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도시행정의 기초
1. 도시의 의의와 유형
제 1절 도시의 의의
ⅰ. 도시의 개념과 특징
ⅱ. 도시의 변천과정
ⅲ. 도시의 기준
ⅳ. 도시의 성장요인
제 2절 도시의 유형
ⅰ. 인구규모별 분류
ⅱ. 공간구조에 의한 분류
ⅲ. 개발정책에 따른 분류
ⅳ. 법제에 따른 분류
ⅴ. 기능에 따른 분류
1. 도시의 의의와 유형
제 1절 도시의 의의
ⅰ. 도시의 개념과 특징
ⅱ. 도시의 변천과정
ⅲ. 도시의 기준
ⅳ. 도시의 성장요인
제 2절 도시의 유형
ⅰ. 인구규모별 분류
ⅱ. 공간구조에 의한 분류
ⅲ. 개발정책에 따른 분류
ⅳ. 법제에 따른 분류
ⅴ. 기능에 따른 분류
본문내용
로 불린다.
한국의 대덕연구단지(현재 한국에너지연구소 ·한국동력자원연구소 ·한국표준연구소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소 ·한국화학연구소 ·한국인삼연초연구소 ·한국과학재단 등 13개 정부 출연 연구기관과, 쌍용중앙연구소 ·럭키중앙연구소 ·한양화학중앙연구소 등의 민간연구기관이 있다. 또 교육기관으로서 충남대학과 충남전산전문대학 ·한국과학기술대학이 있고, 연구원 수도 2만여 명),
실리콘벨리(팰러앨토시(市)에서 새너제이시에 걸쳐 길이 48km, 너비 16km의 띠 모양으로 전개. 반도체 생산뿐만 아니라, 반도체가 만들어내는 온갖 종류의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관련기업도 약 80개사가 참여, 첨단기술분야에서의 기술혁신, 벤처비즈니스, 벤처캐피털에 의해서 일대 산업복합체가 형성되어 있다. 이곳에서 급성장한 대표적 기업으로는 페어차일드, 인텔 등의 반도체 관련기업이 있다. 국내기업으로는 1983년의 현대전자를 비롯하여 삼성 ·엘지 등의 전자회사가 진출하였으며, 한국인 운영의 군소 관련업체만도 20여 개가 된다),
츠쿠바연구학원도시(츠쿠바대학을 비롯 일본화학연구소, 산업기술종합연구소, 국립환경연구소, 기상연구소, 츠쿠바우주센터, 농림기술연구소......)
6)창조도시: 도시가 문화를 경제발전의 원동력으로 활용하기 위해 문화, 예술을 통한 도심재생의 창조도시를 추진. 광주, 부산, 강릉 등.....
7)혁신도시: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기본으로 산, 학, 연, 관이 협력할 수 있는 최적의 혁신여건과 수준높은 교육, 주거, 문화 등 정주환경을 갖춘 미래형 도시.
대구신서혁신도시, 나주혁신도시.......
ⅳ. 법제에 따른 분류
1)특별시
2)광역시
3)시
ⅴ. 기능에 따른 분류
1)정치행정도시: 행정수도로서 국가의 정치적 중추기능이나 도청소재지로서 지방정치와 행정의 중심 기능-과천, 연기공주, 도청소재지들이 해당.
2)공업도시: 광업이나 공업의 생산기능 수행. 구미, 창원, 울산, 포항.......
3)상업도시: 교통의 요지. 물자의 이동, 저장, 판매 기능. 부산, 인천 목포, 대구.......
4)교육도시: 도시가 학교를 중심으로 형성되거나 학생들이 인구의 많은 비중을 차지. 진주, 청주, 경산.
5)문화도시: 역사도시 또는 근대적 문화시설을 가지고 있는 도시. 경주, 제주, 김해, 충주, 부여....
6)관광휴양도시: 문화재나 명승지, 온천 등의 관광자원 보유도시. 경부, 부여, 태백, 제주 등
7)종합도시:
한국의 대덕연구단지(현재 한국에너지연구소 ·한국동력자원연구소 ·한국표준연구소 ·한국기계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소 ·한국화학연구소 ·한국인삼연초연구소 ·한국과학재단 등 13개 정부 출연 연구기관과, 쌍용중앙연구소 ·럭키중앙연구소 ·한양화학중앙연구소 등의 민간연구기관이 있다. 또 교육기관으로서 충남대학과 충남전산전문대학 ·한국과학기술대학이 있고, 연구원 수도 2만여 명),
실리콘벨리(팰러앨토시(市)에서 새너제이시에 걸쳐 길이 48km, 너비 16km의 띠 모양으로 전개. 반도체 생산뿐만 아니라, 반도체가 만들어내는 온갖 종류의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관련기업도 약 80개사가 참여, 첨단기술분야에서의 기술혁신, 벤처비즈니스, 벤처캐피털에 의해서 일대 산업복합체가 형성되어 있다. 이곳에서 급성장한 대표적 기업으로는 페어차일드, 인텔 등의 반도체 관련기업이 있다. 국내기업으로는 1983년의 현대전자를 비롯하여 삼성 ·엘지 등의 전자회사가 진출하였으며, 한국인 운영의 군소 관련업체만도 20여 개가 된다),
츠쿠바연구학원도시(츠쿠바대학을 비롯 일본화학연구소, 산업기술종합연구소, 국립환경연구소, 기상연구소, 츠쿠바우주센터, 농림기술연구소......)
6)창조도시: 도시가 문화를 경제발전의 원동력으로 활용하기 위해 문화, 예술을 통한 도심재생의 창조도시를 추진. 광주, 부산, 강릉 등.....
7)혁신도시: 공공기관 지방이전을 기본으로 산, 학, 연, 관이 협력할 수 있는 최적의 혁신여건과 수준높은 교육, 주거, 문화 등 정주환경을 갖춘 미래형 도시.
대구신서혁신도시, 나주혁신도시.......
ⅳ. 법제에 따른 분류
1)특별시
2)광역시
3)시
ⅴ. 기능에 따른 분류
1)정치행정도시: 행정수도로서 국가의 정치적 중추기능이나 도청소재지로서 지방정치와 행정의 중심 기능-과천, 연기공주, 도청소재지들이 해당.
2)공업도시: 광업이나 공업의 생산기능 수행. 구미, 창원, 울산, 포항.......
3)상업도시: 교통의 요지. 물자의 이동, 저장, 판매 기능. 부산, 인천 목포, 대구.......
4)교육도시: 도시가 학교를 중심으로 형성되거나 학생들이 인구의 많은 비중을 차지. 진주, 청주, 경산.
5)문화도시: 역사도시 또는 근대적 문화시설을 가지고 있는 도시. 경주, 제주, 김해, 충주, 부여....
6)관광휴양도시: 문화재나 명승지, 온천 등의 관광자원 보유도시. 경부, 부여, 태백, 제주 등
7)종합도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