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의 개념과 특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수사의 개념과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수사의 개념과 특징
<표 1> 명사, 대명사, 수사의 차이점

2. 수사의 종류
2. 1. 양수사
2. 2. 서수사
<표 2> 서수사의 구성

3. 수사 형성 방법의 특징 - 보충법

본문내용

용언의 관형사형, ‘체언+의’로 된 관형어의 수식을 받을 수 없다.(나찬연:2009, 169) 이에 비해 대명사는 용언의 관형사형으로 된 관형어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3) ㄱ. *새 둘(二), *헌 하나(一)
ㄴ. *뛰어가는 하나, 날아가는 둘
ㄷ. *나의 하나, 너의 둘
(4) 아름다운 나
수사는 (3-ㄱ)과 같이 관형사의 수식을 받을 수 없고, (3-ㄴ)처럼 용언의 관형사형이나 (3-ㄷ)처럼 ‘체언+의’로 된 관형어의 수식을 받을 수 없다. 그러나 대명사는 (4)와 같이 용언의 관형사형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
또한 (5)에서 보는 것처럼 수사는 복수를 표시할 수 없다.(남기심고영근: 1997, 93) 이 점은 대명사와 같다.
(5) *나는 학생 둘들을 만났다.
2. 수사의 종류
수사는 사물의 수량을 가리키는 양수사와 순서를 가리키는 서수사로 나눈다. 양수사와 서수사는 어원에 따라 고유어 계열과 한자어 계열로 나눌 수 있다.(남기심고영근: 1997, 89, 고영근구본관: 2010, 77) 또한, 나찬연(2009:170)에서는 양수사의 한 유형으로 인수사(人數詞)를 설정하고 있다.
2. 1. 양수사
양수사는 사물의 수량을 지시하는 수사로 기수사, 기본 수사라고도 한다. 양수사에서 특징적인 점은 고유어 계통의 수사가 1부터 99까지만 있다. 그 이상의 양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한자어 수사 또는 한자어와 고유어 수사가 결합한 형태를 사용한다. 중세 국어에서는 다음과 같이 백(百)을 의미하는 ‘온’과 천(千)을 의미하는 ‘즈믄’이라는 단어가 있었지만 현대 국어에서는 사라졌다.
(6) 매 온 혜아?
  • 가격5,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11.24
  • 저작시기201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162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