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고향에 돌아와 부인 ‘최 씨’와 편안한 삶을 살아간다. 그들에게는 ‘채옥’과 ‘채란’이라는 딸과 ‘풍’이라는 아들이 있었다.
하루는 이웃집 노파가 옆 마을에 사는 ‘송씨’라는 여자가 현숙하다기에 ‘최 씨’는 ‘양태백’에게 첩을 둘 것을 권한다. ‘양태백’은 처음에는 거절하지만 승낙하고 ‘송 씨’를 첩으로 맞는다. 이후 ‘양태백’은 ‘송 씨’에게 마음을 빼앗겨 만사를 버리고 곁을 떠나지 않는다. ‘송 씨’는 마음이 방자해져 처인 ‘최 씨’를 어렵게 생각하지 않지만 ‘최 씨’는 모른 척 한다. 그러던 어느 날 ‘최 씨’를 병을 핑계 삼아, ‘최 씨’와 함께 있으면 자신이 죽게 된다는 관상쟁이의 말을 ‘양태백’에게 전한다. 이에 ‘양태백’은 부인과 자식들을 내쫓는다. ‘최 씨’는 자신은 칠거지악(七去之惡)을 행하지도 않았고, 조강지처(糟糠之妻) 불하당(不下당(堂)이기에 이럴 수는 없는 일이라고 버틴다. 그러나 ‘양태백’은 끄떡도 하지 않는다.
‘채옥’과 ‘채란’은 아버지에게 이런 처사가 옳지 않다고 말해 보지만 어린아이의 말이라고 듣지도 않는다. 이어 ‘송 씨’를 비난하자, ‘송 씨’는 죽는 시늉을 한다. ‘양태백’은 딸들을 형틀에 매었다가 ‘최 씨’와 함께
하루는 이웃집 노파가 옆 마을에 사는 ‘송씨’라는 여자가 현숙하다기에 ‘최 씨’는 ‘양태백’에게 첩을 둘 것을 권한다. ‘양태백’은 처음에는 거절하지만 승낙하고 ‘송 씨’를 첩으로 맞는다. 이후 ‘양태백’은 ‘송 씨’에게 마음을 빼앗겨 만사를 버리고 곁을 떠나지 않는다. ‘송 씨’는 마음이 방자해져 처인 ‘최 씨’를 어렵게 생각하지 않지만 ‘최 씨’는 모른 척 한다. 그러던 어느 날 ‘최 씨’를 병을 핑계 삼아, ‘최 씨’와 함께 있으면 자신이 죽게 된다는 관상쟁이의 말을 ‘양태백’에게 전한다. 이에 ‘양태백’은 부인과 자식들을 내쫓는다. ‘최 씨’는 자신은 칠거지악(七去之惡)을 행하지도 않았고, 조강지처(糟糠之妻) 불하당(不下당(堂)이기에 이럴 수는 없는 일이라고 버틴다. 그러나 ‘양태백’은 끄떡도 하지 않는다.
‘채옥’과 ‘채란’은 아버지에게 이런 처사가 옳지 않다고 말해 보지만 어린아이의 말이라고 듣지도 않는다. 이어 ‘송 씨’를 비난하자, ‘송 씨’는 죽는 시늉을 한다. ‘양태백’은 딸들을 형틀에 매었다가 ‘최 씨’와 함께
추천자료
[고전문학] 「박씨전」에 나타나는 사상 - 민간신앙
고전소설 소설사
[고전문학] 임진왜란이 고전소설에 준 영향에 대한 심층 연구
[고전소설]심청전을 읽고
고전소설 - 방한림전
고전소설의 문화컨텐츠 활용 방안
2009년 2학기 고전소설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고전소설- 최치원
고전소설 '전우치'와 영화 '전우치전' 비교감상문
[고전소설강독 3공통] 일제 강점기 말기에 ‘고전’의 가치에 대해 깊이 천착했던 잡지 ‘문장’...
고전소설강독 경판본 고소설 「홍길동전」과 박태원의 「홍길동전」을 비교 분석해 보시오 (...
고전소설속의 나오는 역학법칙
한국고전소설연구 - 『사씨남정기』의 사씨의 성격 연구 - 작가의 시대인식을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