤다가 이 다음에 또 듣는 대로 저술하고자 한다.”라고 하면서 다시 그 모습을 드러낸다.
그런데 ‘화담’이라 부르겠다고 한 서술자는 ‘최효자’와 관련된 삽화와 동생과 조카의 도술, 제자 ‘허운’에 대한 삽화 ‘선생’이라는 호칭을 쓰고 있다.
<참고 문헌>
『홍길동전전우치전서화담전』, 김일렬 역주, 한국고전문학전집 25,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6
위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서술자는 ‘저술자’라는 이름으로 액자 안에서 자신의 존재를 드러낸다. 그리고 액자 밖에서도 “화담 선생의 이야기가 그 밖에도 많지마는 이웃 친구에게 들은 바는 이뿐이기에 그만 그쳤다가 이 다음에 또 듣는 대로 저술하고자 한다.”라고 하면서 다시 그 모습을 드러낸다.
그런데 ‘화담’이라 부르겠다고 한 서술자는 ‘최효자’와 관련된 삽화와 동생과 조카의 도술, 제자 ‘허운’에 대한 삽화 ‘선생’이라는 호칭을 쓰고 있다.
<참고 문헌>
『홍길동전전우치전서화담전』, 김일렬 역주, 한국고전문학전집 25,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6
키워드
추천자료
중국고전소설을 시대별로 정리
고전소설 소설사
[고전문학] 임진왜란이 고전소설에 준 영향에 대한 심층 연구
고전소설론 임진록[壬辰錄] 조사 분석
고전소설 - 방한림전
2009년 2학기 고전소설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고전소설- 최치원
고전소설 '전우치'와 영화 '전우치전' 비교감상문
고전소설 <국선생전(麴先生傳)> 문화컨텐츠접목 현대적 적용방안
[고전소설강독 3공통] 일제 강점기 말기에 ‘고전’의 가치에 대해 깊이 천착했던 잡지 ‘문장’...
고전소설강독 경판본 고소설 「홍길동전」과 박태원의 「홍길동전」을 비교 분석해 보시오 (...
고전소설속의 나오는 역학법칙
한국고전소설연구 - 『사씨남정기』의 사씨의 성격 연구 - 작가의 시대인식을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