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10대 미혼모의 정의 및 현황
2. 10대 미혼모의 발생 원인
3. 10대 미혼모의 욕구
4. 10대 미혼모의 학업관련 문제
5. 외국의 10대 미혼모 가정에 대한 지원
6. 한국의 10대 미혼모 가정에 대한 지원
7. 개선방안
8. 10대 미혼모의 학업관련 기사
Ⅲ. 결론
* 참고문헌
Ⅱ. 본론
1. 10대 미혼모의 정의 및 현황
2. 10대 미혼모의 발생 원인
3. 10대 미혼모의 욕구
4. 10대 미혼모의 학업관련 문제
5. 외국의 10대 미혼모 가정에 대한 지원
6. 한국의 10대 미혼모 가정에 대한 지원
7. 개선방안
8. 10대 미혼모의 학업관련 기사
Ⅲ.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대안위탁교육기관이 없어 문제가 심각하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박영아의원(한나라당)이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2011년 각 교육청을 통해 위탁교육시설, 미혼모시설 등과 연계, 학업을 지속한 미혼모는 중학생 25명, 고등학생 36명으로 모두 61명이다. 이는 2009년 중학생 3명, 고등학생 1명으로 총 4명에 점진적으로 늘어난 숫자이긴 하지만 실제 미혼모 현황에 비하면 턱없이 미흡한 수준이라는 박의원의 설명.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2009년 19세 이하의 출산은 2,915명이고, 2010년은 2,500명 정도로 집계됐으니 실제로 학습권을 보장받고 있는 아이들은 약 2.5%로 추정되고 있는 상태.
따라서 2010년 국가인권위는 적지 않은 청소년들이 임신, 출산을 이유로 학교로부터 자퇴,전학, 휴학을 강요받거나, 학교의 징계가 두려워 스스로 학교를 떠나는 현실을 확인하고 청소년 미혼모 학습권을 보장하라고 권고한 바 있다.
현재 미혼모를 위한 대안위탁교육기관은 12시도에 15개가 지정되어 있다. 하지만 광주, 대전, 전북, 제주는 미혼모를 위한 대안위탁 교육기관마저 지정돼 있지 않다. 전북의 경우, 초, 중, 고등학교에 학생 미혼모가 단 한 명도 없는 것으로 집계됐기 때문이다.
박의원은 “아직 우리나라는 청소년들의 모성 보호권에 대한 인식은 아직 후진국 수준이다”며, “어떠한 경우에라도 미혼모들의 학습권이 보장될 수 있도록 더욱 세심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전북도교육청의 관계자는 “국가인권위원회의 권고도 있고 만일 학생 미혼모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대안위탁 교육기관 조사를 하고 있는 등 검토 중에 있다”고 밝혔다. - 새 전북신문 이종근 기자/노컷뉴스 제휴사
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1940690
(4) “청소년 미혼모도 학업 계속할 수 있어요”
도교육청, 청소년 미혼모 학업 중단 방지를 위한 제도 마련
앞으로는 청소년 미혼모도 학업을 지속할 수 있을 전망이다.
강원도교육청(교육감 민병희)은 19일 오전 도교육청 소회의실에서 춘천시 소재 ‘마리아의 집’(시설장 최영란)과 청소년 미혼모를 위한 대안교육위탁교육기관 지정 운영 협약식을 가졌다. 이번 협약식은 학생 미혼모의 학업 지속을 위한 임신 전후 기간 대안교육 및 출석 인정 제도를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대안교육위탁교육기관인 ‘마리아의 집’에서는 다음달 1일 부터 임신으로 인해 학업 중단 위기에 처한 청소년 미혼모에게 대안형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게 된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학과 공부를 비롯해 개인별 특성을 고려한 생활 및 인성 지도, 성교육, 생명문화교육 등을 배우게 되며, 출석기간을 인정받아 출산 후 원적교로 복귀나 대안학교 전학 등을 통해 학업을 지속할 수 있다. 신경호 도교육청 중등교육과장은 “학업중단으로 인한 개인적·사회적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미혼모에 대한 교육기회 확대와 교육환경 조성 등 정부차원의 정책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원희망신문 -
http://www.yg.chamhope.com/news/bbs/board.php?bo_table=news&wr_id=1795&page=54
Ⅲ. 결론
* 미혼모라고하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학력이 대체로 낮고, 불안정한 직업에 종사하며, 자취나 하숙을 하고, 성에 대한 가치관이 개방적이고 충동적이며, 사회경제적 상태가 낮고 부모와 떨어져 사는 사람."
