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이상화 시의 변모 양상
1.민족적 비애와 낭만 정신
2.현실인식과 저항 의식의 시적 의미
3.국토예찬과 민족정신의 추구
Ⅲ.결론
※참고문헌※
Ⅱ.이상화 시의 변모 양상
1.민족적 비애와 낭만 정신
2.현실인식과 저항 의식의 시적 의미
3.국토예찬과 민족정신의 추구
Ⅲ.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간을 배경으로 하여 마돈나를 부르며 마돈나와의 이룰 수 없는 결합을 꿈꾸었다. 이는 절망적인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것은 꿈의 세계 즉, 환상의 세계라 생각하고 밤과 꿈이라는 도피적인 방식으로 현실의 억압에서 벗어나 현실적인 욕망을 성취하고 환상적인 시간 속에서 전체의 회복을 위한 꿈의 실현을 노래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상화는 이 시에서 결코 현실의 고통과 깨우침을 외면하지 못했고 또한 도피에의 욕망도 버리지 못하는 대립과 긴장의 연속적인 형태를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현실적 욕구와 잠재적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기형적인 삶의 방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자아상실의 비애와 고뇌를 읽을 수 있다. 이와 유사한 체취를 느끼게 하는 시로는 <허무교도의 찬송가>,<그날이 그립다>,<청년>등의 작품을 들 수 있는데 <나의 침실로>에서 표출되고 있는 자아상실의 비극적 체험에 의한 감상과 퇴폐의 시적특질은 『백조』동인들의 시에서도 유사한 시적경향을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1920년대 초기시의 지배적 흐름을 대표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상화의 초기시에서 보이는 시적특질은 민족적 비애와 낭만정신으로 감상과 퇴폐의 다양한 시적양상으로 보여주면서 절망을 절망으로 인식했기에 비극적 현실과 주체의 부동성으로 인한 자아 상실의 비애와 고뇌를 표현한 것이라 본다. 그러나 이는 스스로의 처지와 위치를 보다 명확하게 인식하게 되는 계기가 되어 경향파 집단에 가담하면서 자신의 삶을 더욱 강렬한 투지와 현실인식으로 전환시키는 시의 변모를 가져오게 되는 것이다. 하재현, 앞의 논문, pp.25~27.
2.현실인식과 저항 의식의 시적 의미
1922년을 전후하여 신경향파가 나타나고 1925년 8월에 KAPF가 결성되면서 KAPF 결성당시 초기 구성원의 한사람이었던 이상화는 KAPF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그의 시세계는 또 다른 면모를 보여준다. 3.1운동이후 고양된 민중운동과 사회운동의 영향 그리고 새로운 사상을 받아들이면서 이상화는 점차 관념적이고 자기 폐쇄적인 세계에서 벗어나 식민지 현실을 구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KAPF에 가입한 1925년 이후에 발표된 그의 시들은 종래의 감상적이고 퇴폐적인 경향과는 달리 식민지 민족현실에 대한 폭넓은 인식과 일제에 대한 은밀한 저항의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김재용김상경 외, 앞의 책, p.405.
이상화의 저항의식을 표출하는 시편들은 그 표현내용에 따라 적극적인 저항과 소극적인 저항으로 분류할 수 있고 또한 저항의식의 표출은 적극적인 저항에서 소극적인 저항으로 변모해 가고 있는 것이다. 하재현, 앞의 논문, p.38.
먼저 적극적인 저항의식으로 표출한 작품을 고찰해보면 아래와 같다.
아, 가도다, 가도다,쪼처가도다
이즘속에 잇는 間島와 遼東벌로
주린목숨움켜쥐고, 쪼처가도다
진흙을 밥으로, 햇채를마셔도
마구나, 가젓드면, 단잠은얽맬 것을―
사람을만든검아, 하로일즉
차라로주린목숨빼서가거라!
아, 사노라, 취해사노라
自暴속에잇는서울과시골로
멍든목숨행여갈가, 취해사노라
어둔밤말업는
2.현실인식과 저항 의식의 시적 의미
1922년을 전후하여 신경향파가 나타나고 1925년 8월에 KAPF가 결성되면서 KAPF 결성당시 초기 구성원의 한사람이었던 이상화는 KAPF와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그의 시세계는 또 다른 면모를 보여준다. 3.1운동이후 고양된 민중운동과 사회운동의 영향 그리고 새로운 사상을 받아들이면서 이상화는 점차 관념적이고 자기 폐쇄적인 세계에서 벗어나 식민지 현실을 구체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KAPF에 가입한 1925년 이후에 발표된 그의 시들은 종래의 감상적이고 퇴폐적인 경향과는 달리 식민지 민족현실에 대한 폭넓은 인식과 일제에 대한 은밀한 저항의식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김재용김상경 외, 앞의 책, p.405.
이상화의 저항의식을 표출하는 시편들은 그 표현내용에 따라 적극적인 저항과 소극적인 저항으로 분류할 수 있고 또한 저항의식의 표출은 적극적인 저항에서 소극적인 저항으로 변모해 가고 있는 것이다. 하재현, 앞의 논문, p.38.
먼저 적극적인 저항의식으로 표출한 작품을 고찰해보면 아래와 같다.
아, 가도다, 가도다,쪼처가도다
이즘속에 잇는 間島와 遼東벌로
주린목숨움켜쥐고, 쪼처가도다
진흙을 밥으로, 햇채를마셔도
마구나, 가젓드면, 단잠은얽맬 것을―
사람을만든검아, 하로일즉
차라로주린목숨빼서가거라!
아, 사노라, 취해사노라
自暴속에잇는서울과시골로
멍든목숨행여갈가, 취해사노라
어둔밤말업는
키워드
추천자료
자화상, 절정,참회록 시의 아포리아를 넘어서와 한국현대시 감상론 비교
현대시의 원리와 구조에 대하여
<시문학파>연구 -순수성을 중심으로
80년대 이후 시의 현대성
60년대 서정시의 변화와 발전 - 현대시 동인을 중심으로.
세속도시의 즐거움
2009년 1학기 현대문학강독 중간시험과제물 공통(현대시 동인의 작품과 시세계의 특성)
2010년 1학기 현대문학강독 중간시험과제물 공통1(현대시 동인 2인의 작품분석)
현대 문학 특강 <1930년대 모더니즘 - 김기림, 김광균, 이상>
시와 이미지에 대하여
시인과 시적 화자
이상(李箱) 시 연구 - 오감도 시제1호(烏瞰圖 詩第一號) & 오감도 시제15호(烏瞰圖 詩第...
김수영 시론
현대시 교육의 목표,교육과정기 현대시 교육,현대시 교육의 주요 양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