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수사의 개념과 특징
<표 1> 명사, 대명사, 수사의 차이점
2. 수사의 종류
2. 1. 양수사
2. 2. 서수사
<표 2> 서수사의 구성
3. 수사 형성 방법의 특징 - 보충법
<표 1> 명사, 대명사, 수사의 차이점
2. 수사의 종류
2. 1. 양수사
2. 2. 서수사
<표 2> 서수사의 구성
3. 수사 형성 방법의 특징 - 보충법
본문내용
용언의 관형사형, ‘체언+의’로 된 관형어의 수식을 받을 수 없다.(나찬연:2009, 169) 이에 비해 대명사는 용언의 관형사형으로 된 관형어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3) ㄱ. *새 둘(二), *헌 하나(一)
ㄴ. *뛰어가는 하나, 날아가는 둘
ㄷ. *나의 하나, 너의 둘
(4) 아름다운 나
수사는 (3-ㄱ)과 같이 관형사의 수식을 받을 수 없고, (3-ㄴ)처럼 용언의 관형사형이나 (3-ㄷ)처럼 ‘체언+의’로 된 관형어의 수식을 받을 수 없다. 그러나 대명사는 (4)와 같이 용언의 관형사형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또한 (5)에서 보는 것처럼 수사는 복수를 표시할 수 없다.(남기심고영근: 1997, 93) 이 점은 대명사와 같다.
(5) *나는 학생 둘들을 만났다.
2. 수사의 종류
수사는 사물의 수량을 가리키는 양수사와 순서를 가리키는 서수사로 나눈다. 양수사와 서수사는 어원에 따라 고유어 계열과 한자어 계열로 나눌 수 있다.(남기심고영근: 1997, 89, 고영근구본관: 2010, 77) 또한, 나찬연(2009:170)에서는 양수사의 한 유형으로 인수사(人數詞)를 설정하고 있다.
2. 1. 양수사
양수사는 사물의 수량을 지시하는 수사로 기수사, 기본 수사라고도 한다. 양수사에서 특징적인 점은 고유어 계통의 수사가 1부터 99까지만 있다. 그 이상의 양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한자어 수사 또는 한자어와 고유어 수사가 결합한 형태를 사용한다. 중세 국어에서는 다음과 같이 백(百)을 의미하는 ‘온’과 천(千)을 의미하는 ‘즈믄’이라는 단어가 있었지만 현대 국어에서는 사라졌다.
(6) 매 온 혜아?
(3) ㄱ. *새 둘(二), *헌 하나(一)
ㄴ. *뛰어가는 하나, 날아가는 둘
ㄷ. *나의 하나, 너의 둘
(4) 아름다운 나
수사는 (3-ㄱ)과 같이 관형사의 수식을 받을 수 없고, (3-ㄴ)처럼 용언의 관형사형이나 (3-ㄷ)처럼 ‘체언+의’로 된 관형어의 수식을 받을 수 없다. 그러나 대명사는 (4)와 같이 용언의 관형사형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또한 (5)에서 보는 것처럼 수사는 복수를 표시할 수 없다.(남기심고영근: 1997, 93) 이 점은 대명사와 같다.
(5) *나는 학생 둘들을 만났다.
2. 수사의 종류
수사는 사물의 수량을 가리키는 양수사와 순서를 가리키는 서수사로 나눈다. 양수사와 서수사는 어원에 따라 고유어 계열과 한자어 계열로 나눌 수 있다.(남기심고영근: 1997, 89, 고영근구본관: 2010, 77) 또한, 나찬연(2009:170)에서는 양수사의 한 유형으로 인수사(人數詞)를 설정하고 있다.
2. 1. 양수사
양수사는 사물의 수량을 지시하는 수사로 기수사, 기본 수사라고도 한다. 양수사에서 특징적인 점은 고유어 계통의 수사가 1부터 99까지만 있다. 그 이상의 양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한자어 수사 또는 한자어와 고유어 수사가 결합한 형태를 사용한다. 중세 국어에서는 다음과 같이 백(百)을 의미하는 ‘온’과 천(千)을 의미하는 ‘즈믄’이라는 단어가 있었지만 현대 국어에서는 사라졌다.
(6) 매 온 혜아?
추천자료
[인문&사회]사이버범죄의 유형과 실태(사례중심)
국어과 쓰기교육의 이론과 실현
국어의 통사론
[온라인 범죄] 사이버범죄의 실태분석과 대응방안
단순폭력 집단폭력범죄 조직폭력범죄 가정폭력범죄
[국문학]`선거기사문에 나타난 은유`, 국어변천과정
한국현대시의 이해-《 의미의 전이에 따른 수사법 》은유와역설,아이러니
작문이론
국어표현과 화법 - 독립관계와 비문 -
공무원 시험 국어 합격 전략서
목표 중심 체제 국어교과서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외사경찰활동 外事警察活動 (외사경찰활동의 내용, 외사정보활동 및 외사보안활동, 외사수사...
국어학개론(합성어까지), 국어음운론(음운현상까지) 정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