이는 지난 해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인 '건강길라잡이'에서 내린 미혼모에 대한 정의이다. 이 5가지 중 학력이 낮음과 불안정한 직업에 종사하며, 사회경제적 상태가 낮은 3가지가 학업 관련 문제와 연관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10대 미혼모는 점점 증가하고 있지만, 학업과 관련한 지원제도는 교육과학기술부와 도에 맡기고 있어 학업지원에 대한 방안이 모호하다. 학업지원을 계속 권고에만 그칠 것이 아니라 다른 외국의 경우처럼 입법을 통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 실질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특히 중학교 때 임신하여 중퇴가 많아지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최소 고졸은 되어야 취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등학교 졸업까지 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해야겠으며, 저임금 아르바이트를 많이 하는 실정에 맞추어 생활이 가능하게끔 최저시급의 향상 또한 고려해 보아야 할 점인 것 같다.
그리고 위의 말처럼 아직 우리나라의 경우, 가출을 하고, 혼자서 저임금 아르바이트로 살아가는 빈곤의 이유에 주변의 부정적 인식으로 인한 원 가족과의 관계단절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고 보아지기 때문에 미혼모에 대한 인식 향상 또한 필요할 것이다.
* 참고문헌
통계청 - http://www.kostat.go.kr/
여성가족부 - http://www.mogef.go.kr/
관련 기사 http://www.am7.co.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162775
http://tvnews.media.daum.net/view.html?cateid=100000&cpid=60&newsid=20100803083014663&p=mbn
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1940690
강원희망신문 -
http://www.yg.chamhope.com/news/bbs/board.php?bo_table=news&wr_id=1795&page=54
SBS Ne TV -
http://netv.sbs.co.kr/sbox/sbox_index.jsp?uccid=10000339299&st=0&cooper=NAVER
외국의 미혼모 복지 정책과 서비스 - 네이버 카페 S*W클럽
http://cafe.naver.com/tusocialwaker.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51&
네이버 - parkseyun님의 블로그 (blog.naver.com/parkseayun/40131861834)
월곡 종합사회복지관 - http://blog.naver.com/ewolgok?Redirect=Log&logNo=100109612895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박영아의원(한나라당)이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2011년 각 교육청을 통해 위탁교육시설, 미혼모시설 등과 연계, 학업을 지속한 미혼모는 중학생 25명, 고등학생 36명으로 모두 61명이다. 이는 2009년 중학생 3명, 고등학생 1명으로 총 4명에 점진적으로 늘어난 숫자이긴 하지만 실제 미혼모 현황에 비하면 턱없이 미흡한 수준이라는 박의원의 설명.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2009년 19세 이하의 출산은 2,915명이고, 2010년은 2,500명 정도로 집계됐으니 실제로 학습권을 보장받고 있는 아이들은 약 2.5%로 추정되고 있는 상태.
따라서 2010년 국가인권위는 적지 않은 청소년들이 임신, 출산을 이유로 학교로부터 자퇴,전학, 휴학을 강요받거나, 학교의 징계가 두려워 스스로 학교를 떠나는 현실을 확인하고 청소년 미혼모 학습권을 보장하라고 권고한 바 있다.
현재 미혼모를 위한 대안위탁교육기관은 12시도에 15개가 지정되어 있다. 하지만 광주, 대전, 전북, 제주는 미혼모를 위한 대안위탁 교육기관마저 지정돼 있지 않다. 전북의 경우, 초, 중, 고등학교에 학생 미혼모가 단 한 명도 없는 것으로 집계됐기 때문이다.
