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전(傳)’이라는 소설
Ⅱ. 끝이 있는 여행
Ⅲ. 결론
Ⅱ. 끝이 있는 여행
Ⅲ. 결론
본문내용
나 갈 방법은 없기에 다시 도우미가 필요하다. ‘향의’의 무사 중 ‘태연’이라는 자의 도움으로 ‘성의’는 목숨을 건지지만 두 눈이 멀어 정처 없이 흘러 어느 땅에 도착한다.
‘향의’는 부모님에게 ‘성의’가 불교에 귀의하여 돌아오지 않아 자신이 대신 ‘일영주’를 가지고 왔다고 하고, 왕비의 병을 낫게 하지만 왕과 왕비는 ‘성의’를 계속 생각한다.
어느 땅인지 모르는 곳에 흘러 온 ‘성의’는 대숲에 들어가서 대나무 하나를 꺾어 ‘단저’를 만든다. 그 소리는 “해상에서 시선의 저 소리를 듣고 곡조를 능통한” 것이다. 이 소리에 산천이 감동한다.
다시 주인공에게는 도우미가 필요하다. 이번에는 중국 사신 ‘호승상’으로 ‘성의’의 피리 소리에 감동하여 그를 데리고 중국으로 돌아가 ‘천자’에게 소개한다. 이야기 문법에 따라 ‘천자’에게는 재덕을 겸비한 딸이 있게 마련, ‘성의’의 피리 소리에 감동할 감상력을 갖춘 그녀이기에 그와 자주 만난다. 남녀칠세부동석(男女七世不同席)이라는 항목도 이들의 만남을 가로막지 못한다. 왜냐하면 ‘성의’는 장님이기 때문이다.
주인공은 끝까지 자신을 숨긴다. 어릴 때 부모를 잃고 유리표박(遊離漂迫)하다 수적(水賊)을 만나 두 눈을 잃었다는 처음의 말을 되풀이한다. 자신의 신분을 철저히 숨겨 형의 악행(惡行)을 감추려는 섬세한 배려는 독자를 한 번 더 감동시킨다.
해가 바뀌어 ‘성의’의 망운지정(望雲之情)이 깊어만 가는 어느 봄날 황제는 잔치를 열고, 문무백관에게 ‘성의’를 소개한다. 모든 신하들이 ‘성의’의 인물됨을 찬탄하고 두 눈을 못 봄을 애석하게 여긴다. 이 때 누군가 “셕일 풍
‘향의’는 부모님에게 ‘성의’가 불교에 귀의하여 돌아오지 않아 자신이 대신 ‘일영주’를 가지고 왔다고 하고, 왕비의 병을 낫게 하지만 왕과 왕비는 ‘성의’를 계속 생각한다.
어느 땅인지 모르는 곳에 흘러 온 ‘성의’는 대숲에 들어가서 대나무 하나를 꺾어 ‘단저’를 만든다. 그 소리는 “해상에서 시선의 저 소리를 듣고 곡조를 능통한” 것이다. 이 소리에 산천이 감동한다.
다시 주인공에게는 도우미가 필요하다. 이번에는 중국 사신 ‘호승상’으로 ‘성의’의 피리 소리에 감동하여 그를 데리고 중국으로 돌아가 ‘천자’에게 소개한다. 이야기 문법에 따라 ‘천자’에게는 재덕을 겸비한 딸이 있게 마련, ‘성의’의 피리 소리에 감동할 감상력을 갖춘 그녀이기에 그와 자주 만난다. 남녀칠세부동석(男女七世不同席)이라는 항목도 이들의 만남을 가로막지 못한다. 왜냐하면 ‘성의’는 장님이기 때문이다.
주인공은 끝까지 자신을 숨긴다. 어릴 때 부모를 잃고 유리표박(遊離漂迫)하다 수적(水賊)을 만나 두 눈을 잃었다는 처음의 말을 되풀이한다. 자신의 신분을 철저히 숨겨 형의 악행(惡行)을 감추려는 섬세한 배려는 독자를 한 번 더 감동시킨다.
해가 바뀌어 ‘성의’의 망운지정(望雲之情)이 깊어만 가는 어느 봄날 황제는 잔치를 열고, 문무백관에게 ‘성의’를 소개한다. 모든 신하들이 ‘성의’의 인물됨을 찬탄하고 두 눈을 못 봄을 애석하게 여긴다. 이 때 누군가 “셕일 풍
키워드
추천자료
중국고전소설을 시대별로 정리
고전소설 소설사
[고전문학] 임진왜란이 고전소설에 준 영향에 대한 심층 연구
고전소설 - 방한림전
고전소설의 문화컨텐츠 활용 방안
2009년 2학기 고전소설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고전소설- 최치원
고전소설 '전우치'와 영화 '전우치전' 비교감상문
고전소설 <국선생전(麴先生傳)> 문화컨텐츠접목 현대적 적용방안
[고전소설강독 3공통] 일제 강점기 말기에 ‘고전’의 가치에 대해 깊이 천착했던 잡지 ‘문장’...
고전소설강독 경판본 고소설 「홍길동전」과 박태원의 「홍길동전」을 비교 분석해 보시오 (...
고전소설속의 나오는 역학법칙
한국고전소설연구 - 『사씨남정기』의 사씨의 성격 연구 - 작가의 시대인식을 중심으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