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대 이후 시의 현대성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80년대 이후 시의 현대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80년대 詩에 나타난 현대성
1. 해체詩
2. 민중詩
① 노동시
② 교사시
③농민시
④ 여성시
3. 도시詩
4. 베스트셀러 시집

Ⅲ. 90년대 이후의 詩에 나타난 현대성
1. 패러디(parody)
2. 패스티쉬(pastiche)
3. 키취(kitsch)
4. 낙서시

Ⅳ 결론

본문내용

회적 환경변화는 광주민주화운동과 5공화국의 출현이라고 할 수 있다. 80년대가 詩의 시대가 된 것은 다분히 문학 내적인 요인보다는 80년대의 정치사회적 상황에서 기인된 것으로 보인다. 민주국가로서는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언론통폐합이 자행되고, 수많은 잡지와 문예지가 강제로 폐간 당하는 사태를 비롯하여 암흑시대를 연상시키는 독재정치가 시대를 무겁게 짓누르던 상황은 당연히 문학에서의 표현의 자유도 억압당할 수밖에 없었다. 특히 소설은 장르적 특성상 시대적 제약에 가장 크게 위축된 반면에 시는 객관화를 지향하는 소설장르와는 달리 세계의 자기화 내지 주관화를 지향하면서 시대적 억압에 반응할 수 있는 상대적 자유를 가질 수 있었다는 요인이 시의 활성화에 기여했다고 본다.
황지우, 박남철, 장정일, 하재봉, 김영승, 안도현, 기형도, 이윤택 등을 중심으로 한 해체詩는 정치사회적 모순에 첨예하게 대응하는 시인들의 절망과 분노가 빚어낸 무력감이 시 형태의 해체와 파괴라는 전위적 수법과 자유분방함으로 표출되었다고 본다. 민중詩는 노동시, 농민시, 교사시, 여성 해방시를 아우르는 개념인데, 정치性)의 소외계층이랄 수 있는 도시의 근로자, 농민, 교사, 여성들에 의해서 이러한 시적 경향이 출현됐다. 기존체제와 권력집단의 억압과 모순이 증대되면 될 수록 다른 한편에서 이에 도전하고 반항하는 세력의 힘도 커지는 법이다. 80년대 중반으로 접어들면서 민중중심의 사회변혁운동이 그 어느 때보다 활발했다. 바로 이러한 80년대적 상황, 시대사조로서 마르크스주의적 리얼리즘과 페미니즘의 유행이 다양한 민중詩를 출현시켰고, 활성화시키는 데 기여했다. 박노해의 『노동의 새벽』, 김용택의 『섬진강』과 정동주의 『농투산이의 노래』, 고정희의 『여성해방출사표』 등이 80년대 민중시의 대표작이다.
단기간에 수십만 부의 판매를 기록한 대중시의 출현도 빼놓을 수 없는 80년대적 특징이다. 도종환, 이해인, 서정윤, 김초혜 등은 주부나 청소년층의 특정향유계층의 센티멘탈리즘의 공략에 성공함으로써 시가 상업적으로 성공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시대의 첨예한 모순과 갈등은 단형의 서정시로서는 대립적 세계에 대한 자아의 갈등을 충분히 표현할 수 없어 서사시, 장시, 이야기시, 연작시 등을 통한 시의 장형화 내지 산문화 경향을 초래했다.
80년대까지 우리詩는 산업사회로의 사회변동과 당대의 정치적 상황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크게 리얼리즘 성격의 민중詩와 모더니즘적 성격의 도시詩, 해체詩 등의 큰 흐름을 형성하여 왔다고 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80년대 시가 해체시의 출현, 민중시의 활성화, 베스트셀러 시집의 출현과 장시 등의 특징을 갖는 것으로 요약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1. 해체詩
* 해체시