박의원은 “아직 우리나라는 청소년들의 모성 보호권에 대한 인식은 아직 후진국 수준이다”며, “어떠한 경우에라도 미혼모들의 학습권이 보장될 수 있도록 더욱 세심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전북도교육청의 관계자는 “국가인권위원회의 권고도 있고 만일 학생 미혼모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대안위탁 교육기관 조사를 하고 있는 등 검토 중에 있다”고 밝혔다. - 새 전북신문 이종근 기자/노컷뉴스 제휴사
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1940690
(4) “청소년 미혼모도 학업 계속할 수 있어요”
도교육청, 청소년 미혼모 학업 중단 방지를 위한 제도 마련
앞으로는 청소년 미혼모도 학업을 지속할 수 있을 전망이다.
강원도교육청(교육감 민병희)은 19일 오전 도교육청 소회의실에서 춘천시 소재 ‘마리아의 집’(시설장 최영란)과 청소년 미혼모를 위한 대안교육위탁교육기관 지정 운영 협약식을 가졌다. 이번 협약식은 학생 미혼모의 학업 지속을 위한 임신 전후 기간 대안교육 및 출석 인정 제도를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대안교육위탁교육기관인 ‘마리아의 집’에서는 다음달 1일 부터 임신으로 인해 학업 중단 위기에 처한 청소년 미혼모에게 대안형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게 된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학과 공부를 비롯해 개인별 특성을 고려한 생활 및 인성 지도, 성교육, 생명문화교육 등을 배우게 되며, 출석기간을 인정받아 출산 후 원적교로 복귀나 대안학교 전학 등을 통해 학업을 지속할 수 있다. 신경호 도교육청 중등교육과장은 “학업중단으로 인한 개인적·사회적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미혼모에 대한 교육기회 확대와 교육환경 조성 등 정부차원의 정책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원희망신문 -
http://www.yg.chamhope.com/news/bbs/board.php?bo_table=news&wr_id=1795&page=54
Ⅲ. 결론
* 미혼모라고하면 무엇이 떠오르시나요?
"학력이 대체로 낮고, 불안정한 직업에 종사하며, 자취나 하숙을 하고, 성에 대한 가치관이 개방적이고 충동적이며, 사회경제적 상태가 낮고 부모와 떨어져 사는 사람."
이는 지난 해 보건복지부가 운영하는 웹사이트인 '건강길라잡이'에서 내린 미혼모에 대한 정의이다. 이 5가지 중 학력이 낮음과 불안정한 직업에 종사하며, 사회경제적 상태가 낮은 3가지가 학업 관련 문제와 연관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10대 미혼모는 점점 증가하고 있지만, 학업과 관련한 지원제도는 교육과학기술부와 도에 맡기고 있어 학업지원에 대한 방안이 모호하다. 학업지원을 계속 권고에만 그칠 것이 아니라 다른 외국의 경우처럼 입법을 통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여 실질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특히 중학교 때 임신하여 중퇴가 많아지고 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최소 고졸은 되어야 취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등학교 졸업까지 지원을 할 수 있도록 해야겠으며, 저임금 아르바이트를 많이 하는 실정에 맞추어 생활이 가능하게끔 최저시급의 향상 또한 고려해 보아야 할 점인 것 같다.
그리고 위의 말처럼 아직 우리나라의 경우, 가출을 하고, 혼자서 저임금 아르바이트로 살아가는 빈곤의 이유에 주변의 부정적 인식으로 인한 원 가족과의 관계단절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한다고 보아지기 때문에 미혼모에 대한 인식 향상 또한 필요할 것이다.
* 참고문헌
통계청 - http://www.kostat.go.kr/
여성가족부 - http://www.mogef.go.kr/
관련 기사 http://www.am7.co.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162775
http://tvnews.media.daum.net/view.html?cateid=100000&cpid=60&newsid=20100803083014663&p=mbn
http://www.nocutnews.co.kr/Show.asp?IDX=1940690
강원희망신문 -
http://www.yg.chamhope.com/news/bbs/board.php?bo_table=news&wr_id=1795&page=54
SBS Ne TV -
http://netv.sbs.co.kr/sbox/sbox_index.jsp?uccid=10000339299&st=0&cooper=NAVER
외국의 미혼모 복지 정책과 서비스 - 네이버 카페 S*W클럽
http://cafe.naver.com/tusocialwaker.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51&
네이버 - parkseyun님의 블로그 (blog.naver.com/parkseayun/40131861834)
월곡 종합사회복지관 - http://blog.naver.com/ewolgok?Redirect=Log&logNo=1001096128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