1960년대 후반부터 발표한 일련의 책들에서 전통적인 서양의 형이상학에 대해 중요한 비평을 가한 프랑스의 자크 데리다가 주도한 문학 비평의 유파나 그 운동을 해체(deconstruction)라 한다. 해체 이론은 ‘말 중심주의(logocentrism)’의 허실을 파헤침으로써 언어를 개념과 대상으로부터 해방시켰다. 이러한 방법론에 기대어 쓴 시를 해체시라고 할 수 있다. 한국 문학에서 해체시는 80년대 초 황지우, 박남철 등에 의해 씌어진 전통시의 형태를 파괴한 일련의 전위적 실험시를 가리키는 용어로 김준오의 『도시시와 해체시』에서 사용되었다. 해체시는 시인의 세계관이 유보된 상태에서 있는 그대로의 현실을, 묘사가 아니라 표절하고 습득하고 인용하는 형태를 취한다. 언어가 더 이상 현실을 완벽하게 재현할 수 없다는 언어에 대한 불신에서 전통 詩형식의 파괴라는 해체의 충격이 가시화된 시가 바로 해체시이다. http://cbkh.com.ne.kr/sauce/용어사전/해체시.htm
황지우는 80년대 초반, 파괴를 양식화한다고 스스로 말할 수 있을 만큼 여러 시도를 보여주었다. 『새들도 세상을 뜨는구나』와 『겨울-나무에서 봄-나무에로』 두 시집에서 황지우는 의식의 흐름을 연상적으로 진술하기도 하고 신문지나 잡지, 혹은 인쇄매체를 오려 붙인 꼴라쥬 기법을 과감하게 구사하는가 하면, 활자조작, 비어와 속어, 산문적 진술 체계를 시에 도입하기도 하였다. 황지우의 시에서 신문 외신면의 <세계의 표정>, 만화 한 장면, 개인 연표, TV 아나운서의 발언, 게시판의 벽보, CM송, 전자오락실의 풍경 등은 그 자체로 시를 이루었다.
숑숑숑숑숑숑숑숑숑숑숑숑숑숑숑숑숑
띠리릭 띠리릭 띠리리리리리리릭
피웅피웅 피우피웅 피웅피웅피웅피웅
꽝 ! ㄲ ㅗ ㅏㅇ!
PLEASE DEPOSIT COIN
AND TRY THIS GAME!
또르르르륵
그리고 또다른 동전들과 바뀌어지는
숑숑과 피웅피웅과 꽝
- 황지우 <한국생명보험회사 송일환씨의 어느 날> 부분
위의 시에서는 거리의 전자오락실에서 나오는 굉음을 소리대로 표기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언어를 해체하고 있다. 이러한 표기들은 물론 80년대의 산업사회의 풍경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데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즉 전자오락실의 굉음과 화면은 별다른 오락거리도 이상도 찾지 못하고 있는 도시인들이 전자오락실에서만 환상을 가질 수 있는 현실을 아주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황지우의 시는 언어로 이루어진다는 시에 대한 기존 관념을 해체하고 있다. 황지우는 “나는 말할 수 없음으로 양식을 파괴한다. 아니 파괴를 양식화한다.”고 고백하고 있는데, 이는 파괴의 양식화가 의사소통의 한 방법임을 의미한다. 황지우는 표현할 수 없는 것, 은폐되어 있는 진실을 양식의 해체를 통해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뉴욕, 흐림, 0℃, 레이건 국방비 증액
런던, 짙은 안개, 4-5℃, 무가베, 엔코모 비난
파리, 비, 2℃, 미테랑 무기 판매 결정
본, 눈, -5℃~-11℃, 波 계엄 위반자 14만 5천명
모스크바, 폭설, -5~-11℃, 행정 조직에 黨 통제 중요
동경, 흐림 11~5℃,波 수천 명 검거
리오데자네이로, 폭우, 37~20℃,美, 엘살바도르 파병 부인
집으로 돌아오는 골목길에 오줌 싸려는 나의 포즈를 가로등이 등뒤에서 길게 내 이마 앞에 때려 눕혀 논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8.08.23
  • 저작시기2007.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67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